림월드/개척민

1 개요

살인/납치/약탈 등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림 월드계(은하 바깥 구역)의 행성에 불시착하여 개척지를 일구어 나아가야 할 주인공들이다. 스타팅 멤버 외에는 포로를 구슬리거나 노예 무역선에서 구매하거나 각종 이벤트로 합류하여 개척지 인구를 늘릴 수 있다. 스타팅 멤버 외에는 딱 원하는 능력치를 가진 개척민을 찾기 힘드니 스타팅 멤버 주사위는 가능하면 많이 굴려보는 것이 좋다.아니면 모드를 통해 원하는 림을 만들거나 개척민끼리의 번식은 구현되지 않았다.[1][2] 인구 수가 늘어나면 소모되는 자원 증가 뿐만 아니라 림끼리의 관계 및 특히 림의 특징과 무드관리 등의 어려운 문제까지 고려해야하므로 전략적으로 인구수를 조절하는 것도 중요하나, 인적 자원 또한 림월드내에서 굉장한 자원이기 때문에 (시간단축, 노동량 증가 및 병력증가) 무작정 스탯보고 불필요하다고 버리지 말고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는 것도 중요하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중요한 림월드에서 아예 단 하나의 방면도 쓸모없는 림은 없다.방화광이나 비관적이고 정신분열을 갖고있는 림들과 단순노동이 불가능하고 별 쓸모없는 식충이등을 보면 인류애를 따지는 것보다 버리는 것도 생각해 봐야할 요소가 되기도 하다.

또한 개척민들은 공통적으로 무드(Mood)라는 상태창을 가지고 있다. 편의시설과 좋은 식사 이상의 음식, 대화 등을 이용해 무드를 올릴 수 있으며, 시체를 보거나 부상을 입고, 청소를 안해서 더러운 장소에 있거나 야외취침을 하는 등 부정적인 일을 겪을 경우 무드 수치가 줄어든다. 무드가 일정량 이상 줄어들어 멘탈붕괴할 경우 다른 곳으로 떠나거나 정신줄을 놓고 식민지 주변을 방황하기도 하며, 운이 나쁠 경우 광분해서 주변에 있는 동료를 죽이려 들기도 한다. 떠나려고 하거나 방황하는 인원은 다른 개척민을 전투모드로 전환한후 오른쪽 클릭하여 체포해서 눕힌 후에 바로 캔슬해서 구조하거나 체포해서 구슬리는 과정으로 다시 개척민으로 편입시킬 수 있다. 사실 멘붕해서 겁나 춥거나 더운곳에서 옷 벗어던지고 어버버거리거나 야생동물 떼 근처에서 미쳐서 한 대 때렸다가 반격당해 다굴당하거나 하는게 아니면 저렇게까지 할 필요 없다. 광분상태도 사람 두세명 징집해서 맨주먹으로 때려눕힌 다음 방에 데려다 눕혀놓으면 알아서 괜찮아진다. 가장 곤란한 것은 완전무장한 전문 전투원이 미쳐서 날뛰는 것으로 맨손 제압은 불가능하고 그렇다고 다른 전투원으로 쏴죽일수도 없고 그냥 정신차릴 때까지 근처에 안 가야한다. 개인 보호막이 있다면 이럴 때 유용하다.

개척민간의 관계도가 존재한다. 개척민들은 대부분의 활동을 하면서 주변에 다른 개척민이 있다면 자연스럽게 잡담을 해서 관계도를 올린다. 관계도에 영향을 주는 많은 특성들이 있으며 특성이나 관심 분야가 비슷하면 친해지기 쉽다. 배우자, 부모자식, 형제자매, 전 배우자 등의 관계도 존재하며 관계도에 영향을 준다. 가족 관계는 처음부터 표시되어있는 경우도 있지만 느닷없이 새로운 인물이 누구의 가족이라면서 추가되기도 한다. 얼핏보면 평판이 자동으로 영원히 추가되니 나쁠거 없어보이지만 이게 가장 문제가 되는 때는 림들이 많아지는 후반부. 적의 공습때마다 무슨 관계를 주렁주렁 달고오면 물질적 손해를 전혀 안봐도 거주민 하나의 기분을 완전히 박살내는건 매우 간단한 일이 되버린다. 교전중에 살길 기도하거나 분열창을 써서 살아남는 것을 바라는 수 밖에. 무슨 위 아 더 월드도 아니고 뭔 관계가 이렇게 많아 꼭 관계가 없더라도 같이 지내다가 자연스럽게 연인 관계[3][4]가 되기도 하며 연인 관계가 발전해서 결혼할 수도 있다. 또한 결혼을 할 경우 지속시간 동안 엄청난 무드 보너스를 받고 그 이후에도 배우자가 살아있으면 관계도에 비례해 영구 무드보너스가 존재한다. 거기다 이불을 뒤척거리는 침대위에서 사랑을 할 때마다 올라가는 무드까지 더해져 결혼만 했다면 멘붕 걱정은 끝까지 필요없는 수준. 다만 배우자나 가족이 살해당하면 무드가 급감하니 주의 거의 포로의 장기를 다 빼서 살해한 수준으로 떨어진다.

개척민들의 나이도 봐야 하는데 생물학적 나이가 많다면 병에 걸릴 확률이 높기 때문. 냉동수면이 워낙 보편화된 세계관이기에 생물학적 나이 옆에 괄호로 실제 나이가 표기되는데 2000년 이상 산잠든 사람들도 보인다

국내 팬덤에서는 보통 '림'이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게임 내에서 그런 의미로 쓰이지도 않고 Rim이란 단어 자체는 그냥 가장자리라는 뜻이지만 어째선지 게임 내의 인간들을 지칭하게 된 이유는 아마도 심 시리즈(Sim)과의 발음의 유사성 때문일 것이다.

2 특성

개척민들의 특성으로 특성에 따른 보너스나 페널티가 있다.

  • 일반 특성
    • 나체주의자(Nudist) : 행복하게 벌거벗음 무드 +20. 나체일 때 느끼는 자유로움을 즐긴다. 주변 주민은 영향받지 않으니 전투하지 않을 때는 그냥 벗겨 놓자. 지형이 추울 경우 동상에 걸릴 가능성이 크기에 툰드라, 빙상 지형일 경우 기피되는 경향이 있다. 단 모자는 영향받지 않으므로 털모자는 반드시 입혀주자.
    • 피에 굶주림(Bloodlust) : 이방인의 시체를 볼 때 무드 +8, 누군가를 살해했을 때 무드 +13. 살육을 즐기므로 훌륭한 전투원이 된다. 비전투원이 들면 애매하다.
    • 식인(Cannibal) : 인육으로 만든 음식 섭취 시 무드 +15, 생인육일 시 무드 +20. [5] 인육을 먹으면 기분이 좋아진다. 인육만 골라서 요리하는 건 가능하지만 만들어진 식사는 재료에 따라 구분되지 않으므로 무작정 활용하기는 힘들고 호화로운 식단을 일반 고기로 만들고 일반 식사나 괜찮은 식사 인육으로만 만드는 식으로 구분하면 가능은 하다. 그러나 자신이 먹지 않아도 사람을 도살한다는 사실 자체가 개척민 전체에 무드 디버프를 주기에 적극 활용하긴 애매하다.
    • 사이코패스(Psychopath) : 시체를 보거나, 상인에게 죄수를 팔거나, 사람을 도살하고 대화를 해도 기분 변화가 전혀 없다.
    • 야행성(Night Owl) : 낮(10:00~18:00)에 무드 -10, 밤(23:00~06:00)에 무드 +16
    • 탐욕(Greedy) : 좋은 침실을 가지지 못하면 무드 -8. 여기서 좋은 침실이란 절대적인 수치라서 초반에는 거의 -8 고정이라고 봐도 된다.
    • 질투(Jealous) : 개척민 중 가장 좋은 침실을 가지지 못하면 무드 -8. 다른 침실보다 화분 하나만 더 얹어줘도 해결된다.
    • 검소(Ascetic) : 다른 개척민보다 좋은 침실을 가지면 -5, 자기가 잘 침대하나만 남겨두면 된다. 침대만 남으면 썰렁한 침실 +3 무드. 그리고 생식을 해도 무드감소가 없으며, 생식을 우선으로 한다.
    • 괴짜 천재(Too smart) : 스킬 학습속도 +80%, 정신붕괴 한계점 +14%. 배우는 속도는 빠르나 정신 붕괴 한계점이 높다. 초기에는 페널티성 특성이었지만 패치를 통해서 양날의 검 정도로 좋아졌다.
    • 개조광(Prosthophile) : 한 부위라도 개조된 신체가 있으면 기분이 14 향상된다. 중복은 되지 않는다. 반대로 없으면 떨어진다.
    • 개조혐오(Prosthophobe) : 개조 시술을 할 경우 무드가 14 떨어진다. 부득이하게 불구가 되어 개조 시술을 할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기에 좋진 않은 특성.
    • 마조히스트(Masochist) : 부상이나 질병으로 고통 받을 경우 도리어 무드가 향상된다(...).마조히스트 답다 전투를 마치고 나면 약간의 무드가 향상되기에 정신 붕괴할 확률이 낮다는건 좋은 점. 그리고 몸통이나 머리에 오래된 상처가 남을 경우 오히려 득이 되기도 한다.
    • 방화광(Pyromaniac) : 무드가 낮을시 일정 확률로 불을 지른다! 그리고 결격사항에 방화가 추가되어 불을 끄지도 않는다.
    • 원예체질(Green thumb) : 재배 +2에 식물을 심으면 무드가 상승한다. 재배 일을 시켜놓으면 웬만해서 정신 붕괴가 일어날 확률이 없다.오히려 너무 붕괴가 안 돼서 걱정 사실 맨 마지막까지 남아 매우 행복하게 가는놈 씨앗 최대 20개가 가능하므로 x20 무드+20이 한계.
  • 속도 특성
    • 설레발(Jogger): 이동속도 +0.40 c/s
    • 빠른 걸음(Fast walker): 이동속도 +0.2 c/s
    • 굼벵이(Slowpoke): 이동속도 -0.20 c/s
  • 생각 특성
    • 낙천가(Sanguine) : 항상 무드 +12
    • 낙관론자(optimist) : 항상 무드 +6
    • 비관론자(Pessimist) : 항상 무드 -6
    • 우울함(Depressive) : 항상 무드 -12
  • 의지 특성
이왕이면 한계점이 낮은 특성을 가진 캐릭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신경과민 정도만 되도 굉장히 체감상 자주 미친다.
  • 철의 의지(Iron-willed) : 정신붕괴 한계점 -18.
  • 확고함(Steadfast) : 정신붕괴 한계점 -9
  • 신경과민 (Nervous, 불안함) : 정신붕괴 한계점 +8
  • 정신분열 (Volatile, 아주 불안함) : 정신붕괴 한계점 +15
  • 강박증(Neurotic): 정신붕괴 한계점 +8, 작업속도 +20%
  • 심각한 강박증(Very Neurotic, 신경과민): 정신붕괴 한계점 +14, 작업속도 +40%
  • 온도 특성
추위 저항성이 높을수록 비교적 추운 지역에서 파카 없이도 추위에 따른 패널티를 얻지 않지만, 반대로 더운 지역에선 더움에 따른 페널티를 얻기 쉽다. 더위 저항성 강할수록 추위저항성과 반대로 비교적 더운 지역에서 잘 버틸 수 있지만 추운 지역에선 여름에도 파카나 모자가 필요하다.
  • 추위 사랑(Hot-Skinned) : 적절한 최소 온도 -22.0℃/적절한 최고 온도 -4.0℃.
  • 추위 내성(Warm-Skinned) : 적절한 최소 온도 -14.0℃/적절한 최고 온도 -2.0℃
  • 더위 내성(cool-Skinned) : 적절한 최소 온도 +2.0℃/적절한 최고 온도 +14.0℃
  • 더위 사랑(icy-Skinned) : 적절한 최소 온도 +4.0℃/적절한 최고 온도 +22.0℃.
  • 근면계 특성
  • 일벌레(Industrious) : 모든 작업 속도 +35%
  • 근면함(hard Worker) : 모든 작업 속도 +20%
  • 게으름(Lazy) : 모든 작업 속도 -20%
  • 나태함(Slothful) : 모든 작업 속도 - 35% 남들 일 다끝나고 저쪽에 가 다른 일 하고 있을때 한참을 머물고 있는 림을 보면 뒷골이 당겨올 것이다 웨이크 업을 먹지 않는다면 사교나 동물 조련같은 속도에 구애받지 않는 작업이나 후반부 연구나 예술 등 어차피오래하는 작업에 두는 것이 이롭다. 다행인 것은 작업때 받는 경험치의 양은 작업량에 비례하지 않고 시간에 비례해서 같다는 정도(A15)
  • 초자연감응 특성
정신민감도는 모드를 깔지 않는 이상 페널티밖에 없는 특성이라 낮을수록 좋다. 알파 15에서 행복의 기계가 방출하는 좋은 정신파동이 추가되었지만 마이너스 정신파동의 빈도가 훨씬높으므로 여전히 낮을수록 좋다.
  • 정신적 과민(Psychically Hypersensitive) : 정신 공격 민감성 +80%
  • 정신적 민감(Psychically sensitive): 정신 공격 민감성 +40%
  • 정신적 둔감(Psychically dull) : 정신 공격 민감성 -50%
  • 정신적 무감각(Psychically Deaf) : 정신 공격에 반응하지 않음.
  • 전투적 특성
    • 싸움꾼(Brawler) : 백병전 성애자. 백병전 스킬에 +6을 주나 사격 스킬에 -6 페널티가 붙고 원거리 무기를 들 때 무드가 20이나 하락한다. 단, 백병전 공격 정확도가 75%가 늘어나기 때문에 근접전 전용 싸움꾼으로 써볼 수도 있다.
    • 신중한 사수(Careful shooter) : 사격 스킬에 +3 보너스. 조준시간 25% 증가. 명중 확률 50% 증가.[6] 체감상 사격속도가 끔찍할정도로 느려지나, 명중률이 높기에 저격수에 알맞은 특성이다.
    • 난사광(Trigger-happy) : 사격 스킬 -2 페널티. 조준시간 50% 감소. 명중확률 50% 하락. 단발 무기를 들리기 보다는 미니건이나 LMG같은 연사화기를 들려주자. 압도적인 연사력으로 부족민들과 같은 숫자에 의존하는 적들에게 뛰어난 효율을 보인다.
  • 사교적 특성
사교 관계도, 이른바 평판은 관계 탭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 정보는 해당거주민이 상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한것이니 주의할것. 평판이 높으면 쉽게 연인이 되고 결혼으로 이어질 수 있다. 평판이 낮을경우 대상을 모욕해 무드를 떨어뜨리거나 그 자리에서 말싸움을 벌이기도 한다.
  • 직설적(Abrasive) : 생각하는 걸 그대로 입으로 내뱉는 성격. 본래는 대화할 때마다 무드 디버프가 있었으나 인간 관계 시스템이 추가되면서 무드 디버프 대신 평판이 디버프되는 쪽으로 바뀌어서 예전만큼 안 좋은 특성은 아니다. 무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진 않겠지만 해당 특성을 가진 주민은 평판이 나쁠 가능성이 농후하다.
  • 동성애자(Gay) : 말 그대로 동성에게만 연애감정을 느끼며 같은 동성애자끼리는 결혼이 가능하다.
  • 남성 혐오(Dislikes Man) : 다른 남성 개척민에 대한 의견 -25. 남성혐오라고 해서 남성과 연애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남성도 이 특성을 가지기도 한다.
  • 여성 혐오(Dislikes Women) 다른 여성 개척민에 대한 의견 -25. 여성혐오라고 해서 여성과 연애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여성도 이 특성을 가지기도 한다.
  • 아름다움(Beautiful) : 해당 개척민에 대한 다른 개척민들의 의견이 영구적으로 +40 증가한다.[7]
  • 잘생김(Pretty) : 해당 개척민에 대한 다른 개척민들의 의견이 영구적으로 +20 증가한다.
  • 못생김(Ugly) : 해당 개척민에 대한 다른 개척민들의 의견이 영구적으로 -20 감소한다.
  • 충격적인 외모(Staggeringly Ugly) : 해당 개척민을 향한 다른 개척민들의 의견이 영구적으로 -80 감소한다. 사실상 정상적인 사교생활이 불가능한 수준. 항상 모욕당함 디버프를 두세개씩 들고다니므로 굉장히 않좋다.
  • 거슬리는 목소리(Annoying Voice) : 해당 개척민에 대한 다른 개척민들의 의견이 영구적으로 -25 감소한다.
  • 오싹한 숨소리(Creepy Breathing) : 해당 개척민에 대한 다른 개척민들의 의견이 영구적으로 -25 감소한다. 이 세개가 합쳐진다면..
  • 약물 관련 특성
    • 약물광 (chemical fascination, 약물 매료) : 맥주 등 약물을 꽐라가 될때까지 자주 마셔서 통제불능에 빠지는 시간이 많아진다. 약물이 추가되고 중독과 내성이 생기면서 예전만큼 만만히 볼만한 특성이 아니게 되었다. 불필요할때 정신상태가 바뀌어서 상호작용 유무에 무관하게 마음껏 먹어대다가 중독되었을경우에는 곤란해지기 시작한다.
    • 약물중독 (Drug Addiction) : 기분이 좋든 나쁘든 할일 없을때에는 약물을 먹는다. 위의 약물광보다 통제불능이 될 확률이 더 많다. 약물광보다 더 신경쓰기 시작해야하는 특성. 하지만 좋은점이라면 맥주를 최대로 마실때 기분 무드의 증가량이 20이라는 점이다...
    • 금주 (teetotaler) : 맥주, 약물을 안 먹는다. 오히려 이 편이 나을 수 있겠지만 생각보다 금주 특성을 보기 쉽지 않고, 약물광이나 약물 중독에 대해 서로 관계 20이라는 것은 감수해야할 특성.

3 능력치

능력치는 주민들이 해당 작업에 대해 얼마나 실력을 가지고 있는지 나타내준다. 각 능력치는 숙련도가 있으며, 숙련도는 최저 0에서 최대 20까지 있다. 이 숙련도는 해당 작업을 계속 하거나 뉴로 트레이너를 사용하면 올라간다. 숙련도 0은 해당 작업을 시키면서 천천히 숙련도를 쌓아갈 수라도 있지만 -로 표시된 능력은 아예 할 수 없는 것임을 의미한다. - 능력을 키워보겠다고 뉴로 트레이너를 사용하면 스킬 수치만 올라가고 일은 못하니 쓰지 않도록 주의하자.

  • 사격(Shooting) : 거리에 따른 명중률에 영향을 준다. 인구=전투력이므로 림하나당 병사 1명이기 때문에 올질럿 변태 플레이가 아닌 이상 사실상 필수 스킬. 사냥에도 필수적이고 급조터렛이 모든 공격으로부터 방어해 줄 수는 없기에 꼭 필요하다.
  • 격투(Melee) : 근접 공격 명중률에 영향을 준다. 대부분의 경우에 원거리 전투가 우월하며 사냥에도 못 쓰므로 약간 잉여능력치. 하지만 싸움꾼 특성이 있거나 사격 능력치가 잉여면서 격투 능력치가 충분히 높다면 써볼 여지는 있다. 그러나 반면 광란때는 가장 무서운 능력치 중 하나.
  • 사교(Social) : 주민간의 대화에 따른 기분 상승량, 세력간 선물에 대한 우호도 증가량, 죄수 설득 확률, 무역 시 판매 가격에 영향을 준다.
  • 조련(Animal) : 동물의 조련과 훈련에 필요하다. 그런데 동물을 훈련하거나 영각수 무한 길들이기 조련할 일이 크게 없기 때문에 없으면 차라리 아예 없거나 높더라도 아주 높아야 의미있는 스킬.
  • 의학(Medicine) : 치료의 기본적인 질과 치료의 속도에 영향을 준다. 의학 수치가 낮은 캐릭터가 치료할 경우 치료 퀄리티도 낮고 감염 확률도 높아지므로 최소 한 명은 높아야 한다. 그리고 자신은 절대 치료할 수 없기에 전투력이 모자라지 않는다면 의사는 전투에 동원하지 않는 것이 좋다.
  • 요리(Cooking) : 요리를 하는 속도와 요리 종류, 도축을 하는 속도와 도축 생산량에 영향을 준다. 요리 수치가 낮을 경우 식중독에 걸릴 수도 있고 최소 6은 되어야 괜찮은 식사를 만들 수 있으므로 요리사 한 명은 필요하다.
  • 건설(Construction) : 건설 및 수리 속도에 영향을 준다. 가구 특히 침대의 완성도에 따라 초반 무드관리가 결정되므로 초반에 중요한 스킬. 그러나 낮아도 일단 만들수는 있기에 최중요는 아니다.
  • 재배(Growing) : 재배 및 수확 속도, 수확 확률에 영향을 준다. 먹어야 살 수 있으므로 가장 잘 오른다. 생약의 원료인 약뿌리를 재배하려면 최소 8은 되어야 하므로 요리사와 의사못지않게 전문가 한명은 꼭 있어야한다.
  • 채광(Mining) : 채광 속도에 영향을 준다. 플라스틸을 캐거나 한다면 차이가 크지만 초반에 돌이나 강철 정도는 낮아도 웬만한 속도로 캘 수 있으므로 중요도는 떨어진다.
  • 예술(Artistic) : 알파 8에서 구현되었다. 완성되는 예술품의 예술 수치(완성도)를 결정한다. 초반에는 볼 일이 없으나 후반부 기분 관리의 핵심.
  • 제작(Crafting) : 단조 작업대, 기계 작업대에서 생산되는 작품의 품질과 메카노이드 분해, 돌벽돌(석재) 제작, 슬래그(커다란 강철 파편) 분해의 등 여러 작업 속도에 영향을 주는 능력치. 있는 물건 주워쓰는 초반을 넘어가서 생산을 시작하면 중요해져서 최소 한 명은 높아야 한다. 저격소총이나 LMG 등의 고급 무기가 최상품인 것과 끔찍 품질인 것의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다.
  • 연구(Research) : 연구 속도에 영향을 준다. 예외가 아니라면 보통은 한 명만 있으면 되는데 죄다 돌머리면 속도 차이가 꽤 나서 답답하다.

캐릭터의 배경은 어릴 때의 배경과 성인이 된 이후의 배경으로 나뉜다. 상당히 디테일해서 출신 성분에 따라 다른 배경들이 뜬다. 이 배경들에 따라 보너스와 페널티가 붙는데 몇몇 배경은 아예 어떤 일을 할 수 없는 등의 페널티가 생긴다. 정신이상자 등의 대놓고 막장 플레이 전용인 패널티밖에 없는 특성도 있다. 전투말고는 아무 것도 못하는 노블, 데스잭 등이 시작 주민으로 선택된다면 초반이 매우 힘들어지니 초반을 무난히 버티고 싶다면 랜덤버튼을 눌러서 쓸만한 개척민이 나올 때까지 노가다를 하거나 직접 능력치를 설정할 수 있게 하는 모드를 깔자.

0부터 20까지 기술 숙련도에 대한 명칭은 다음과 같다.

  • 0: 불가능함 (0이라도 결격 사항만 아니라면 훈련의 여지가 있다)
  • 1: 부적격자
  • 2: 기초적
  • 3: 기본적
  • 4: 아마추어
  • 5: 숙련된 아마추어 (딸기 재배가능)
  • 6: 종사자 (요리의 경우 좋은 식사(Fine Meal) 제작가능)
  • 7: 숙련 종사자 (홉 재배가능)
  • 8: 전문 종사자 (약뿌리(혈기초) 재배가능)
  • 9: 숙련 전문 종사자
  • 10: 전문가 (요리의 경우 호화로운 식사 (Lavish Meal) 제작가능, 악마가닥 재배가능)
  • 11: 숙련 전문가
  • 12: 상위 전문가
  • 13: 장인
  • 14: 뛰어난 장인
  • 15: 행성급 장인
  • 16: 항성계급 장인
  • 17: 존경받는 장인
  • 18: 선지자
  • 19: 전설
  • 20: 신적 존재

숙련도 10부터 해당 기술을 사용하지 않으면 천천히 감소한다. 높을수록 감소율이 높으므로 정말 자주 사용하는 기술이 아니면 노가다를 시켜놔도 대부분 10~12 사이에 머물게 된다. 이전 버전에선 숙련도 20에 도달하기만 한다면 경험치가 깎여도 숙련도는 내려가지 않았으나, 알파13에서 수정되어 20을 찍어도 하루정도만 방치되면 바로 19로 떨어진다.

4 결격사항

  • 공포, 소방 : 불이 났을때 소화 작업을 하지 못한다.
  • 단순노동 : 제초, 운반, 청소작업을 할 수 없다. 단순 노동용 일손이 부족하다면 은근히 골치 아픈 부분. 스탯이 안좋아도 이게 없으면 그나마 고려해볼만하지만 스탯이 좋아도 단순노동이 결격사항이면 다시 고려해볼만한 생각보다 중요한 사항. 특히 단순노동이 많이 필요한 스타팅 멤버로는 가장 기피된다. 다행이도 제작을 위한 재료들은 잘만 가져가고, 동물 사냥 후 시체 운반도 잘만 하는데 이것도 못하면 너무 잉여가 되기 때문인듯.
  • 지적활동 : 연구를 할 수 없다. 작업용으로만 쓸 예정이라면 크게 문제는 없다.
  • 청소 : 청소를 할 수 없다.
  • 농사 : 재배, 제초작업을 할 수 없다.
  • 제초 : 제초작업을 할 수 없다. 100%로 익지 않은 식물일 경우는 제초에 해당된다. 제초만 불가능한 림은 거의 없으나, 제초의 경우는 수확에 대한 문제가 아니면 사실상 페널티가 없다고도 볼 수 있는데, 제초가 불가능함에도 다양한 꼼수(...)로 제초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첫번째로 해당지역을 재배지로 만드는 방법이 있고, 두번째로 그 식물 땅 위에 벽등의 건물 가구를 짓는 방법이다.
  • 사교 : 사교 관련 작업(간수, 포섭)을 할 수 없다. 거래나 콘솔사용은 결격사항에 해당되지 않는다.
  • 폭력 : 전투가 불가능하다. 스타팅 멤버는 극초반에 습격을 당할 경우 전투원이고 뭐고 다같이 들고 나와서 싸워야 하기에 기피된다. 그래도 인원이 늘어 전투병력이 충분히 많고 폭력불가 캐릭터가 전문 의료인에 해당할 경우에는 괜찮다. 단, 광란 상태인 경우 공격적으로 폭력을 휘두른다. 폭력 못한다며. 때로는 Be폭력주의일수도 있지
  • 숙련노동 : 조리, 건설, 수리, 재배, 채굴, 제련, 제작, 재봉을 할 수 없다.
  • 운반 : 운반을 할 수 없다.
  • 제작 : 제작 작업을 할 수 없다.
  • 예술 : 예술 작업을 할 수 없다.
  • 간호 : 치료할 수 없다.
  • 요리 : 조리할 수 없다.
  • 채굴 : 채굴할 수 없다.
  • 동물 : 조련을 할 수 없다.

참고로 결격사항때문에 화재를 진압하는 상황과 진압하지 못하는 림들이 있는데 이를 세분화하면 다음과 같다.

결격사항 없음공포폭력소방
주거지역 안가능불가 가능불가
주거지역 밖가능가능불가 불가

1) 주거지역 안 은 구역에서 주거지역을 설정하고 작업탭에 소화작업을 설정해야 화재진압이 가능
2) 주거지역 밖 은 주거지역과 무관하게 림을 직접 소집해서 불근처에 가야 화재진압이 가능.

5 유아기와 성장기

림마다 유아기와 성장기에 무엇을 했는지 알 수 있고 그에 따라 결격사항과 능력치의 가감이 정해진다. 림월드 세계관 특성상 별별 다양한 출신의 사람들이 나오는데 출신 세계에 따라 가능한 배경들이 다른 것을 읽어보는 것도 묘미. 이벤트로 들어오는 림의 경우 이러한 사항과 나이만 알려주고 다른 스텟은 알려주지 않는데 결격사항과 직결되는 항목이므로 알아두면 림을 가려 받는게 수월해진다.
알파15 이후 이벤트로 들어오는 림의 나이와 특성은 알려주고 받아들일것인지 거부할것인지 고를수 있게 되었다.

[1] 참고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림월드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div></div>
  1. 일단 인간 외 모든 동물이 번식 가능하기도 하고 데이터를 뜯어보면 인간 임신도 구현하려던 흔적은 있다고 한다.
  2. 어린이가 등장하지 않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우선 게임 한 판의 시간적 길이가 길어야 5년 정도이기에 아이를 낳아도 성인이 될 때까지 키울 수 없고 처절한 생존게임인 특성상 어린이가 할 수 있는 일도 별로 없다. 그러나 다른 생존게임인 디스 워 오브 마인에서 DLC로 어린이가 구현된 것을 보면 아주 나중에 추가될지도? 또다른 이유는 검열 문제인데, 사람을 잡아서 장기 적출하고, 인육을 먹고, 노예로 팔아버리는 게임에 어린이가 등장해서 그런 일을 당하는 것이 구현된다면 큰 논란이 될 것이다. 미국은 특히 매체에서의 유아 살해에 예민해서 대부분의 NPC를 죽일 수 있는 폴아웃 시리즈에서도 어린이들은 절대 죽지 않고 무적이다.
  3. 연인들은 2인용 침대를 같이 쓰기를 원하며 각방을 쓰면 무드가 하락한다. 2인용 침대를 같이 배정해주면 가끔 관계를 해서 무드가 올라간다. 임신은 구현되지 않았다.
  4. 나이가 30년씩 차이나도 쉽게 연인이 된다. 이는 후술하겠지만 냉동수면이 워낙 보편적인 세계관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동갑내기도 나중에 다시 만나면 생물학적 나이가 수십년씩 차이날 수 있는 세상이기에 딱히 서로의 생물학적 나이를 신경쓰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5. 하지만 생인육을 먹을시 생식에 대한 무드감소는 여전히 있으므로 +20보다는 낮다. 즉 여유가 있으면 인육으로 괜찮은이나 호화로운 식사를 만드는 것이 최고.
  6. 최종확률에 +50%나 1.5배해주는 것은 아니고, 사격 단축키 b를 눌러 적군위에 커서를 놓으면 아군의 명중률이 나온다. 이때 사수에 해당하는 명중률에 50%를 가감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저격으로 최대사거리에서 20%찍은 명중률이 이 특성이 붙는다고 70%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따라 사수 x%, 어둠에 85% 앞에 화강암등의 장애물 80% 물체크기 X~200%(센터피드)등의 여러 요인이 표시되어있을 경우 이를 다 곱하여 최종 명중률을 계산하기 때문에 29% 또는 37% 등등이 되어 실제 최종 명중률의 증가율은 다를 수가 있다. 참고로 명중확률 50%추가가 사수명중률에 그대로 적용되는 것도 아닌데 이를 설명하려면 앞서서 사수의 명중률부터 설명할 필요가 있다. 캐릭터에 보면 i로 캐릭터의 효율등을 나타내는 창에서 나오는 조준 명중률은 바로 앞칸의 명중률이다. 그때부터 1칸씩 늘어날때마다 제곱 세제곱을 곱하기때문에, ex) 0레벨의 사수: 1칸 86%/ 2칸 0.86^2=74%/ 3칸 0.86^3=64%/ x칸=0.86^x (x는 소수점포함) 조준 명중률에 따라 최대 45칸까지의 명중률을 가늠해 볼 수 있다. 2%미만은 2%. 이때 0레벨의 바로 앞칸에서 신중한 사수로 인한 증가율이 6%다.(86%->92%) 1레벨은 7%(91%->98%) 그 이상은 그보다 더 적고. 그래서 일반 사수는 레벨에 따른 영향을 크게 받는데 비해(45칸 3레벨 9.4%/10레벨 25%/20레벨/38%) 신중한 사수의 경우 3레벨부터 20레벨까지 크게 차이를 갖지 못한다. (45칸 3레벨 65% / 10레벨 69% / 20레벨 70%), 단,위에 언급한 수치는 개조와 약물을 제외했을때 수치. 개조와 약물에 따라 크게 변동 가능하므로 주의. 사격이외 신중한사수와 난사광에 대한 정확한 계산식있으면 수정바람.
  7. 마냥 좋다고 보긴 힘든데, 아름다운 개척민에게 너도나도 고백을 해대서 개척지가 아침드라마를 찍다가 죄다 고백 거절로 멘붕하기 딱 좋기 때문. 외모 관련 특성은 없는 게 좋을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