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전춘

만전춘
滿殿春

1 소개

분명히 교사들이 가르치기는 하지만 수능에 나올 리가 없다고 생각하는 작품.하지만 모의고사에는 나온다

고려가요(高麗歌謠)중 하나. 작자와 지어진 시기는 미상이며 <악장가사(樂章歌詞)>와 <시용향악보(時用鄕樂譜)>에 실려 전해져 오고 있다. 이 시는 한 개의 시가로 보기 보다 여러 개의 다른 시가들을 맞추어 하나의 시가 형태로 발전된 것이다. 그 증거로는 첫째, 셋째, 네째 연은 표기 방법이 우리말식으로 지어져 있지만, 둘째와 다섯째 연은 한자어투가 많은 것을 알수가 있기 때문이다.

형식은 전 5연의 분절체로 쓰여져 있으며[1] 남녀간의 사랑을 담은 고려 속요다. 1연의 에로티시즘적인 성격을 보아 고려시대의 성문화에 대해 알수가 있으며 전체적인 노래가 남녀의 애정을 진솔하게 나타내어 『쌍화점』, 『이상곡』과 더불어 고려 속여중 남녀 상열지사의 대표작으로 꼽는다[2].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큰데, 4음보 율격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해석해서, 전형적인 고려가요라기 보다는 이후의 시조의 배경이 된 것으로 이해하는 입장도 있을 정도이다.[3]

조선시대 윤회(尹淮)가 지은 만전춘과 구별하기 위해 만전춘별사(滿殿春別詞)라고 부르기도 한다.

2 전문

2.1 원문

어름 우희 댓닙 자리 보아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뎜
어름 우희 댓님 자리 보아
님과 나와 어러주글만뎡
정둔 오ᄂᆞᆳ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耿耿孤枕上에 어느 ᄌᆞ미 오리오

西窓을 여러ᄒᆞ니
桃花ᅵ 發ᄒᆞ두다
도화ᄂᆞᆫ 시름업서 笑春風ᄒᆞᄂᆞ다 笑春風ᄒᆞᄂᆞ다

넉시라도 님을 ᄒᆞᆫᄃᆡᆧ

녀닛 景 너기더니
넉시라도 님을 ᄒᆞᆫᄃᆡᆧ
녀닛 景 너기더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 올다
소곳 얼면
여흘도 됴ᄒᆞ니 여흘도 됴ᄒᆞ니

南山애 자리 보아 玉山을 벼여 누여

錦繡山 니블 안해 麝香 각시를 안나 누어
南山애 자리 보아 玉山을 벼여 누여
錦繡山 니블 안해 麝香 각시를 안나 누어
藥든 가ᄉᆞᆷ을 맛초ᄋᆞᆸ사이다 맛초ᄋᆞᆸ사이다

오소 니하 遠代平生애 여힐ᄉᆞᆯ 모ᄅᆞᄋᆞᆸ새

2.2 풀이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어름 우희 댓닙자리 보와
님과 나와 어러 주글만뎡
정(情)둔 오날밤 더듸 새오시라 더듸 새오시라

경경(耿耿) 고침상(孤枕上)애

어느 자미 오리오
서창(西窓)을 여러하니
도화(桃花)난 발(發)하두다
도화(桃花)난 시름업서 소춘풍(笑春風)하나다 소춘풍(笑春風)하나다

넉시라도 님을 한데

녀닛 경(景) 너기다니
넉시라도 님을 한데
녀닛 경(景) 너기다니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뉘러시니잇가

올하 올하

아련 비올하
여흘란 어듸 두고
소해 자라온다
소콧 얼면 여흘도 됴하니 여흘도 됴하니

남산(南山)애 자리보와

옥산(玉山)을 벼어누어
금슈산(錦繡山) 니블 안해
샤향(麝香)각시를 아나 누어
남산(南山)애 자리보와
옥산(玉山)을 벼어누어
금슈산(錦繡山) 니블 안해
샤향(麝香)각시를 아나 누어
약(藥)든 가삼을 맛초압사이다 맛초압사이다

아소 님하 원대평생(遠代平生)애 여힐 살 모라압새

2.3 현대어 해석

얼음 위에 댓잎 자리[4] 펴서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얼음 위에 댓잎 자리 만들어
님과 내가 얼어 죽을 망정
정 나눈 오늘 밤 더디게 새소서, 더디게 새소서.

뒤척뒤척(근심어린) 외로운 침상(잠자리)에

어찌 잠이 오리오
서창을 열어젖히니
복숭아꽃 피어나도다
복숭아꽃은 근심이 없이 봄바람에 웃는구나 봄바람에 웃는구나.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
넋이라도 님과 함께
지내는 모습 그리더니
우기시던 이 누구였습니까 누구였습니까

오리야 오리야

어린(연약한) 비오리야
여울일랑 어디 두고
못(沼)에 자러 오느냐
못이 얼면 여울도 좋거니 여울도 좋거니

남산에 자리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남산에 자리 보아
옥산을 베고 누워
금수산 이불 안에
사향 각시를 안고 누워
약 든 가슴을 맞추옵시다 맞추옵시다

아! 님이여 평생토록 헤어질 줄 모르고 지냅시다
  1. 결사를 포함해 6연으로 보기도 한다.
  2. 이것저것 다 고려해도 1연의 수준이나 의미는 다른 연들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이다.
  3. 시조의 기원에 대해서는 정설이 없어서, 그 외에도 무가 기원설, 정읍사 기원설, 향가 기원설, 한시번역 기원설 등이 존재한다.
  4. 댓잎 자리 : 대나무 잎으로 만든 돗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