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칭 RBC(Real Business Cycle) 이론
로버트 루커스(Robert E. Lucas jr.)의 '합리적 기대 혁명' 이후, 1980년대에 생겨난 새고전학파의 세부계통으로 경기변동을 총수요 측면에서의 화폐적 요인으로 설명하지 않고, 총공급 측면에서 생산함수에 가해지는 기술충격(진보 또는 후퇴)로 설명하고자 한 시도.
전통적인 경기변동이론이 추세치인 경제성장과 추세치에서의 이탈인 경기변동을 나누는 것과 달리 실물경기변동이론은 이를 한큐(...)에 해결한다. 미시경제학의 노동이론에서 다루어지는 임금변화 시의 대체효과와 기간간 소비이론의 기간간 대체효과와 기간간 노동공급의 대체효과, 자본재에 대한 투자완성의 건설기간(time to build) 등이 이들의 이론을 설명에 쓰인 재료들. 가만히 살펴보면 알 수 있지만 사실 거시경제학의 탈을 쓴 미시경제학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물경기변동이론이 루카스 비판에 대응하여 나온 것이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이해하기 쉽다.
주로 경제주체들의 행태에 대한 함수식을 설정하고, 거기에 들어가는 파라미터를 베이지언 방식으로 추정하는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을 통해 경기변동을 설명하는데 신기하게도 그 결과물이 실제 수치들과 잘 맞아떨어져[1][2] 새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은 만세를 불렀지만, 케인즈학파 경제학자들은 답이 없어요 를 연발
... 할 듯 했지만, 사실 문제가 많은 이론이다. 일단 경제주체의 합리적 기대를 기반으로 하고 있지만, 근래의 행태경제학처럼 '준합리성'을 가정한다면 어떨까?[3] 캐리어 대신 드라군이 간다. 거기다 불황기에 음의 기술충격이 온다는 게 가능할까?[4] 설사 음의 기술충격이 있다고 해도 금융위기같은 전형적인 수요 측 문제에 대해선 답변이 궁해진다.[5]
이에 따라 실물경기변동론자들이 변신을 꾀하며 대책을 내놓았으니 그것은 일본을 공격한다 케인즈 학파를 먹어버린다는 것.[6]
현재 실물경기변동론은 동태적 확률 일반균형(DSGE; Dynamic Stochastic General Equilibrium) 모형의 한 형태가 되었고, 그것의 케인즈학파 버전은 원래의 실물경기변동이론과 유동성제약, 화폐정책, 실질임금 경직성 등이 혼재되어 있는 상태이다. [7]
실물경기변동이론을 주로 연구한 해외의 학자로는 우선 실물경기변동이론을 1981년에 처음 제기한 핀 키들랜드(핀 시들런), 에드워드 프레스콧, 토머스 쿨리등이 있으며, 실물경기변동을 지지하는 학자로는 하버드대학의 로버트 배로, 시카고대학의 로버트 루커스등이 있다.[8]
실물경기변동이론을 주로 연구한 대한민국 학자로는 서강대학교 경제학과의 조장옥 교수(서강대 학사, 로체스터대학교 박사), 연세대학교 경제학과의 장용성 교수(서울대 학사, 로체스터대학교 박사) 그리고 고려대학교 경제학과의 신관호 교수(서울대 학사, UCLA 박사)가 대표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