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스토텔레스

290x350px

BC 384~BC 322.

고대 그리스어: Ἀριστοτέλης (Aristotélēs)
그리스어: Αριστοτέλης (Aristotélis)
라틴어: Aristoteles
영어: Aristotle

1 개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을 따르지 않는 인문학사와 석사는 그 철학에서 벗어날 때마다 5실링의 벌금을 내야한다.

-14세기 옥스퍼드 대학

고대 그리스철학자.
형식 논리의 창시자이자 과학적 방법론의 아버지

1998년 저명한 현대철학자들이 벌인 "서구 철학계에서 가장 큰 영향을 끼친 철학자"를 뽑는 투표에서 1위 차지.[1]

스승인 플라톤과 함께 2천여년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위인이다.[2]한마디로 먼치킨. 형이상학, 논리학, 정치철학, 윤리학, 자연철학, 과학, 생물학 등 인간이 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 통달하고 그것들의 기초를 마련한 철학사의 거인. 중세 이후부터 그가 틀렸다는 사람들이 계속 비판을 해서 위상이 많이 깎인 면은 있지만 그가 대단한 사람이었다는 것은 분명하다.

2 일대기

소크라테스에서 플라톤, 플라톤에서 아리스토텔레스로 사제관계가 이어진다. 게다가 이 사람의 제자 중에는 그 유명한 알렉산드로스 대왕도 있다.

BC 384년 마케도니아 스타게이로스에서 출생하고 아타르네우스에서 자랐다. 17세 때 아테네에 진출, 플라톤의 학원 '아카데메이아'에 들어가, 스승이 죽을 때까지 거기서 수학했다. 플라톤이 죽을 때까진 플라톤을 까댄 적이 없었으나 불만은 축적되어 있었던 모양인지 사후 "플라톤은 소중한 벗이다. 하지만 진리는 더 소중한 벗이다.[3]" 라는 유명한 말과 함께 스승과 학문적으로 결별했으며 누차에 걸쳐 스승의 이론을 비판하기도 했다.[4] 심지어는 그의 저술 중에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대해 '그따위 헛소리는 집어치워야 한다' 는 문장이 있을 정도. [5] 다만 그가 비판한 것은 주로 중기 이데아론이고, 플라톤의 후기 이데아론은 아리스토텔레스도 거의 그대로 수용한다.

플라톤이 죽고난 뒤 아카데메이아의 원장이 될 것이라 원생 누구도 의심하지 않았지만 외국인이라는 이유로 떨어지고 플라톤이 원장직을 조카에게 물려주자 아타르네우스로 돌아가 동물학, 식물학 연구를 했고 여기서 왕의 이복동생(또는 조카)과 결혼했다. 그 후 고향 마케도니아로 돌아가 필리포스 2세의 아들, 즉 왕세자 시절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을 가르친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그가 추천한 《일리아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평생 읽는 책이 된 것으로 보이며, 알렉산드리아 도서관도 스승님 연구하라고 지어줬다.

제자가 원정을 떠난 후[6] BC 335년에 다시 아테네로 돌아와 직접 리케이온이라는 학당을 건립하고 여기서 학생들을 가르쳤다. 지금 남아 있는 저작의 대부분은 이 시대의 강의노트이다. 그는 물리학, 형이상학, 시학, 생물학, 동물학, 논리학, 수사학, 정치학, 윤리학 등 다양한 주제로 책을 저술하였다.

알렉산드로스가 인도 원정길에 요절한 뒤 마케도니아가 분열되면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아테네의 미움을 사게 되었다. 우리 식으로 쉽게 이해하자면 '한반도에서 광복을 맞이한 일본인'인 셈이었기 때문.[7] 자신들을 정복한 마케도니아 출신인데다 그 마케도니아 왕의 스승이기까지 했으니... 결국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죽자 아테네의 신을 모독했다는 누명을 쓰고 추방당했으며, 칼키스라는 작은 섬나라로 도망가서[8] 연구를 계속하다 이듬해 위염으로 사망했다.

3 학문

생각해보면 말년을 제외하고는 굉장히 성공한 인생이다. 고교 독서평설에 의하면 "요즘으로 치자면 유명 병원 원장 아버지를 둔 부유한 집안 출신에(그의 아버지는 마케도니아의 어의였다.) 명문대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최고 명문가인 왕가의 딸과 결혼했으며 나중에 자신이 졸업한 명문대에 버금가는 명문 대학[9]을 건립한 성공한 철학자"라고 하여 '구질구질 우거지상을 하며 우울한 느낌을 주는 철학자상'과 반대되는 이미지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거기다 당대 세계의 정복자의 스승까지 했으니 세속적 관점에서 이만한 성공을 한 경우는 별로 없을 듯.

앞에서 말한 듯이 스승 플라톤의 이데아론에 반기를 들어 자연탐구를 중시하는 현실적 입장을 취한다.[10] 이렇기 때문에 폭넓은 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물리학, 천문학, 화학, 생물학 등 전방위에서 모조리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아쉽게도 일부는 유사과학 적이다 이전까지 연구, 관찰 없이 소설만 쓰던 것에 비하면 연구와 관찰을 중시했다는 점에서 대단한 진일보. 최초로 신이 아니라 자연에 원인을 돌리는 거대한 전환을 탈레스가 이루어냈지만, 여전히 형이상학적인 수준에서 "만물의 근원은 물이다!"를 주장했던 것보다 한단계 더 거대한 전환을 한 것이다. 실제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전의 관념적 주장 중 상당수를 반박했다.

현대와 비교해보면 그의 연구와 관찰은 초보적이었고 따라서 결론도 엉성한 부분이 많았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하여 과거의 학자들을) 평가절하는 경우도 많지만 과학의 기반을 이루는 과학적 방법론은 수많은 철학적 탐구의 결과로서 쌓아올려진 것인데, 서양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와 플라톤)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철학은 거의 없기 때문에 무조건 평가절하할 일만은 아니다.[11]

그는 귀납적 관찰로부터 자연에 대한 공리를 얻고 그 공리로부터 사실을 연역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관찰이라는 것은 정확한 측정도구가 없으면 오차가 생기기 쉽다. 따라서 공학이 발달하고 통제된 환경에서의 실험, 그리고 통계적 처리가 가능하게 된 현대 이전에는 그 한계로 잘못된 추론에 의한 공리가 잡히게 되는 경우가 많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몇몇 공리들은 그러한 상태로 남아서 극복되기까지 오랜 세월이 걸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과정 자체를 과학사의 발달과정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그래서 (서양중심적이라는 부분을 넘어가자면) 모든 학문의 아버지로 통한다. 그 어느 학문의 개론서를 봐도, 학문의 역사 부분에서 아리스토텔레스가 가장 먼저 나오지 않는 학문은 흔치 않다.

철학사가 슈퇴리히에 따르면, 아리스토텔레스는 거대한 사설 도서관도 세우고, 세계 각처의 동식물을 포함한 자연과학적 자료를 수집했다고 한다. 그의 제자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각지의 동식물 표본들을 모아서 아리스토텔레스에게 보냈다고 한다. 또한 비교 연구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는 무려 158종이나 되는 헌법을 수집했다고 한다. 잊어서는 안 되는 것이, 이 모든 일이 예수 탄생 한참 이전에 이루어졌다. 현대의 학자들도 함부로 하기 힘든 일을 고대인이 해낸 것.

3.1 4원인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적 성과의 예 중 하나는 원인 개념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이론을 제시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임의의 사물에 대한 설명을 요구하는 "?" 질문들에 대한 답이 크게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뉘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때 "왜" 질문에 대한 대답에 대응하는 것이 바로 "원인(αἴτιον)"이라고 간주했다.

'사물 x의 네 가지 원인:
*
질료인(material cause): "
x는 무엇으로 이루어졌는가?"
* e.g. "뽀로로 피규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
형상인(formal cause): x가 된다는 것은 무엇인가?"
* e.g. "뽀로로 피규어가 된다는 것은 뽀로로 모양을 띤다는 것이다."
* 작용인(efficient cause): "x는 어떻게 생겨났는가?"
* e.g. "뽀로로 피규어는 일련의 조형 기술에 따라 이러저러하게 만들어진 것이다"
* 목적인(final cause): "x는 무엇을 위한 것인가?"
* e.g. "뽀로로 피규어는 뽀로로 덕후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형상인과 목적인이 많은 경우에 일치한다고 보았으며, 이 목적인이 질료인이나 작용인보다 중요하다고 보았다. 하지만 아리스토텔레스 당시에도 자연을 설명하는데 '목적인'이 필요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았으며,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에 맞서 목적론을 옹호하는 논변을 『자연학』에서 제시했다.

현대에도 여전히 목적론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시각이 일반적이며, "원인"이라고 할 땐 작용인만을 가리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진화론에서 자연선택에 기초한 설명이 '목적인'과 맥락을 같이 하는게 아니냐는 주장에 관한 찬반 논란이 이루어지고 있다[12].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인과 문서의 78판, 1.3.1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4 재조명

흔히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천년 동안 인정받아 온 듯이 설명되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반대다. 서로마 제국이 멸망한 이후, 아리스토텔레스는 유럽에서 오랫동안 잊혀졌다. 기독교는 아리스토텔레스보다 오히려 플라톤의 철학에 기반을 두고 있었고(정확하게는 신플라톤주의) [13], 아리스토텔레스는 논리학을 제외하면 유럽인들의 관심 밖이었다.

카이사르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을 불태워서 인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들은 원전이 거의 전해지지 않는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 카이사르가 불태운 서적들은 당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에 소장되기 위해 대기 중이었던 책들이었고 그나마 후에 마르쿠스 안토니우스클레오파트라에게 선물로 페르가몬 도서관의 장서 20만권(...)을 선물했기에 큰 타격은 아니었다.

오히려 아리스토텔레스 사후 좀 복잡하게 저작들이 여기저기 흩어진 이유는 아리스토텔리스가 아테네에서 추방당한 탓이 컸다. 이후 지하 창고 안에서 썩어가던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책수집 덕후가 사들여서 수집하고 보관한 덕에 지금 남아있는 정도의 저작이 남게 되었다고 한다. 그 남아있는 저작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저술했다고 알려진 저작의 반도 안된다는 얘기도 있는데 후에도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화편들이 소실되어서 어려운 강의 노트들만 남았다고 개탄하기도 한다. 일단 로마 시대까지만 해도 세네카나 키케로 같은 로마 철학자들이 그의 서적을 필사하기도 했다고... 남아있는 거라곤 '올림픽의 승자들'같은 쓰잘데기 없는 기록뿐이라고도 하는데(철학이 아니라 사학의 사료로 쓰자면 쓰잘데기 없는 기록은 전혀 아니지만) 사실은 오히려 전문연구서적이 더 많이 남은 셈이다.

어쨌든 로마 제국 이후 아리스토텔레스가 보존된 곳은 당연히 로마 제국의 분열 이후 그리스를 비롯한 동방 영토에 자리 잡은 동로마 제국이었으며,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지속되어, 11-12세기의 동로마 공주 안나 콤네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표적인 저작인 니코마코스 윤리학에 주석을 다는 작업을 후원하기도 했다. 또한 이슬람 세계에서도 많은 연구가 이어져 왔으며, 십자군 전쟁(레콩키스타 포함)을 통해 처음에는 아랍어로 번역된 아리스토텔레스 및 기타 그리스의 책들이, 그리고 그 후에는 그리스어로 된 원전(...이라고 해도 실제 고대 그리스 시대의 저작이 그대로 이어진 것은 아니다)이 차례차례 번역되면서 유럽의 정신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14] 제자의 역습

이때의 충격이 너무 강했는지, 아리스토텔레스의 학문은 유럽에서 절대적인 권위를 누리게 된다. 심지어 기독교 신학에서도 아우구스티누스 이래로 플라톤 철학에 기반을 둔 전통에서 벗어나 토마스 아퀴나스처럼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기반을 두는 움직임이 나올 정도였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기독교의 입장에서는 엄연히 이교도였음에도 불구하고 신학까지 변화시킬 정도다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당시 유럽의 정신세계를 얼마나 뒤흔들었는지를 잘 보여준다.[15] 덕분에 물리 천문에서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코페르니쿠스, 화학에서는 라부아지에한테 교정될 때까지 그의 권위는 흔들리지 않는 지위를 누리게 되었다.[16] 하지만 그가 바라는 것은 아니었을 듯... 자연을 탐구하랬더니 자기 말이나 탐구하고 있다...

기본적인 그의 학문적 방법론은 모든 사물을 범주화하고 어떤 사물이 그 사물이게 하는 본질을 제시하는데 있다. 그 본질을 통해 사물의 운동과 변화를 설명한다. 모든 사물의 운동과 변화를 역학적인 방식이 아니라 사물이 자신의 본질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설명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공간 안의 사물의 위치변화 또한 에너지나 힘과 같은 역학적인 개념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각 사물이 그 자신의 본성에 따른 정해진 위치로 돌아가는 자연적 경향에서 찾는다. 오늘날의 시각에서 미신적이고 우매해 보이는 물리적 설명이 가끔 나오는 이유는 여기에 있다.

그렇다고 해도 무식한 고대인이라고 비웃어서는 안 되는 게, 사실 이 사람이야말로 과학적 방법론의 기초를 닦은 사람이기 때문이다. 인간의 인식능력에 대해 최초의 단계적 분석을 시도했고 논리학만 기초를 놓은 게 아니라 그 분석을 기초로 경험을 통한 일반화라는 과학 뿐 아니라 학문의 방법론 자체를 처음으로 정립한 사람이다. 고대인의 관점에서 '합리적' 설명을 시도하다보니 여러가지로 무리한 해석이 많이 나오기는 했지만, 아무리 훌륭한 학자라도 시대적 한계까지는 어쩔 수 없을 것이다.(현대인 천재론이 얼마나 무리수인지 생각해 보자.) 애당초 이 시대는 자연과학 자체가 분리된 학문으로 존재한 것이 아니라 철학과 한 묶음이었던 시대다.

근대에 와서 흔히 까이는 역할을 맡게 된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대로 근대과학이 바로 그의 방법론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왔기 때문이다. 단순히 앞선 시대의 방법론이라는 '자료'로만 남았으면 좋았겠지만 불행히도 아리스토텔레스는 필요 이상의 권위를 가지게 되었고 근대과학의 방법론은 그 아리스토텔레스의 권위에 맞서 싸우며 아리스토텔레스를 부정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하게 되었다. 그러나 현대의 많은 과학사학자들은 아리스토텔레스 등의 학문이 유럽 지식인들에게 준 충격이 바로 근대과학이 시작된 계기가 된 것으로 보고 있다.

4원소설 + 천상의 제5원소 떡밥 덕택에 연금술의 기반이 되었다.

어처구니없게도 물리, 천문, 화학에서 전방위로 까이는 바람에 마치 과학의 원수인양 다뤄지지만 동물 분류학에서는 나름 탁견.[17] 섬게의 크기가 달의 차고 기욺에 따라 크고 작아진다고 쓰기도 했고, 그 시절에 이미 고래포유류에 가까운 종류로 따로 분류했다(포유류 자체에 포함시킨 것은 아님). 정작 이 부분은 제자들에게 "쯧쯧, 우리 선생님 실수하신 듯. 고래는 어류 ㄲㄲ" 하는 바람에 묻혀버렸다(...) .

윤리학 부분에서는 자격, 목적, 좋은 삶, 중용 등이 주요 개념이다. 자격은 어떠한 사람이 어떠한 대접이 적절한지는 그 행위나 대상의 목적에 따라 다르다고 한다. 그리고 개인은 좋은 삶을 지향하며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일종의 웰빙인 셈. 중용은 젖절하신 그분을 떠올리게 만들 정도로 적절한 행동을 강조한다.[18] 김대기는 아리스토텔레스적 원칙을 바탕으로 게임을 했어!

논리학삼단논법의 창시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체계를 닦아놓은 논리학은 르네상스 시대를 거쳐 '형식논리학'의 틀을 이루게 된다. 이후 프레게, 조지 불, 버트런드 러셀이 등장하여 '기호논리학'으로 불리는 현대 논리학의 새로운 조류가 나타날 때까지는 사실상 이 분야의 독보적인 존재였다.

정치학적으론 귀족정치 지지자. 왕정은 결국 독재정치로 가고, 민주주의중우정치로 가고 과두정은 금권정치로 가므로 셋을 적절히 융합한 귀족정을 주장했다. 그래서 귀족정이 영어로 "aristocracy"[19] 그리스인들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해서 페르시아를 까는데 매우 열성적이었다.

문학에서는 시학을 통해 체계적인 문학비평의 효시가 되었다. 시학에서 비극의 작동원리를 카타르시스라고 규정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허나 카타르시스는 전문을 걸쳐 단 한번 언급되어질 뿐이며, 아리스토텔레스는 오히려 시학 전체에 걸쳐 플롯을 가장 강조하였다. 시학은 현재의 관점으로 보면 제작학적인 성격이 짙으므로 본격문학보다는 대중문학 이론에서 더 자주 언급된다. 스승인 플라톤이 예술 곧 '모방'은 이데아의 모방인 현실세계의 2차적 모방이라고 규정하고 천시하고, 그 때문에 '국가'에서 시인추방론을 역설한 것과 달리, 아리스토텔레스는 '역사는 개별적인 것을 다루지만 시(서사시)는 보편적인 것을 다루므로 시가 더 철학적이다'라고 하여 문학의 존재가치를 역설하였다.

5 기타

영미권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를 Aristotle이라고 쓰고 "어리스터틀"에 가깝게 읽는다. 어리스 거북이(...)

영혼에 관하여 아리스토텔레스가 한 설명은 서양의 인간관을 정립하는데 초석이 되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질료형상론(質料形相論, Hylemorphism)에 의하면, 모든 사물의 구조원리가 그렇듯이 모든 생물의 구성원리는 원질(原質) 혹은 질료와 체형(體形) 혹은 형상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모든 생명체의 체형 또는 형상이 혼이다. 그에 의하면 식물에게는 생혼(生魂)이 있고, 동물에게는 각혼(覺魂)이 있으며 이 각혼은 생혼의 기능을 동시에 한다. 그리고 인간에게는 지혼(知魂)이 있는데, 지혼은 생혼, 각혼의 기능을 동시에 하고 있다. 즉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이 인간 이외의 생물과 구분되는 점을 지혼이라고 보았고, '인간은 이성을 지녔기에 인간이다' 라는 서양의 인간관을 정립하는데 공헌했다.[20]
한편 영혼이 없다고 주장했다는 말도 있는데,[21] 정확히 말하자면 아리스토텔레스는 스승인 플라톤의 영혼관을 부정한 것이지 영혼 자체를 부정하지는 않았다. 플라톤은 신체를 영혼을 가두어논 일종의 감옥 상태로 보았는데, 아리스토텔레스는 영과 육에 대한 스승의 극단적 이분법을 배격한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영혼의 활동을 위한 사람들의 서로 다른 기질은 그들 신체의 서로 다른 기질에 의존한다"라고 표현하였는데, 이를테면 사람의 감정과 이성은 영혼의 활동이지만 호르몬, 신경간의 전기적 자극 등과 결코 동떨어져서 생각할 수 없다. 여기서 나온 유명한 표현이 바로 "훌륭한 신체에 고결한 영혼이 깃든다"라는 유명한 명언이다.[22] 이러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혼관은 그리스도교의 영혼관과도 일치한다.[23] 때문에 아리스토텔레스와 전통적인 그리스도교가 말하는 영혼은 차라리 '정신'으로 이해하는게 훨씬 오해의 여지가 적을 것이며, 동양의 귀신 이야기에서나 나올법한, 살아있는 사람과 대화하고 인격적 교류를 나누는 스타일의 귀신은, 쉽게말해서 아노하나 같은 이야기는 전통적인 유럽인의 세계관에서는 다소 어색한 묘사이다.[24]

지성인이 되고 싶다면 아리스토텔레스 원전 읽기에 도전해보자.[25] 철학사에서도 가장 어려운 저서를 남긴 것으로도 악명이 높다. 나중에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나름의 해석을 붙인 페르시아의 철학자 이븐 시나 같은 경우에는 당대의 지적 엄친아였는데도 불구하고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이 너무 어려워서 고생 많이 했다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 그래서 그의 "형이상학"같은 경우에는 40회나 정독했다나.

사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을 어느정도 이해한다면 근대 철학의 합리론에서 자주 등장하는 개념들도 쉽게 이해 가능하다.[26] 근데 이해하기가 쉬워야 말이지...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를 읽을 수 있는 정도의 능력이라면 사실 이 지구상 어느 철학자의 저서도 이해하지 못할 것이 없다는 얘기도 아리스토텔레스 전공자들 사이에서 떠돈다. 방송대에서 법철학을 가르치시는 모 교수님의 말에 따르면, 30년간 읽어왔는데도 아직도 잠이 안올때 즐겨 사용하는 책 이라고 한다.

사실 어려울 만도 한게 앞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작에 대해서 설명했듯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곧바로 독자들과 소통할 목적으로 지은 책이 아니라 그냥 자신의 생각을 강의하기 위해 정리한 강의안 비슷한 것들 밖에 남아있지 않다. 즉 자기 자신만이 이해하기 위해 썼던 것 말고 다른 남아있는 게 없어서 어쩔 수 없이 읽는 거다. 이븐 시나의 한탄도 이해가 될 법하다.

압바스 왕조의 칼리프 알 마문은 꿈 속에서 아리스토텔레스를 만나 밤새 얘기한 뒤에 바그다드에 큰 도서관을 지어 번역사업을 진행할 것을 명했다고 한다.

중세 아랍에서도 존경받았던 철학자이자 최초의 교사. 심지어 아리스토텔레스 이전에는 논리가 없었다고 생각될 정도로 추앙을 받았다.[27]

어린이들 사이에서는 좀 안습한 처지인데, 아리스토텔리스가 주로 활약한 철학 분야는 어린이에게는 맞지 않기 때문에 본인 이야기는 아동용 서적에서 잘 안 다뤄지고 대신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위인전을 통해 '무거운 물체는 빨리 떨어지고 가벼운 물체는 늦게 떨어진다'라는 무식한 소리를 한 옛날 사람 정도로만 접하기 쉽기 때문에 안 좋은 인상으로 남기 딱 좋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세운 업적이 얼마나 큰지를 생각하면 정말이지 안습.

저서 중 <니코마코스 윤리학>은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신의 아들 니코마코스를 위해 지었다고 알려졌는데, 재밌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버지 이름도 니코마코스다.[28]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직접 읽어본다면 위에서 상술했다시피, 아리스토텔레스가 아들을 얼마나 싫어했는지 알 수 있다. 읽는 사람에게 충분히 심적 고통을 줄 수 있을만한 글이다. 노트 필기를 같이 하며 읽자.

뜬금없이 "러브라이브의 기적"이란 책에 "μ's의 해체와 아리스토텔레스" 언급이 나와 비 오덕과 철학계, 역덕에게 까이게 되었다.(...)무슨 이유로 엮인 건지...혹시 아버지와 아들이 이름 때문에?

물리교육학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에서 뉴턴으로 이어지는 물리적 관념의 변화과정 자체를 중요하게 다룬다. 왜냐하면 배경 지식 없이 직관적으로 가지기 쉬운 물리적 이해가 아리스토텔레스를 비롯한 고대인들의 관념과 더 가깝기 때문이다. 이 관념을 일단 받아들이고 나서 그것을 교정해나가는 2000년의 과정을 초등물리교육에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6 저서

위에서 설명했듯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대부분 소실됐다.[29] 아이러니하게도 책으로 출판하려고 한 저서들은 대부분 소실되었지만[30] 강의노트와 미출판용 저서들은 살아남았다. 또한, 그중에서도 위작이 있고 같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는 저서들이 있어 아직도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 목록은 현재진행형이다. 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19세기에 Immanuel Bekker가 모아서 번호를 붙였고 현재 모든 번역본도 이 Bekker 번호를 문단 옆에 붙이며 이것을 기준으로 모든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문 인용할 때 쓰인다. 물론 Bekker 번호가 붙고 난 다음에 발견한 저서들이나 부분들만으로 복원된 저서들은 이 번호가 붙어있지 않지만 대부분 연구 중이기 때문에 fragments라고 불리고 밑의 저서 리스트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취소선으로 표시된 저서들은 위작이라고 판명됐거나 의심을 받고 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저서들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theoretical (지식 자체를 위한 지식), practical (무언가를 하려는 지식), 그리고 productive (무언가를 만들기 위한 지식이다). 그리고 이 세 가지 지식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31]가 논리학이다.

6.1 논리학 (Organon)

영어 제목한글 제목약자책/페이지
Categories범주론Cat.I / 1-15
On Interpretation명제론Int.I / 16-24
Prior Analytics분석론전서APr.II / 24-70
Posterior Analytics분석론후서APo.II / 71-100
Topics변증론Top.VIII / 100-164
On Sophistical Refutations궤변론SE.I / 164-184

6.2 Theoretical Science

영어 제목한글 제목약자책/페이지
Physics자연학Ph.VIII / 184-267
On the Heavens천체에 관하여Cael.IV / 268-313
On Generation and Destruction생성과 소멸에 관하여GCII / 314-338
Meteorology기상학Mete.IV / 338-390
On the Cosmos세계에 관하여Mu.I / 391-401
On the Soul혼에 관하여de An.III / 402-435
다음 아홉개의 저서는 자연학 논문집이라고 불린다.
On Sense and Sensibilia감각과 감각 대상에 관하여Sens.I / 436-449
On Memory and Recollection기억과 생각해냄에 관하여Mem.I / 449-453
On Sleep and Wake잠과 깨어있음에 관하여Somn.I / 453-458
On Dreams꿈에 관하여Insomn.I / 458-462
On Prophesy in Sleep잠속의 예언에 관하여Div. Somn.I / 452-464
On Length and Shortness of Life장수와 단명에 관하여Long.I / 464-467
On Youth and Old Age. On Life and Death젊음과 늙음, 삶과 죽음에 관하여Juv.I / 467-470
On Respiration호흡작용에 관하여Resp.I / 470-480
On Breath호흡에 관하여Spir.I / 481-486
여기서부터 생물학 저서가 시작된다
History of Animals동물 탐구HAX / 486-638
Parts of Animals동물의 부분들에 관하여PAIV / 639-697
Motions of Animals동물의 움직임에 관하여MAI / 697-704
Progression of Animals동물의 앞으로 움직임에 관하여IAI / 704-714
Generation of Animals동물의 발생에 관하여GAV / 715-789
다음 열개의 저서는 위서로 의심받고있다
On Colors색에 관하여Col.I / 791-799
On Things Heard청각대상에 관하여Aud.I / 800-804
Physiognomics관상학Phgn.I 805-814
On Plants식물에 관하여Plant.I / 815-830
On Marvellous Things Heard진기한 이야기들에 관하여Mir.I / 830-847
Mechanics역학적인 문제들Mech.I / 847-858
Problems자연학적인 문제들Prob.XXXVIII / 859-967
On Indivisible Lines분할되지 않는 선에 관하여LII / 968-972
Situations of the Winds바람의 위치와 이름Vent.I / 973
On Melissus, On Xenophanes, On Gorgias멜리소스, 크레노피네스, 고르기아스에 관하여MXGI / 974-980
이 항목은 자연학 다음에 놓여진 작품이라 Meta (그리스어로 다음) Physics (자연학) 이다.
Metaphysics형이상학Metaph.XIV / 980-1093

6.3 Practical Science

영어 제목한글 제목약자책/페이지
Nicomachean Ethics니코마코스 윤리학NEX / 1094-1181
Great Ethics대 윤리학MMII / 1181-1213
Eudemian Ethics에우데모스 윤리학EEVIII / 1214-1249
On Virtues and Vices덕과 악덕에 관하여VVI / 1249-1251
Politics정치학Pol.VIII / 1252-1342
Economics경제학Oec.III / 1343-1353

6.4 Productive Science

영어 제목한글 제목약자책/페이지
Art of Rhetoric수사학Rh.III / 1354 - 1420
Rhetoric to Alexander알렉산드로스를 위한 수사학Rh. Al.I / 1420 - 1447
Poetics시학Po.I / 1447-1462

7 괴담

h2_1975.1.1416.jpg

그런데 이토록 유명한 철학자에 오래전부터 널리 알려진 괴담이 하나 있다.

애첩 필리스와 노느라 정무를 멀리하던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스승 아리스토텔레스는 여자를 멀리하라는 충고를 하고, 제자는 필리스를 멀리하게 된다. 그러나 곧 필리스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원인임을 알게되고, 복수를 위해 아리스토텔레스를 유혹할 계획을 세운다. 결국 노스승은 여자에 빠져 급기야 그녀를 등에 태우고 채찍에 얻어맞기에 이르게된다. 진성 M? 이 때 필리아는 노래를 불렀고, 그것을 듣고 다가와 스승과 애첩의 모습을 보게된 알렉산드로스는 당황했다. 그러나 아리스토텔레스는 늙은 자신도 여자에 저항할 수 없는데, 젊은 너는 어떻겠냐, 이것을 보여줄려고 했다는 식으로 둘러댔고 말했고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스승의 실수를 눈감아준다.

사실은 13세기 프랑스의 노르만 시인인 앙리 당들리(Henri d'Andeli)가 만든 시며, 유물도 그 시대 이전의 것은 없다. 그리고 이는 당대에 널리 퍼졌던 재미있는 이야기일 뿐만 아니라 의외로 금욕적인 기독교가 좋아할만한 이야기였다. "여자를 멀리하라"는 교훈을 담은 이 이야기를 교회에서는 교육적으로도 높이 평가했고 교회의 주교들이 직접 들려줄 정도였다. 그래서 이 이야기는 전 유럽에 널리 퍼져 많은 조각상과 그림을 남겼다. 구글에서도 Aristotle Phyllis라고 검색하면 많은 작품들이 나온다(...). 다만 필리스라는 이름은 독일쪽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보인다.

앤서니 케니는 자신의 서양철학사 중 '고대철학'에서 필리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아내였다고 서술하고 있기도 하다(152쪽).

8 대중문화 속의 아리스토텔레스

  • 이토 준지의 공포박물관에 실린 단편 "길 없는 거리"에서는 초반에 등장하는 남학생이 주인공 여학생에게 걸은 최면이 "아리스토텔레스"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 스스로를 '빅 아리스토텔레스'라 칭하던 어느 덩치 큰 농구선수도 있었다. 소크라테스라는 이름의 축구 선수도 있었는데 뭘...
  • 큐라레: 마법 도서관에도 아리스토텔레스를 모티브로 한 동명의 인물이 나오나 이 사람과는 전혀 상관없는 인물이나 다름 없다. 항목 참조.
  1. 2위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스승인 플라톤, 3위가 칸트, 4위가 니체, 5위가 루트비히 요제프 요한 비트겐슈타인이었다. 물론 이 투표가 절대적인 권위를 갖는 건 아니다. 새천년을 맞아 전세계의 철학자들이 뽑은 다른 투표에서는 소크라테스칸트가 최고의 철학자로 뽑혔으며, 영국의 철학자들이 21세기 초에 뽑은 투표에서는 마르크스가 최고의 철학자로 뽑혔다.
  2. 서양철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인물이 플라톤이냐 아리스토텔레스냐 하는 논쟁에 대한 답은 시대마다 달라진다. 예를들어 같은 중세 시대라고 해도 초기에는 플라톤의 영향력이 강했고 후기에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영향이 강했다. 즉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 중 누가 더 위대하냐는 논쟁은 의미없는 일이다.
  3. 친구라는 말은 본래 단순히 동갑을 말하는 게 아니라 포괄적인 단어다.
  4. 《니코마코스 윤리학》이나 《형이상학》에서 이데아론을, 《정치학》에서 플라톤의 《국가》, 《법률》을 비판한다.
  5. APo. 1. 22. 83a28 참고.
  6. 이 시기에도 제자는 진귀한 동식물들을 계속 스승에게 보내줘 동물원과 식물원을 차려주기도 했다.
  7. 아테네는 오랫동안 아테네 학생들을 교육한 이 마케도니아 출신의 당대 최고의 지성에게 끝내 시민권을 주지 않았다. 원래 고대 국가가 그런 경향이 많긴 하지만 그리스도 지들 도시국가들끼리 그리스 부심이 쩔었다.
  8. 이때 도망가면서, "아테네로 하여금 철학에 두 번 죄 짓지 않게 하겠다."고 했다. 스승의 스승을 의식한 것.
  9. 리케이온. 이 말은 고등학교를 뜻하는 프랑스어 lycée에 그 흔적이 남아있다.
  10. 그래서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에서 스승과 함께 등장할 때 플라톤은 하늘을, 그는 땅을 가리키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11. 굳이 따지자면 포스트모더니즘 정도? 소피스트와는 통한다.
  12. 다윈 자신은 연구 저작에서 "목적인" 개념을 사용한 기록을 많이 남겼으며, 또한 진화론을 목적론으로 파악한 아사 그레이(Asa Gray)의 견해에 대해 호의적인 입장을 표한 바 있다(Lennox, J. G. (1993). Darwin was a teleologist. Biology and Philosophy, 8(4), 409-421.). 물론 다윈의 입장이 맞는지, 또한 그게 현대 진화생물학에 제대로 부합하는지 여부는 또 전혀 다른 문제다. 스탠포드 철학 백과 참조.
  13. 기독교에서는 이데아를 로고스 안에 두며 이를 창조된 사물들의 모델로 여긴다.
  14. 유클리드의 기하학 원론 등도 비슷한 과정을 거쳐서 유럽으로 다시 전해졌다. 아랍 과학자들의 연구결과나 인도 숫자 등도 함께 전해졌다.
  15. 다만 유럽인들이 이교도의 철학을 막연하게 거부한 것은 아니다. 애초에 플라톤부터가 이교도였기도 하고(...). 단 플라톤의 독주가 근 천 년에 걸쳐 이루어졌던 교부 신학 체계에서 플라톤과 궤를 달리하는 아리스토텔레스가 그의 지위를 대체해 철학자의 대명사가 되고, 스콜라 철학의 완성에 기여할 정도로 널리 인용되었음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16. 정확히 말하면 프톨레마이오스의 천동설 등은 아리스토텔레스와 직접적인 관계는 없다. 아리스토텔레스가 그런 고전적인 학문의 대명사가 되어 버린 탓이다.
  17. 물론 자연의 사다리 같은 것을 주장하긴 했지만. 이 사다리는 중간에 천사 등을 집어넣어 기독교가 아주 유용하게 써먹었다. 그리고 이것은 다윈진화론 등장 전까지 계속 주장되었다. 아니, 현재 진행형이다.
  18. 만약 학부 수준에서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읽고 레포트나 논문을 쓰게 될 경우 세부적 질의에서 적절한 답변을 위해 적절한으로 답변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경우를 수도 없이 만나게 된다. 간단히 말하면 행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적절한 배경의 인간이 적절한 상황에서 적절한 판단을 내리고 적절한 덕을 함양할 때 우리는 비로소 적절한 행복에 이르게 된다. 흠좀무
  19. aristo- 는 '최고의'라는 뜻을 가진 그리스어 어간이다. 아리스토파네스 등 이름에 들어간 사람이 많다.
  20. 참고로 말하자면 2차 대전 이후에는 이성에 대한 인류의 맹신이 붕괴하였고, 컴퓨터의 발달 등으로 인해 '이성' 뿐만 아니라 '감정' 역시도 강조하는 쪽으로 바뀌는 추세다. 이는 포스트모더니스트들 역시 강조하는 부분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생각하는 동물'로서의 인간관이 가진 전제인 자유의지에 대해서 회의적인 생물학적 결정론이 유행하는 추세이기도 하며, 인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난립하는 시대.
  21. Massimo Pigliucci,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 노태돈 역, 부키, 2012, p31
  22. 시인 유베날리스가 최초로 한 것으로 흔히 오인되는데, 이보다는 아리스토렐레스쪽이 먼저 썻다. 출처는 신학자 세르티앙주의 저서 <공부하는 삶>.
  23. 플라톤식의 영혼관은, 그리스도교에서는 영지주의자를 제외하면 안한다
  24. 물론 시대가 변하면서 동서양의 문화교류가 늘었기에, 서구의 오컬트에서도 동양 스타일의 귀신이야기는 잘만 등장한다.
  25. 다만 한국어 전집 완역은 아직도 완성이 되지 않은 상태다. 부분적으로 번역이 되어 있지만 희랍어 직역이 아닌 중역도 상당수다. 그의 저서를 번역본으로 볼 때는 이 점에 주의할 것. 일본이 30년씩 재번역하는 것에 비교하면...
  26. 다만 의외로 중세 철학은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을 익혔다고 쉽게 익히기는 어렵다. 이쪽의 경우 아리스토텔레스와는 계통 자체가 다른 그리스도교 교리와 교부 철학에 대한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27. 위의 항목들을 보면 알겠지만 논리학이라는 학문 자체를 창시한 인물이 바로 아리스토텔레스다. 논리야 놀자
  28. 이로 인해 '니코마코스 윤리학'이라는 제목이 아리스토텔레스가 자신의 아버지를 기리기 위해 붙인 것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29. 암흑시대 때 로마 제국이 붕괴하면서 르네상스까지 제대로 된 문서보존이 되어있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얇은 파피루스가 남아있었다는 게 신기하다.
  30. 완벽하게 남아있는 대화편은 없다. 하지만 부분만 남아있는 것들로 복원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니 언젠가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대화편을 볼 수 있을 것이다. 특히 Protrepticus 같은 경우는 Iamblichus of Chalices가 3세기에 기록한 내용이 있어 복원이 시도되고 있다.
  31. 그리스어로 Orga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