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격서

昭格署

1 소개

조선시대에 도교의 보존과 도교 의식을 위하여 설치한 정부기관

고려시대부터 도교 관련 기관은 여러곳이 있었는데 조선이 건국된 해인 1392년에 소격전(昭格殿)이라 하여 하나로 합쳤던 것이 기원이다. 하늘과 별자리, 산천에 복을 빌고 병을 고치게 하며 비를 내리게 기원하는 국가의 제사를 맡았는데, 1466년(세조 12) 관제개편 때 소격서로 개칭하였다.

관원으로는 영(令:종5품) 1명, 별제(別提:정6품) 2명, 참봉(종9품) 2명과 잡직(雜職)으로 15명의 도류(道流)를 두었다. 도류는 도사(道士)라고도 하며 4품으로 거관(去官)되었는데, 이들은 시험에 합격하여 자격증을 얻은 사람 중에서 선발되었다.

여기에 딸린 도류들은 백의(白衣)와 오건(烏巾)을 착용하여 영보경(靈寶經) 등 경문(經文)을 외우며 치성을 드렸는데, 축원하는 글을 푸른 종이에 써서 불사르는 등 의식의 절차는 엄숙하고 복잡하였다.

2 혁파 논란

연산군 때, 소격서는 형식적으로 혁파되었다. 하지만 형식적일 뿐이었고 초제는 그대로 거행하였다.

중종 재위 시기, 1518년에 조광조 등의 요청으로 소격서를 일시적으로 혁파하였다.이때 제복(祭服)·제기(祭器)·신위(神位)까지 땅에 파묻었다. 하지만 중종은 조상 때부터 내려온 제도라면서 소격서 혁파 주장에 거부감을 보였고, 1525년 기묘사화 이후 대비의 간청이라는 이유로 다시 부활시켰다.

이러다가 임진왜란 이후 선조가 폐지하였다. 소격서의 근거가 되는 도교가 노자를 숭상하는 이단이라는 점, 제후국인 조선에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것은 명분에 어긋난다는 점, 초제를 지내는 비용이 낭비되며, 소격서는 쓸데없는 관리라는 점 등의 이유이다.

이 내용을 보면 국왕은 소격서를 유지하고 싶어했고, 반면 성리학에 충실한 관료들은 혁파를 요구하는데 이유는 간단하다. 소격서는 결국 조선왕이 중국황제와 얼핏 비슷한 위치에서 지내는 천제를 관장하는 위치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조선에서 지낸 초제의 경우는 마니산 초제는 단군이 중심이고, 소격서에선 중국 관방도교가 아니라 민간신앙인 옥황상제를 중심에 두는 등 미묘한 차이가 있기는 했으나 결국은 그게 그거였다. 고려시대에 존재하던 팔관회와 연등회가 불교행사라는 이유로 없어진 이후 조선 왕들은 소격서 초제만이라도 유지하기 위해서 노력을 했던 것이다. 반면 사림으로 대표되는 성리학지상주의+왕권견제 세력들은 도교적인 동시에 왕의 권위를 높이는 소격서가 눈의 가시였던 것. 결국 이에 대한 첫 충돌이 조광조이고, 사림의 조선 관직을 독점하게 되는 선조 시기에는 소격서가 혁파되는 것이다. 덤으로 조광조도 복권되고.

3 참조

임하필기(한국고전종합DB)

오주문연전상고(한국고전종합DB)

문화 컨텐츠 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