슌텐

류큐의 역대 국왕
슌텐 왕조
왕조 건국초대 국왕 슌텐2대 국왕 슌바준키
전명(全名)슌텐(舜天)
신호(神号)손톤(尊敦)
아버지미나모토노 타메토모
어머니오오자토 아지(大里按司)의 누이
생몰년도1166년 ~ 1237년
재위기간1187년 ~ 1237년

 
슌텐은 류큐 슌텐 왕조의 개창자이며, 류큐의 첫 임금으로 여겨진다.

17세기에 편찬된 신가집(神歌集) 오모로소시(おもろさうし)나 역사서 중산세감(中山世鑑) 등에서 그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으며, 16세기에 세워진 비석에도 그의 이름이 언급된 사례가 있다.

전해지는 바에 따르면 슌텐은 이즈 제도에 유배당했던 미나모토노 타메토모가 풍랑을 만나 류큐에 표류, 섬 북부의 나키진에 도착했으며, 그곳에서 힘을 키워 유력자가 된 후, 오오자토 아지(大里按司)의 누이와 결혼하여 낳은 아들이라고 한다. 태어났을 때의 이름은 손톤(尊敦)으로, 15살에 우라소에아지가 되었다.

당시 류큐는 창조신 아마미키요의 후예인 천손씨(天孫氏)가 다스리다 반역자 리유(利勇)에 의해 멸망당했는데, 손톤은 여러 아지들의 힘을 모아 리유를 무찔렀다. 손톤은 22세의 나이에 여러 아지들의 추대를 받아 중산왕(中山王)의 자리에 올랐다. 단, 중앙집권화된 국가를 세운 것이 아니라 여러 아지들의 대표 역할을 맡았을 것으로 추정된다.[1]

1745년 완성된 역사서 구양(球陽)에 따르면, 슌텐에게는 뿔이 있어서 이를 감추려고 머리카락을 모아 틀어 묶었고, 이것이 류큐의 상투인 카타카시라(欹髻)의 기원이 되었다고 한다.

에도시대의 유명 작가인 교쿠테이 바킨(曲亭馬琴)의 대표작 <친세츠 유미하리즈키(椿説弓張月)>는 미나모토노 타메토모가 류큐로 가서 겪는 이야기 및 그 후손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는데, 슌텐은 슌텐마루(舜天丸)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슌텐의 아버지가 미나모토노 타메토모라는 이야기는 후일 일류동조론(日琉同祖論)으로 발전하여 일본 제국이 류큐를 지배하는 것을 정당화 하는 논리로 쓰이기도 한다.
  1. 한국사로 치자면 마한 목지국의 지배자가 진왕(辰王)을 칭한 것과 비슷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