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안(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

파일:Attachment/1260617884 xian.jpg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설기의 등장인물. 성우는 정혜옥(평상시 어린아이 모습일 때)/정재헌(마법이 풀려서 원래의 모습일 때).

르브바하프 왕실의 철학자이자 사상가, 정치 자문위원. 르브바하프 왕국이 망하자 반 왕자와 시종인 코나와 함께 고센으로 망명을 하였다.

나이는 75세. 중요한 회의에 가지 않은 채 잠을 자고 있는 모습을 보고 분노한 시안의 어머니가 엉덩이를 때리기 쉽도록 어린아이의 모습으로 바꾸어 버렸으나, 그 후 병사들이 자택을 들이닥쳐 시안을 숨기고 죽게 된다.[1] 나중에 반 왕자 일행의 도움(?)으로 마법을 풀어 원래의 나이에 맞는 노인으로 돌아오지만, 그 모습으로 반찬 투정을 아이처럼 한다. (…) 이를 본 반과 코나는 물론이고 심지어는 애완동물인 발랑조차 기겁하며 얼마 후 미카가 만든 쿠키를 무심코 집어먹는 바람에 드디어 어린아이 모습으로 복귀.

편한 잠자리에 대한 집착이 대단하며 밥을 목숨같이 여기는 면도 있다. 정치 자문위원이라서 르브바하프 왕국 재건을 위해 반 왕자와 의견을 주고 받으며 그의 생각을 듣고, 새로운 나라를 상징하는 궁궐의 청사진을 보고 절망한다. 청사진에는 집 한 채에 자신의 방과 놀이방, 말 사육장, 그리고 코나 방과 시안 방이 그려져 있었던 것이다. 그때의 대사는 '신이시여'.

일행 중 제일 제정신이라 슬픈 인물. 그래서인지 반 왕자를 책임져 달라고 했던 브루미안 공주를 원망한다. 또한 자신을 살려준 도젠에게 왜 살려줬냐며 불평하기도. 나중에 정신을 좀 차린 듯한 반 왕자가 집 안에 방들을 더 많이 넣은 청사진을 보여주자 내뱉은 '신이시여, 감사합니다'는 압권. 그동안 반왕자의 정신공격에 시달렸는지 작은 것에도 감사해하는 사람이 되어버린 듯하다.

코나처럼 살림을 맡아 하지 않아서인지 잉여스런 모습을 많이 보여주나, 만약 반 왕자가 좀 더 똑똑하거나 군주로서의 자각이 있었다면 어떻게 되었을지 모른다. 그러나 암기력은 좀 떨어지는 듯. 반 로뎀하윈즈 차미도르 구뜨 릴리 루미안 르브바하프라는 긴 이름을 못 외운다고 말했다. 코나는 외우는데. 걔는 젊고, 얘는 늙었잖아.

절대왕정 국가인 르브바하프 왕국의 폐해를 꿰뚫고 왕위를 물려받을 반 왕자에게 왕 혼자 결정하는 시대가 지났다며 정치적으로 입헌군주제의 모태가 될 수 있는 말을 한다. 베니가 가디너 제도를 만들어 명 정치를 펼치는 걸 보면 대단한 안목을 지닌 선각자이기도. 이 작품이 단순한 개그물만이 아님을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그런 것 치곤 정작 이 세명이 왕국 재건을 위해 직접적으로 한 일은 크게 없다. 세르비지오의 희생과 존, 아리, 그리고 베니의 노력이… 물론 애니라면 사랑에 미친 왕 따라서 비센하르 성에 처들어갔기 때문에 노력했다고는 할 수 있지만.

후에 반 왕자의 장작패는 모습을 동상으로 만들어 방종과 허세를 경계하도록 하였고, 베니에게 중책을 줄 것을 요청하고는 고향으로 가겠다며 미련없이 떠나려 했으나, 죽은 줄 알았던 브루미안 공주[2]가 요리를 배웠다며 동행할 것을 요구하고 친구인 아리와 그의 자식들도 동행하게 된다. 그리고 베니는 시안이 겪었던 그 무언가를 그대로 이어받은 채[3] 업무를 맡게 되었다.

애니판에서는 이 과정이 생략되고 그냥 브루미안 공주가 살아돌아 온 것만 나온다. 또 베니가 등장하지 않기 때문에, 왕국에 계속 남아서 반 왕자를 보좌하는 것 같다. 그리고 이리저리 엮이는 일이 많아서인지 노인에 청년까지 다양하게 변신하는데 그럴 때마다 모두 미카 때문에 원상복귀한다.

어리고 유식하게 생긴 외모와 개그, 진지하게 고뇌하는 모습에 작품 안팎으로 많은 사람들이 좋아했던 캐릭터이다.

  1. 사실 원작 만화에서는 병사들이 들이닥치기 전까지는 상황이 매우 코믹했지만, 애니판에서는 비장미 있게 나와서 원작을 읽은 사람들은 놀랐다고.
  2. 코나의 아버지가 피습 당시 구해주었다.
  3. 이 작품에서는 캐릭터가 조금이라도 똑똑하거나 이성적이라면 정신적으로 고통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