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흑주술사

공식 일러스트
남성여성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될테다!"

1 설명

스타크래프트에 다크아칸이 있으면, 로스트사가에는 암흑주술사가 있다 부두교에 너무 심취하지는 말게
낚시꾼적에게 각종 디버프를 걸어 콤보로 잇거나 적의 행동을 방해하는 것이 특기인 마법사 용병이다. 마법사 용병임에도 기본기가 전부 근거리 공격이기에 다른 마법용병들과는 달리 근접전에 특화 된 용병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점프 공격과 대시 공격의 거리가 꽤나 길기에, 암흑주술사를 잘 다루는 유저가 초보들을 간단히 뭉개버리는 일도 심심찮게 일어난다. 그래도 가장 큰 존재 의의는 무기스킬인 현혹의 주술과 모자스킬인 피의계약. 자세한 것은 후술.
100레벨 칭호는 '저주의 신'이다.

2 기본기

  • DDD : 손에 주술력을 담아 적을 세번 타격하는 평타. 손으로 치는 것이 아니라 손을 휘감고 있는 해골손으로 타격하기에 리치가 길다. 스탠드? 막타에 적을 기절시키며 서서히 쓰러지게한다.
  • D꾹 : 마법 차징, 무기 스킬의 쿨타임이 1.5배로 빨리 회복 된다. 더불어 무기 스킬의 발동 위치를 지정 할 수 있다.
  • A D : 손에 주술력을 담아 적을 띄우는 점프 공격, 해골 손이 나타나 적을 올려친다. 당연히 띄우기 판정이며,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띄워진 적은 자신의 머리 위로 넘어간다.
  • AA D : 2단 점프 공격, 지팡이로 지면을 내리 찍는다. 당연히 누운 적에게도 통한다.상대를 경직시킨다.
  • 대시 : 손에 주술력을 담아 적을 띄운다. 점프 공격과 동일하다.

3 스킬

3.1 현혹의 주술

마인드컨트롤하위호환
지정 된 위치에 암흑의 안개를 뿌려 피격자를 현혹 상태로 만든다. 현혹 상태에 빠지면 체력이 서서히 빠지며 느린 속도로 시전자를 따라다니는 상태가 되며 행동 불능이 되는데, 이 틈을 이용한 콤보를 날리는 것이 기본이다. 다시 말해 콤보 필수 요소. 정 콤보로 못 잇겠다면 드랍존을 등지고 대시 공격이나 점프 공격으로 날리면 된다. 여담으로 빙결을 뚫지 못하는 것을 보아 방파는 아닌듯한데 방어는 통하지 않는 이상한 스킬. 정확히는 방어파괴가 맞지만 빙결은 풀수가 없다.

3.2 응징의 손길

주술력으로 해골 손을 만들어 적을 멀리 밀쳐버린다. 피격 되면 긴 넉백과 함께 넘어지기에 드랍용으로 쓰면 적절하다. 다만 선딜이 길다.

3.3 피의 계약

과거의 영광만이 남은 장비
한 때 콤보유저라면 반드시 사용하던 최강의 장비
체력을 일정량 깎고 다른 부위의 스킬들을 일정량 채운다. 이 장비가 현역이던 시절엔 전체적인 스킬 쿨타임이 짧았고 이 스킬의 회복량도 많았기에 콤보 필수기중 하나였다. 그냥 솔져나 나이트의 디꾹과 강제기립스킬만 연계해도 반피는 뚝딱이었으니... 이후 지속적인 너프로 깎이는 체력의 양이 늘었지만 그래도 쓰인다. 여담이지만 리뉴얼때 피격기가 되었다. 체력을 깎아서 경직을 막겠다!! 무슨 지거리야

봄바람 패치로 쫄딱 망했다. 체력 소모량은 늘어났는데 모든 스킬의 쿨타임이 증가함과 동시에 이 스킬의 회복량까지 줄어들어 쿨타임이 짧은 스킬도 어지간히 육떡을 하지 않으면 가득 채우는게 불가능해졌다. 물론 콤보에 고통받던 유저들은 환영중.

피의계약쓰고 기합쓰고 피의계약쓰면 무한콤보가 된다고 카더라[1]

3.4 혼돈인형

주변의 적에게 일정 시간 동안 방향키 조작이 반대가 되는 디버프를 건다. 이 때는 잉여스킬의 대명사였지만 리뉴얼로 디버프가 풀릴때 기절을 걸도록 상향. 누운적도 세워서 기절시키는데다가 무꿇된 적에게 사용하면 적을 세우는 효과도 있어서 무꿇위주 콤보에 쓸만한 스킬이 되었다. [2]]
  1. 사실 두 스킬 전부 너프먹기 전엔 이게 진짜로 가능한 연계였다. 단순히 피의계약-기합-갑옷스킬-무기스킬후 피의계약으로 돌아가면 무한콤보(...).
  2. 간단한 예로 아이언나이트로 찌르기-혼돈의인형-찌르기-2타헛방-띄우기-4타-찌르기-현혹의주술-피의계약-찌르기-처음부분 반복 피계 너프되서 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