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別抄─亂
고려에서 1270년 5월에서 1273년 4월까지 삼별초들이 일으킨 반란. 여몽전쟁의 마무리 격으로 여겨진다.
1 강화도에서 난을 일으키다
임유무가 살해당한 후에 원종이 개경 환도를 준비하자 이에 반발해 따르지 않고 마음대로 부고를 징발했으며, 여름 6월에 배중손, 노영희 등이 나라를 돕고자 하는 사람이 있으면 격구장에 모이라고 했다가 모인 사람들이 달아나서 사방으로 흩어지자 사람들의 출입을 금지했다. 강으로 돌아다니면서 군사들을 이끌고 강화도에서 반란을 일으켜 왕온을 협박해 왕으로 삼았다.
이 과정에서 원종에게 마중을 나간 백관들의 처자들 다수를 사로잡았고[1] 강화도를 지키는 군사들이 많이 도망가서 육지로 나갔기에 강화도를 지키지 못할 것이라 여겨 재물, 자녀들을 모조리 실었다. 남쪽으로 내려간 삼별초가 이끄는 배는 1천여 척이나 되었고 이숙진, 윤길보 등이 추격하자 부락산에서 군세를 과시해 도망가게 만들었으며, 이어서 김방경, 송만호 등의 추격을 받아 영흥도에 정박했다가 도망치는 것에 성공했고 이 때 삼별초로부터 남녀 1천여 명이 도망갔다.
2 진도에서의 항쟁
가을 8월에 진도에 들어가서 여러 주, 군을 침략하고 황제의 명령이라 사칭하면서 전라도 안찰사에게 백성들에게 곡식을 거둬들일 것을 독촉하게 하면서 바다 섬으로 옮겨 살게 했다. 겨울 12월에는 고려에서 사신을 보내 몽골의 조서를 받들고 위로하면서 항복시키려 했지만 거절했고 김방경, 아카이 등이 군사를 이끌고 진도를 공격하자 역습을 했지만 김방경이 돌진해 필사적으로 저항해 고전하다가 양동무가 구원하자 삼별초는 철수했다.
봄 2월에는 장흥부 조양현을 침입해 노략질을 해서 전함을 불태우고 방어 도정령 진정의 군사를 격파했으며, 3월에는 합포현을 공격해 감무[2]를 사로잡거나 동래군을 공격했다. 여름 4월에 금주에 침입한 후에 산성을 불태우고 노략질을 했으며, 5월에는 몽골군이 이기지 못하는 것을 보고 방비를 하지 않다가 김방경, 홍다구 등의 공격을 받아 놀라서 처자를 버리고 흩어졌다.
또한 김방경, 흔도 등이 이끄는 군사들의 추격을 받아 왕온이 죽고 남녀 1만여 인, 전함 수 십 척이 포획되는 등 큰 피해를 입자 김통정이 삼별초를 이끌고 탐라도로 들어갔다. 이 때 삼별초 중에서 일부는 남해현을 점거하고 연해 지방을 공격해 노략질하다가 김방경 등의 공격으로 인해 탐라도에 들어갔다는 것을 알고 배 80여 척을 이끌고 따라갔다.
3 제주도에서의 재항전
1272년 봄 3월에 회령군을 공격해 조운선 4척, 여름 5월에는 대포에 침입해 조운선 13척을 약탈했으며, 대포를 공격한 달에 탐진현을 불지르고 약탈했다. 금훈이 초유하기 위해 삼별초에게 향하다가 추자도를 통과할 때 금훈의 종자를 죽이고 전리를 억류하면서 금훈이 타던 배를 빼앗고 작은 배를 주어 돌려보냈다.
가을 8월에는 전라도의 상공미 8백석을 약탈하고 9월에는 고란도를 공격해 전함 6척을 불태우고 배를 만드는 장인들을 죽이면서 홍주부사 이행검, 결성 감무, 남포 감무 등을 사로잡았다. 겨울 11월에 안남도호부에 침입해 부사 공유와 그 아내를 붙잡고 합포를 공격해 전함 20척을 배우고 몽골 병졸 네 사람을 붙잡았으며, 거제현을 침입해 전함 3척을 불태우고 현령을 사로잡았다.
4 진압
이로 인해 겨울 12월에는 원나라에서 조서를 내려 군사 6천, 수부 3천을 징발하게 했으며, 1273년 봄 정월에 삼별초가 10척을 이끌고 낙안군을 공격하거나 합포를 공격해 전함 32척을 불태우고 몽고의 군사 10여인을 붙잡아 죽였다.
봄 2월에 원나라에서 흔도, 홍다구 등을 시켜 탐라도를 토벌하게 하도록 지시하고 김방경이 정예 기병 8백을 거느려 흔도를 따랐으며, 흔도, 홍다구가 반남현에 주둔한 뒤에 출발하려고 했다가 여러 도의 전함들이 표류하거나 침몰했다. 여름 4월에 김방경이 흔도와 함께 군사 1만, 전함 160척을 이끌고 탐라도로 갔으며, 함덕포에서부터 들어가 삼별초가 매복했다가 고려군의 중군을 공격했고 김방경이 성난 소리로 꾸짖고 고세화, 나유 등이 삼별초를 공격해 격파하자 생포한 사람이 많았다.
여몽 연합군의 좌군의 전함이 비양도로부터 삼별초의 진지를 공격해 이들을 무너뜨리고 대부분 항복하면서 삼별초를 평정했으며,전세가 뒤집혀버리자 김통정은 70여 인을 거느리고 산 속으로 도망가 농성을 벌였으나 김통정이 사망하면서 삼별초의 난은 막을 내렸다.
5 평가
원래는 반란일 뿐이였으나 광복 이후엔 민족주의 방향으로 서술이 된 바 있으며 군사정권부터는 "고려 무인의 조국 독립을 지키기 위한 민족항쟁"같은 방식으로 소개됐다고 한다. #
삼별초의 난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고려 정부군은 삼별초의 근거지를 없애기 위해 서남해안의 모든 섬에 공도령(空島令), 즉 섬을 비우는 정책을 강제로 시행했다. 이 때문에 섬 주민들은 강제로 본토에 이주해야 했다. 게다가 이후 고려 말 왜구의 침입이 이어지면서 공도령은 지속되었다. 이로 인해 수천년 동안 이어져 오던 섬 지역의 문화들이 거의 소멸해 버렸다. 때문에 공도령을 처음부터 실시하지 않은 제주도나 공도령이 오래 지속되지 않은 진도군 지역을 제외하면 제대로 섬 고유의 문화가 남은 곳이 별로 없다.
당시 탐라 주민들에게는 그리 환영받지 못했다. 삼별초 문서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