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시설/발진 코스터

롤러코스터 타이쿤 시리즈 시설 종류
운송 시설얌전한 놀이기구롤러코스터스릴 넘치는 놀이기구수중 놀이기구편의시설
소인승 순환다인승 순환발진

1 개요

정거장 발진을 지원하고, 체인 리프트를 건설할 수 없는 코스터를 나열한 페이지. 2편 에어파워 코스터를 제외하면 서킷을 완성할 필요가 없이 간단하게 지을 수 있지만, LIM 코스터, 인버티드 임펄스 코스터, 스트라터 코스터 정도를 제외하면 트랙 조각이 비싼 편인 동시에 수송 용량도 적은 편이므로[1] 생각만큼 돈벌이에는 효율적이지는 못한 편이다.

2 목록

2.1 스트라터 롤러코스터

3편에서 추가된 롤러코스터. 인버티드 임펄스 코스터와 비슷하지만 차량이 트랙 위에서 달린다. 중형 커브 및 뱅킹을 지원하기 때문에 인버티드 임펄스 코스터에 비해 약간은 다채롭게 만들 수 있다.

Millennium Force가 있는 Cedar Point에서 가장 빠른 코스터인 Top Thrill Dragster가 바로 이 스트라터 롤러코스터이다.

2.2 에어 파워 버티컬 롤러코스터

1편 확장팩에서 추가된 롤러코스터. 리버스 프리폴 롤러코스터와 마찬가지로 생긴 곡선 모양의 수직 경사를 지나 수직 상승하다가 반원 모양의 트랙인 탑 섹션을 지나 수직 하강하는 식의 코스터. 발진 속도는 1,2편에서는 최소 107km/h, 최대 202km/h[2], 3편에서는 최소 108km/h, 최대 180km/h이다. 2편에서는 순환 모드처럼 서킷을 이루지 않으면 운행을 아예 하지를 못한다.

격렬도가 10을 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발로 만들어도 흥미도가 7대 초반을 넘어 입장료를 무지막지하게 받아먹을수 있다. 거기에 코스터 특성상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는다. 또한 발진 코스터이기 때문에 주행 시간도 굉장히 짧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1편 기준 직선 한칸 조각이 100달러일 정도로 건설 비용이 매우 비싸고, 커브가 한 종류밖에 지원되지 않고 상하강도 수직으로만 가능해 다른 롤러코스터처럼 오밀조밀하게 지을 수는 없다. 다만 단점보다 장점이 매우 많아 일단 지어두면 돈이 정말 잘 벌린다. 진짜 문제는 지원하는 시나리오가 드물다는 것.

참고로 현실에의 APV코스터는 본작과는 달리 비스듬한 경사 코스도 지녔다. 현재는 모두 철거되고 없는데, 너무 빠른 출발속도를 지닌 발진코스터는 탑승자의 뇌에 물리적인 상해를 입힌다는 연구결과가 밝혀졌기 때문. 비슷한 기종으로는 일본의 후지큐 하이랜드의 도돈파가 있다.

2.3 역방향 자유낙하 롤러코스터 (리버스 프리페일 롤러코스터)

1편 오리지널 시절부터 있던 코스터. 기다란 직선 주로를 달리면서 가속해 수직 레일 부분에서는 관성으로 달리고, 역주행하면서 감속해 다시 정거장으로 돌아오는 형태인 롤러코스터.

간단한 구조 덕에 만들기도 그다지 어렵지 않고, 운행 시간도 비교적 짧다. 그러나 탑승 인원이 그렇게 많지 않고, 흥미도도 4에서 5정도로 그리 높지 않을 뿐더러 트랙 조각 값이 비싼 편에 속해 돈벌이로 쓰기에는 애매하다. 하지만 트랙 조각 값이 비싼 편이라도 실질적인 건설 비용은 그렇게까지 비싸지 않으므로 실제 리버스 프리폴 코스터처럼 탑승 인원이 15명이라면 돈벌이에 쓰기에 적합했을지도 모른다.

직선 주로가 길 경우 차량이 가속되는 시간도 길어져 속도가 무섭도록 빨라지고, 그에 비례하여 격렬도도 높아지기 때문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직선 주로와 수직 레일을 적절히 조화시켜 발사라고도 하는 탈선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자. 단, 2편에서는 수직 트랙의 높이를 168m 이상으로 만들면 256X256 맵에 직선 트랙을 최대한 길게 설치해도 탈선하지 않는다.

2편에서 일자로만 지을 수 있는 두 롤러코스터 중 하나이다. 다른 하나는 루저 하트라인 트위스터 롤러코스터.

3편에서는 속도 조절 방법이 바뀌어서 직선 주로의 길이를 통해 조절하지 않고, 운행 모드에서 옵션으로 조절하게 된다. 지원하는 발진 속도는 18km/h에서 360km/h까지이지만, 216km/h 이상의 속도 지원은 실질적으로 의미가 없다. 높이 제한을 없애는 치트키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 이 속도를 초과하면 무조건 탈선하고, 격렬도도 10 이상으로 나오기 때문이다.[3] 또 직선 주로에서 가감속 성능이 훨씬 좋아졌다고는 하나 직선 주로가 매우 짧으면 결국 가속을 원하는 만큼 받지 못하기 때문에 주의할 것.

3편에서는 저속에서의 격렬도가 높아지고 고속에서의 격렬도는 낮아졌다. 2편에서는 최고 속도가 93km/h 이하로 나오면 격렬도가 3 중반으로 나오는 것과는 달리 최저 속도인 18km/h로 출발하도록 만들어도 격렬도가 4를 넘는다.

2.4 인버티드 임펄스 코스터

2편에서 추가된 롤러코스터. 커브를 틀기 위해서는 수직 트위스트만 써야 한다. 발진 속도는 35km/h~119km/h 사이에서 조정 가능하며, 흥미도가 비교적 높게 책정되는 코스터. 그러나 지원되는 트랙 조각이 적다는게 단점.

면적을 적게 차지하면서도 높은 흥미도와 격렬도를 뽑아낸다는 장점이 모양새가 약간 구질하다는 단점을 씹어먹고도 남는다. 상대적으로 짓기도 쉽다.

옛날 비행기 모양을 한 롤러코스터인 번스토밍 코스터가 이 계통에 속한다.

2.5 코스터 볼

3편 와일드에서 추가된 코스터. 멀티 디멘션 코스터와 비슷한 코스터로 차량이 주행 중에 관성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한다는 점이 다르다. 차량이 1대당 1량으로 제한되었기 때문에 스테이션에서 추진력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짧아 발진 속도를 아무리 높게 설정해도 실제 발진 속도는 어느 속도 이상 안 올라간다.

직선으로만 지을 수 있고, 평지에서 수직으로 1칸만에 바꿀 수 있는 특수 트랙이 있어 수직 G가 높게 나오지만, 3편에서는 대부분의 놀이기구의 수치가 안정적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극한 격렬도는 잘 나오지 않는다.

실제로 존재하는 코스터 볼은 소인승 순환 코스터이지만, 게임에서는 순환 모드도 체인 리프트도 지원하지 않는다.

2.6 하프 파이프 롤러코스터

3편 속트에서 추가된 롤러코스터. 스케이트보드처럼 생긴 차량의 둥글게 놓인 좌석에 앉아 U자 모양의 트랙을 이동하는 코스터로, 이동하면서 차량이 자유롭게 회전한다. 차량은 1대 당 2량으로 제한되어 있다.

커브 트랙이 존재하지 않으며, 발진 속도도 최대 72km/h이기 때문에 모양은 단순할 수밖에 없다.

이 분류에 속하는 다른 코스터들과는 달리 처음에는 천천히 발진되다가 스테이션을 지나면 지날수록 발진 속도가 점점 빨라지는 것이 특징. 그 때문에 순환 횟수를 늘릴 때 최고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2.7 허쉬의 스톰러너

3편 속트에서 추가된, 허쉬 파크의 스톰러너를 모티브로 한 코스터. 실제 스톰러너에 존재하는 특수 트랙인 1/4 루프, 다이빙 루프, 플라잉 스네이크 다이브, 기울어진 사면, 대각선 경사 브레이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수 트랙의 대부분에 대각선 트랙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특수 트랙이 포함되면 코스터가 차지하는 공간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특징.

2.8 LIM 런치드 롤러코스터

2편에서 추가된 롤러코스터. 트랙 생김새와 열차는 루핑 롤러코스터와 비슷하고, 지원하는 특수 트랙은 트위스터 롤러코스터에 버금가는 롤러코스터다. 주행 길이는 짧지만 흥분도는 그렇게 높지 않은 편. 그래도 발진 전용 코스터 특유의 회전력이 있어서 수입은 제법 짭짤하며, 특히 발진 모드만 지원함에도 불구하고 블록 브레이크를 통해 차량을 여러 대 굴릴 수 있다는 점이 이 코스터의 가장 큰 특징.

2.8.1 터보 바이크

3편 속트에서 추가된, 차량이 오토바이 모양인 LIM 코스터. LIM 코스터 트랙을 기반으로 했기 때문에 실제의 터보 바이크와는 달리 반전 트랙을 사용할 수 있다.

탑승 자세의 특징 때문에 아이들이 타면 이상한 광경이 나온다.
  1. 1,2편에서는 발진 모드를 사용하면 서킷이 완성되었다 할지라도 열차수가 무조건 1대로 고정된다. 블록 브레이크를 사용한 LIM이 유일한 예외.
  2. 최대 지원 속도는 1,2,3편 모두 180km/h이지만 1,2편에서는 180km/h로 지정하면 202km/h까지 가속된다.
  3. 발진 속도를 216km/h로 지정했을 때의 격렬도가 9.94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