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장바둑

順丈─, 順將─

1 개요

옛날에 두어졌던 한국 고유의 바둑 룰. 백제시대부터 전해 내려왔다는 기록이 있긴 하나,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는 논란이 많다.

화점마다 미리 돌을 착수해서 포석을 미리 하고 선을 정해 두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리고 계가를 할 때 경계선을 이루고 있는 돌만 남기고 상대방 돌은 물론 자신의 집 안에 있는 돌까지 전부 다 들어내서 없는 돌로 취급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공배를 메우면 그만큼 집이 더 늘어날 수 있기 때문에 공배를 다 메우고 끝낸다.

티베트 전통 바둑도 이와 비슷한 룰이다.

광복 후 한국의 바둑을 세계화의 흐름에 맞추기 위해 룰을 일본식 룰에 맞추면서, 오늘날에 와서는 사실상 사장된 룰이다.

2 첫 배치

sunjang.jpg

이런 식으로 배치[1]하고 시작한다.

포석이 균형있게 미리 되어 있기 때문에 집 짓기 좋다는 장점이 있으나, 이로 인해 초반 변수가 현대의 바둑에 비해 적어서 포석의 묘미가 없고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3 계가

바둑이 끝나기 전 공배를 전부 메워 나간다.

공배를 메운 후 계가를 청하면 흑백 양쪽은 집의 경계만 남기고 모든 돌을 다 걷어낸다[2]. 그리고 그 상태에서 센 집 안의 빈 점 숫자가 바로 집 숫자가 된다.
  1. 순장바둑판은 돌 놓는 자리에 모두 화점을 찍었다. 그래서 화점천원 빼고도 16개.
  2. 걷어내고 남은 돌(경계)이 단수에 몰려서는 안 된다(옥집을 만들지 말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