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이 무엇인지는 오직 역사에서만 배울 수 있다. - 딜타이[1]
Wilhelm Dilthey (1833년 11월 19일 ~ 1911년 10월 1일)
1 개요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의 인식론적 기획을 역사적으로 계승한 역사이성비판을 주장하였다.[2]
2 사상
주로 쇼펜하우어, 베르그송과 함께 생철학으로 분류되나 실상 딜타이 철학의 핵심은 생철학의 개별성과 칸트적 인식론이 갖는 보편성간의 조화를 역사 안에서 꾀하는 작업이라고 봐야한다. 딜타이는 우선 이를 위해서 과학[3]을 정적이고 보편적인 자연과학과 개별적 삶의 동적 차원을 다루는 정신과학[4]으로 분리 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후 딜타이는 정신과학이 무엇인지 규정해 나가는데, 먼저 개별적 삶에서 보이는 체험의 의미를 해석하는데 그 초점이 맞춰진다.[5]
개개인의 체험은 근본적으로 자연과학의 이론과 다르며, 이는 수많은 의미의 생생한 장이기에 분석이 아닌 해석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6] 동시에 딜타이는 이러한 체험들이 모여 보편화된 현상의 총체를 역사라고 보았다. 즉, 그에게 있어서 역사란 단순히 그 자체로 단일하게 실제하는 것이 아닌 체험들의 의미 작용이고, 여기서 도출되는 보편성을 다루는 것이 바로 정신과학의 과제라고 보았던 것이다.
딜타이가 규정한 이 세계 안에서는 보편(역사)과 개별(체험)은 상호침투적 성격을 갖는다. 즉, 체험은 체험들의 그물망인 역사에 의해 규정되고, 역사는 마찬가지로 체험들을 바탕으로 한다.[7]
이를 바탕으로 딜타이는 헤겔의 역사철학을 두고, 역사가 무엇인지 알았지만 개별성을 무시하여 불완전하게 끝났다고 평하였다. 이는 보편성은 개별성이 갖는 의미들을 전제로 하고, 이 의미의 해석을 거치지 않고선 온전히 그를 이해할 수 없다는 해석학의 개념으로 이어진다.[8]
3 그 외
딜타이는 교육 사상에도 영향을 끼친 것으로도 유명한데, 앞서 설명한 정신과학적 전제를 바탕으로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사상을 연구하여 후대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4 저서
정신과학에서 역사적 세계의 건립
해석학의 탄생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교육
정신과학과 개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