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470px
코드 기아스 반역의 를르슈R2의 등장인물.
나이트 오브 라운즈의 일원으로 금발벽안의 여성, 차분해보이는 외모의 소유자. 마지막 번호인 나이트 오브 트웰브이다. 나이트 오브 라운즈 중에서 유일하게 치마를 입고 있다. 성우는 락샤타 챠울라역의 쿠라타 마사요였는데, 22화에 마지막으로 나올때는 고토 유코의 목소리가 나왔다. 자세히 들어보면 20화에서의 목소리와 22화에서의 목소리가 미묘하게 다르다. 이것도 이노우에 나오미의 사례처럼 중간에 바뀐 듯.
2 작중행적
2.1 본편
R2 2화에서 등장하기는 했지만 대사도 없었고 그 이후로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고, 거의 극 후반에 가서야 등장했다. 그러나 자신이 지휘하던 황제 친위대의 빈센트 부대는 서덜랜드 따위에게 처맞는 굴욕을 당했고, 그 자신도 전용기조차 못 보여주고 쿠루루기 스자쿠의 공격에 쓸렸다.(…) 처음엔 뭔가 숨기고 있는 미소때문에 주목되었지만 그저 졸개일뿐...
마지막으로 남긴 유언은 "이것이 바로 9세대 나이트메어 프레임…쿠루루기 스자쿠!"스자쿠의 정체는 나이트메어였다.... 위화감이 없는게 함정
570px
모니카: 우리들, 역시 총알받이였네요..
도로테아: 오히려 길바닥의 돌멩이 정도였지...
루키아노: …차라도 마실래?
...無念...
470px
그녀가 남기고 간 것은 학교수영복 비스무리한 이상한 파일럿복 뿐.
2.2 코드 기아스 쌍모의 오즈
놀랍게도 여기에서도 깜짝 등장했는데 올드린 편에서는 상트페테르부르크로 가는 도상 지중해에 있던 글린다 기사단에게 라운드의 권한으로 테러 조직인 사하라의 송곳니와 교전하는 아군의 증원과 베자이아 기지의 엄호를 요청한다. 오르페우스 편에서는 노획된 EU의 KMF 테스트를 위해 방문한 캄보디아에서 브리타니아 군의 폭행을 보고 비난한 오르페우스를 보고 식사 약속을 한다. 그러나 정체를 모른다고는 하지만 오르페우스와의 KMF 교전에서 기체인 플로렌스를 파괴당하며 부상당해서 본국으로 후송되어 그와의 식사 약속은 지켜지지 못했다.
그녀 자신은 자각하지 않았지만 오르페우스에게 호의를 품고 오르페우스도 그녀에게 적지 않은 호감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정의는 평등하게 주어진다는 이상주의적인 신념과 넘버즈에 대한 편견이 없는 일면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쌍모의 오즈가 반역의 를르슈의 외전이다보니 여기서도 쿠루루기 스자쿠에 의해 죽는것은 변함이 없다. 게다가 마리카와 카린느와는 달리 이쪽은 확실히 사망했다는 것이다. 그나마 비중이 어느정도 되는데다가 전용기가 드러난것, 호감을 보였던 오르페우스도 죽었으니 저세상에서 만났을 지도 모른다는 것에 위안으로 삼아야할듯하다.
2.3 제2차 슈퍼로봇대전 Z 재세편
if루트든 원작루트든 50화에서만 등장해서 "폐하...! 이 에어리어에 접근해오는 부대가...!" 이 한마디만 하고 끝. 그리고 등장없음. 아마도 서비스 등장이었던 듯하다. 죽지 않은 걸 위안으로 삼아야 하나...
3 모니카 이름의 의문(?)
모니카의 풀네임 철자는 Monica Kruszewski.
출처는 [1]
'크루셰프스키'라는 성(姓) 스펠링을 보자면 폴란드계로 추정된다. 폴란드나 러시아 등 슬라브식 이름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키 ski'는 여성의 경우 '-스카 ska'로 어미변화를 하므로 엄밀하게는 크루셰프스키(Kruszewski)가 아닌 크루셰프스카(Kruszewska)가 더 정확한 표기이다.[1]
여성에게 남성의 성씨가 붙었다는 건 두가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원작자의 실수가 아니면 모니카의 성(性, gender) 정체성이 겉보기와 다르다는 점...!
후자의 경우라면 모니카에 모에 하실 분들이 상처를 입을 수도 있으니 어디까지나 전자에 희망을 걸도록 하자.
그러나 아버지쪽 가문이 이민자라 -스키 이름을 어미변화를 가하지 않고 그대로 냅둔 케이스일 수도 있으니 괜히 걱정하진 말자(...) 지금은 고전게임이 되어버린 코만도스2의 캐릭터인 '나타샤 니코체브스키' 같은 예도 있으니.....
- ↑ 단 이것은 현지인의 규칙이고, 이들이 외국에 나가 정착해서 살게 되면 딸의 성을 굳이 '~스카야'라는 여성형으로 바꾸기보다는 그냥 '~스키'라는 성으로 계속 가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대표적인 예로 여배우 나스타샤 킨스키가 있고, 각종 영화의 엔딩 크레딧에서도 이런 현상은 쉽게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