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야돌리드 논쟁

Junta de Valladolid

1550년 스페인 바야돌리드에서 일어난 논쟁.

콜럼버스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 스페인인들은 아메리카 대륙을 식민지로 만들면서 수많은 인디오들을 학살하고 노예로 삼았다. 그러나 스페인의 아메리카 대륙에 대한 잔혹한 식민통치가 계속 되자 스페인 내부에서도 이에 대한 비판적인 흐름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런 가운데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오들이 에스파냐의 가혹한 통치로 점점 인구가 감소하면서 에스파냐의 카를 5세는 엔코미엔다[1]를 폐지하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엔코미엔다를 통해 막대한 이득을 보고 있던 에스퍄냐의 대귀족들의 반발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었다.[2] 이에 칼 5세는 아메리카 대륙의 인디오들의 지위와 권리에 대한 확실한 판단을 위해 위원회를 구성하고 바야돌리드에서 회의를 개최하게 되었다.

이 회의에서 저명한 스페인의 석학인 세풀베다(Juan Gines de Sepulveda)는 인디오들은 이성이 없기 때문에 강압적 방법으로 지배하고 통치해도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 반면, 도미니크회 수사인 바르톨로메 데 라스 카사스는 인디오들에게도 이성이 있으며 강압적인 방식이 아닌 설득과 교육으로 인디오들을 교화시켜야 한다고 맞섰다.

당대의 고명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자였던 세풀베다는, 아메리카에 대한 군사적 정복을 옹호하던 이였고 이에 맞선 라스 카사스는 66세로서 1544년에 치아파스 지역의 주교로 부임했었고 1547년까지 아메리카에 실제로 머물러 있었다.

세풀베다는 오랫동안 에스파냐의 군사적 정복을 옹호한 인물이었는데, 1529년에는 오스만 투르크에 맞서 십자군 거병을 요구하기도 한 인물이었다. 세풀베다로 대표되는 호전적 정신은 에라스무스의 평화주의에 맞서 군사적 정복을 옹호한 카프리의 영주 알베르토 피오의 후원을 받았다. 상기한 대로 세풀베다는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의 대가였으며, 이에 따라 세풀베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연적 노예 상태에 대한 이론을 전개한 것을 역설할 수 있었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죄에 대한 징벌로서의 노예' 이론을 전개하였고 그 근거로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우상 숭배, 식인 풍습, 인신 공양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라스 카사스는 원주민들의 토지 소유권 역시 '자연법과 국제법'에 따라 신 앞에서 존중되어야 함을 역설했고 신대륙의 원주민들도 문명을 쌓은 이성인들이므로 '개종을 하지 않는다고 처벌되어서는 안 되며' 악의적으로 복음의 전파를 막는 이들만이 처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의 시대 상황을 고려하면 이는 매우 수준높은 주장이었다. 놀랍게도 라스 카사스는 교황이나 기독교 군주가 보편적인 정치적 정당성을 가지지 못했으므로 타문명인이 자리잡은 아메리카에 대한 군사적 정복은 합당하지 않다고까지 주장했다.

며칠간의 격렬한 논쟁 끝에 교황 특사는 라스카사스의 의견을 수용하여 인디오들에게도 이성과 문화가 있으며 인디오들을 노예로 삼거나 가혹한 처우를 해선 안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에 따라 인디오들을 노예로 만드는 모든 행위가 불법화되었다. 그러나 인디오들을 노예로 삼지 못하게 되는 바람에, 이후 아프리카의 흑인들을 마구잡이로 잡아다가 노예로 끌고 오는 사태가 일어나게 되어버렸다. 한 마디로 말해서 "인디오들도 우리랑 같은 인간인 것 같으니 더 이상 인간 괴롭히지 말고 인간이 아닌 흑인 노예 갖다 쓰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논쟁은, 근대 국제법의 탄생에 직결되는 내용들을 담고 있었으며 몽테뉴[3]가 1580년에 "야만인들의 악행에 관해서는 정죄하면서도 우리 유럽인들 자신의 악행들에 대해서는 눈이 멀어 있다"고 개탄하는 등, 자기 반성적 태도를 유럽에 불러일으켰다.[4]

그런데 한편으로는 라스카사스 역시 인디언 대신 흑인 노예들을 데려와 쓰는 식민지 통치 방법을 카를로스 5세에게 진언했다고.#역시 그나물에 그 밥인가 그러나 라스카사스의 인품 자체가 고결했는지 훗날 자기 제안 대로 끌려온 흑인 노예들의 비참한 모습을 보면서 깊게 후회했고 노예제 전면폐지를 주장했다.[5]

그리고 라스카사스는 이걸로 끝나지 않고 이 논쟁 이후에도 활동하며 '인디언의 역사 Historia de las Indias' 라는 책을 내는데(그의 사후 스페인의 적국인 프랑스와 영국에서 출판되었다.), 이 책은 서문 부터가 "신이 에스파냐를 멸망시키려고 한다면 그것은 우리가 서인도에서 자행한 파괴행위 때문이며 에스파냐를 파괴시키려는 신의 생각은 명백히 정당하고 그것은 40년이 지나면 분명해질 것이다" 라는 스페인인으로서는 매국노라고 불려도 할 말 없는 매국적인 언급까지도 하였고, 저 책 역시 적국인 프랑스와 영국에서 스페인을 공격하는 요소로 쓰였다.

이때문에 범 인류적으로는 공을 세운 인물일지는 모르나 조국인 스페인에 대해선 좋지 못한 인물로서 에스파냐의 메넨데스 피달 같은 저명한 학자는 라스카사스를 매우 깐다. 참고로 피달은 1869년생이고 1968년에 졸했으니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사람이다. 심지어 라스카사스에 대한 비판은 말년인 1960년대에 했다.[6] 그러니깐 불과 20세기 중반에 활동한 학자라는 사람이 16세기의 라스카사스보다도 못한 이런 편협한 사고를 갖고 있는 것이다.(...) 그냥 늙어서 노망이 든게 아닐까?

상기의 역사적 사실들에 근거한 소설도 있으며 국내에 번역 출간되어 있다 (바야돌리드 논쟁, 샘터, 2007). 분량도 적고 재미도 있으니 흥미있는 분들은 한 번 읽어보셔도 좋을 듯.

  1. 에스파냐 국왕으로부터 권리를 위임받아 아메리카 대륙 등지를 지배, 관리하는 제도를 뜻한다.
  2. 콩키스타도르의 반발로 인하여 라스카사스는 1546년에 주교직에서 물러났고 국왕은 1549년에 엔코미엔다에 대한 개혁 조항을 포기했다.
  3. <수상록>으로 유명한 그 사람이다.
  4. 상기 내용들의 출처는 주로 대서양 문명사, 김명섭 교수 저, 256-261쪽
  5. 당연하지만 흑인 노예들의 인권을 위해 적극적으로 일한 성직자가 없던 건 아니었다. 대표적으로는 성 베드로 클라베르가 있다.
  6. 참고로 이 때 미국에선 마틴 루터 킹 목사로 대표되는 흑인 민권운동이 활발히 일어나던 때였다. 물론 이 때만 해도 인종차별이 공공연하게 일어나던 때였긴 하지만 한편으로는 그런 항거하는 커다란 움직임이 있다는 걸 학자라는 피달이 감지나 인식을 못한 모양이다. 공교롭게도 킹 목사가 피달과 사망한 연도도 똑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