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


파일: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jpg

1 개요

1983년 문학과 지성사에서 발간된 시인 황지우의 시집.

또는 위 시집에 수록된 같은 제목의 자유시.

2 본문

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우리는

일제히 일어나 애국가를 경청한다
삼천리 화려 강산의
을숙도에서 일정한 군(群)을 이루며
갈대 숲을 이륙하는 흰 새떼들이
자기들끼리 끼룩거리면서
자기들끼리 낄낄대면서
일렬 이열 삼렬 횡대로 자기들의 세상을
이 세상에서 떼어 메고
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간다
우리도 우리들끼리
낄낄대면서
깔쭉대면서
우리의 대열을 이루며
한 세상 떼어 메고
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갔으면
하는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로
각각 자기 자리에 앉는다
주저앉는다

3 분석

영화가 시작하기 전에 우리는
일제히 일어나 애국가를 경청한다

-80년도의 극장에서는 영화 상영전에 애국가를 틀어줬고 그 때마다 일어나야 했다.

삼천리 화려 강산의
을숙도에서 일정한 군(群)을 이루며
갈대 숲을 이륙하는 흰 새떼들이
자기들끼리 끼룩거리면서
자기들끼리 낄낄대면서
일렬 이열 삼렬 횡대로 자기들의 세상을
이 세상에서 떼어 메고
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간다

-애국가의 영상에 등장하는 "을숙도의 날아가는 새들"을 묘사한 것이다.

우리도 우리들끼리
낄낄대면서
깔쭉대면서
우리의 대열을 이루며
한 세상 떼어 메고
이 세상 밖 어디론가 날아갔으면

-시적 화자, 더 나아가 당시 대한민국 국민 대부분의 현실 도피(보통 이 쪽에 무게가 실린다.) 또는 개혁에 대한 간절한 소망

하는데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로
각각 자기 자리에 앉는다
주저앉는다

-애국가 끝과 동시에 무기력하게 주저 앉는 모습으로, 화자의 "무기력한 현실"로의 회귀를 이야기한다. 실제로도 5.18 민주화운동이 일어나기 전까지는 사실상 개혁은 꿈도 꾸지 못했으니 당연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