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어리랏다

4495489s.gif

1993년 삼육필름에서 제작한 조선왕조를 배경으로 한 한국 사극영화. 삼육필름의 대표이자 영화감독 윤삼육[1] 이 지휘봉을 잡은 영화로 이덕화, 이미연, 장항선 등이 주연으로 나오게 되었다. 남성적이면서 거친면도 많은 영화이고, 중반부 이후는 거의 내용 대부분이 주인공 일가의 탈주와 전투씬인 영화이고, 자신들을 하찮은 목숨으로 보고 생사를 결정하려는 권력자와 세상으로 부터 탈출하려는 애절한 탈주극인 면이 있어서 꽤 비장미가 넘치는 영화다.

사실 윤삼육이 70년대 각본을 쓴 망나니 비사의 리메이크 작품으로서 제작비를 더 추가하고 현대적인 시각을 넣어서 다루었던 작품으로 망나니 비사 역시 가끔 공중파를 탔었다. 이 작품은 백일섭,김지미,허장강 주연

조선왕조 시대가 배경이지만 기존 사극이 대체로 임금, 왕족 양반층 인사나 특정위인을 중심으로 다루었던 반면 당시 신분제도상 가장 하층민인 천민 및 백정, 그것도 특이하게 당시 죄수들의 목을 베는 망나니를 소재로 다룬 영화로 망나니와 양반집 규수가 금단의 사랑을 하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

영화의 스토리는 아래 글과 해당 스토리를 다룬 블로그의 내용이 디테일한 부분에서 차이가 있으므로, 해당 영화를 직접 본 사람이 수정 바람.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조선시대 백정촌에서 사는 망나니인 만석은 죄수의 목을 베어내는 일을 생업으로 하며 살아가는 인물이다. 사람 목 베는 것이 일상인 만석은 상대를 고통스럽게 베어 죽이기도 고통없이 죽이기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그런 그에게 하루는 양반집 노복이 찾아와 그들의 상전이 죄수가 되어 처형되는데[2], 칼등으로 베어서 고통없이, 죽게 해달라는 요청을 하게 된다. 그리고 그에게 돈을 주러온 양반의 딸, 숙영을 본 그는 숙영을 눈여겨 보게 된다. 그러나 양반들에게 큰 분노를 품고 있던 그는 숙영을 강제로 범하고[3] 돈을 받은데로 숙영의 아버지는 고통없이 칼등으로 쳐죽이게 된다. 그러나 아버지의 시신을 찾아 가려던 숙영은 당시 역적의 가족이 그렇듯이 나졸들에게 잡혀 천민으로 격하되고 결국 노비 신세가 된다. 이에 만석은 숙영을 구하기 위해 인신매매 거간꾼 집에서 그녀를 구하게 되고 결국에는 양반과 천민 신분을 넘는 금단의 사랑을 맺으며 부부가 되고 아이를 출산하게 된다. 그러나 역적으로 몰리면서 몸을 피하고 있던 숙영의 백부가 만석의 신분 상승을 약속해 주면서 만석에게 자신의 암살자가 되어 자기 반대파를 전부 죽일 것을 부탁하고 만석은 이를 받아들여 매일매일 밤마다 사람을 죽이며 다니게 된다.[4]

그러나 정작 시대가 바뀌어 사면복권을 받아 권력을 잡은 백부는 자신의 비밀을 덮기 위해 만석과 숙영을 둘다 없애려고 관군을 보내고, 속은 것을 알게된 만석과 숙영은 살아남기 위해 자신들의 갓난아이를 살리기 위해 필사적으로 도망친다. 치열한 격투 끝에 간신히 목적지인 나룻터에 도착하지만 거기 까지 쫓아온 관군들과 맞서 싸우다가 결국 무수히 난도질 당해 숙영은 죽고 만석도 간신히 아이만을 나룻배에 담은 채 떠나 보내고는 힘이 다해 죽고 만다. 남은 시체들을 뒤로 하고 백정촌 노인과 아이가 탄 배가 멀어지는데 배에서 노인도 죽게 되며 아이만 남은 배가 떠나면서 영화는 끝난다.[5]

잔혹하면서도 비정하고 거칠면서도 또한 묘하게 아름다운 비극적인 사랑 이야기와 영상미로 모스크바 영화제에서도 수상을 한 걸작 영화중 하나다. 참고로 이덕화의 마지막 영화 주연작이기도 한데 이후 특별출연이나 찬조 출연으로 등장하는 경우는 있어도 주인공으로 등장한 영화는 이것이 마지막. 이덕화의 연기력이 그야말로 폭발한 영화중 하나이기도 하다. 단 이미연의 연기가 너무 비교가 된 탓에 분위기를 망친다는 평도 있다

이에 힘입어 이덕화러시아에서 열렸던 모스크바 국제영화제에서 한국배우 자격으로 남우주연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안겼다.이는 남자배우로선 아시아 태평양 영화제를 빼면 처음으로 국제영화제에서 받은 수상이라 화제가 되었다[6]. 후담에 의하면 수상 당시까지는 눈물을 보이지 않았다가 귀국하게 되자 그 때부터 눈물을 흘렸다고 하는데 사극이라는 힘들고 어려운 제작에 힘쓴 감독과 제작진들의 노고가 생각이 났고 국제적인 수상까지 안겼던 것에 감동을 받았다고.
  1. 아버지가 영화감독 윤봉춘으로, 본인은 시나리오 라이터로 오랫동안 활약했다. 그가 쓴 시나리오 대표작이 장군의 아들... 다만 영화 감독으로서는 이 영화가 사실상 유일한 흥행작이자 최고로 작품성을 인정받는 작품.
  2. 작중에서는 반역죄로 묘사되는데 사실 이후 이야기 돌아가는 것을 보면 역적죄를 빙자한 정치파벌 싸움일 가능성이 높다. 진짜 반역이라면 복권되기가 거의 불가능한터. 조선역사상 반역이 복권된 것은 사육신과 같은 아주 특이한 케이스이고 그나마 사후 수백년이 지나야 되었던 일
  3. 사랑으로 묘사하는 사람도 있는데, 최초에는 그런 감정이 아니라 '더럽다'며 돈을 직접 건내주지 않고 바닥에 던지는 양반집 규수인 숙영에 대한 만석의 복수심 내지는 정복욕이 발동하여 강간을 한 것으로 묘사된다...
  4. 이 와중에서 같이 일을 벌이던 친구 백정 장항선이 죽게 되자 신분을 감추기 위해 친구의 목을 잘라가는 장면은 지금처럼 지문이나 DNA검사로 신원을 확인하기 어려운 시절이니까 머리를 잘라가면 시체의 신원을 알수 없게 된다. 단 이것은 친구의 부탁.
  5. 백일섭이 나온 영화판은 결말이 약간 다른데 킬러 일을 하다 죽게 되는 친구는 끝까지 살아남고 숙영은 죽지만 만석은 죽지 않고 잡혀서 같이 망나니 일 하던 친구의 손에 처형된다. 이 부분에서 둘의 오묘한 표정이 명장면, 그리고 백정촌 노인은 끝까지 살아남아 아이와 함께 멀리 떠나가는데서 마무리
  6. 여자배우로서는 강수연아제 아제 바라아제로 동영화제 16회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하였고, 그 이전에 낭트 영화제, 베니스 영화제 등을 휩쓸고 다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