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e Lisa

(애플 리사에서 넘어옴)
애플 데스크탑 제품 역사
애플 III애플 리사매킨토시

applelisa.jpg
리사 1. 현재 전세계에 몇 대 안 남아 있다. 위에 얹어놓은 상자 비슷한 물건이 바로 하드디스크이다.

abf687ed10330222fd72582d95db5e70.jpg
리사 2. 매킨토시 XL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 이유는 아래 참조.

애플 리사 FAQ

1 개요

1983년 애플에서 개발한 애플 최초의 GUI OS를 가진 컴퓨터.
리사(LISA)라는 이름은 일단 Local Integrated Software Architecture 의 약자...라고 주장하긴 했는데 사실은 스티브 잡스의 딸 이름에서 유래했다[1](...). 어쨌거나 세계 최초의 상용 GUI 인터페이스를 갖춘 운영체제를 가지고 있었다.[2]

1978년부터 애플 내에서는 GUI 인터페이스 운영체제에 대한 논의가 잇따랐었고 그 결과 82년부터 리사 프로젝트를 시작, 83년에 완성되어 시제품을 내놓았다. 참고로 이때 잡스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긴 했는데, 너무 화를 잘내고 감정적이라는 이유로 쫓겨나서(...) 매킨토시로 밀려났었다.

일단 기술적으로 보면 리사는 흑백 모니터에서도 그럭저럭 화려한 고해상도 GUI를 갖춘 것 외에도 보호 메모리, 협동형 멀티태스킹, 스크린 세이버[3], 확장가능한 램, 확장 슬롯, 숫자 키패드까지 온갖 최신기술을 떡칠한 공밀레의 결정판을 보여줬다. 심지어 몇몇 기능은 OS X에나 되어서야 나올 것들이 이때 이미 나오기도 했으니 거의 오버 테크놀러지스러운 스펙을 가졌지만...

2 반응

결론부터 말하자면 철저하게 말아먹고 말았다.

일단 기술적인 측면으로만 보자면 프로세서가 너무 느렸다. 5MHz 모토로라 68000 프로세서를 사용했는데, 이 성능이 상기해놓은 리사의 최고급 기능을 유지하는데 턱없이 부족했던 관계로 운영체제 자체가 전체적으로 둔하고 느려보이는 효과를 낳은 것. 거기다가 1983년 발매된 애플 리사의 시제품은 $9,995라는 자비심없는 가격을 자랑했다. 절대 $999.5도 아니고 $99.95도 아니다. 다시 말하지만 구천구백구십오 달러다. 사실상 $10,000라고 볼 수 있겠다. $9,995는 2013년 기준 가치로 약 $23,103이고[4], 이를 환율 1,100원을 적용하여 환산하면 25,413,300원, 이천오백만원이 넘어간다. 컴퓨터 사게 삼천만 좀 땡겨주세요

이 정도면 쏘나타 한 대를 살 수 있고, 현재 애플의 최고급 전문가용 컴퓨터인 맥 프로를 최고 사양으로 2대, 레티나 맥북 프로를 최고 사양으로 6대 살 수 있고, 아이폰 6s 플러스 128GB 언락을 약 18대, 아이팟 클래식 70여 대, 짜장면 약 6,250 그릇, 시내버스 29,000여 회 탑승의 가치와 맞먹는다.[5] 또 발매 당시 가격을 기준으로 치면 그당시 가장 잘나가던 코모도어 64를 16대를 살 수 있다![6] 비싸기로 악명 높은 NeXT도 이 물건보다는 싸다.(…)[7] 애플 워치 에디션 최고가는 1대밖에 못 산다

당연한 이야기이지만, 리사는 시대를 앞선 기능들을 탑재하여 IT 관계자들과 비평가들, 공돌이들에게는 엄청난 찬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이 자비심없는 가격 때문에 시장성을 잃고 실패하고 말았다. 게다가 딱 1년 뒤에 리사보다 훨씬 값싸고 좋은 매킨토시 128K가 등장함으로써 리사는 결국 완전히 사장되었다.팀킬 상식적으로, 가격이 1/4밖에 하지 않는데다가 디자인도 우월하고[8] 휴대성도 훨씬 좋고[9], 그러면서 속도도 빠른[10] 물건이 나왔는데 그 네배에 달하는 가격을 지불하고 이딴 물건을 산다는 것 자체가 미친 짓이다. 난 여기서 나가야겠어

이래저래 시장에서 살려 보려고 리사 2, 매킨토시 XL 등으로 리뉴얼해 보았지만 이미 망했어요. 안 팔린 약 2700대의 리사 컴퓨터들은 유타 주의 한 쓰레기 매립장에 모두 매립되었다(...). 근데 이때 안 팔린 일부 리사 기종이나 예비 부품들은 아직도 남아있어서 고가에 거래된다고 한다.

애플 리사의 최대 고객은 NASA였다고 한다. 리사에 포함된 프로젝트 관리 툴이 꽤 쓸만해서, 속도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쭉 썼다고.

3 이후 변화

애플이 매킨토시를 나중에 출시하면서, 리사의 업그레이드 버전인 리사 2를 출시한다. 리사 2는 가격이 절반 가까이 떨어졌고 그 외 메모리나 하드 디스크 옵션이 좀 더 빵빵하게 제공되었다. 하지만 이미 시장은 매킨토시로 돌아섰고 리사 2는 그냥 꼼짝없이 망했어요.

그리고 나중에 1985년 즈음 해서 10MB 하드디스크 옵션을 탑재한 리사 2 (리사 2/10이라 부른다)의 이름을 매킨토시 XL로 바꾼다. 이 제품은 에뮬레이션을 통해서 매킨토시 시스템을 돌릴 수 있도록 개조되어서 해킨토시라는 별명을 얻었다. 진짜 애플 공식 해킨토시다.

  1. 이동 잡스 본인이 전기에서 직접 인증했다. 그런데 이 때는 스티브 잡스가 자신은 무정자증이라며 iEunuch iMpotent 리사를 자기 딸로 인정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 이름에 놀랐다고 한다.결론은 이미지 세탁용 언플 말아먹었으니 지능적인 딸 모욕일지도 모른다 후에 리사는 잡스의 딸로 인정받고 가족이 되기는 했다.
  2. 이동 그냥 세계 최초까진 아니다. 1981년에 나온 제록스 스타가 있었기 때문. 말하자면 최초의 mp3플레이어인 리슨 업 플레이어와 최초의 상용 mp3플레이어인 엠피맨과의 관계와 비슷하다. 다만, 리사의 경우 제록스에 애플의 주식 100만불 어치를 주는 조건으로 기술을 얻었다.
  3. 이동 당시까지만 해도 스크린 세이버라는 개념 자체가 생소했다.
  4. 이동 http://www.usinflationcalculator.com/ 참조
  5. 이동 그나마 이 환산은 $10,000을 USD 그대로 현재 화폐가치로 환산한 후 KRW(원화)로 환전했다는 전제다. 만일 순서를 바꿔서 $10,000을 당시 환율($1=800원)로 환전한 후 한국돈의 인플레이션 레이트로 보정하면 더 엄청난 금액이 나온다. 당시 금액으로 800만원인데 시내버스요금이 130원인 시절이다. 즉 시내버스 61,000회 탑승.(...)
  6. 이동 발매 당시 C64의 가격은 595$. 참고로 코모도어 64도 당시 기준 꽤 괜찮은 기기이다.
  7. 이동 약간 사족을 붙이자면, OS나 GUI 같은 것 빼고 순전히 하드웨어 스펙만으로 당시 애플 리사를 넘는 기종은 PC-9801을 비롯, 일본에 많이 있었다. 1983년 당시 USD/JPY 환율로 환산하면 리사의 반값 이하다. 일본기종에는 없는 감성의 값어치를 더해야 되나?
  8. 이동 리사의 비대칭적 디자인은 지금 봐도 매우 흉하지만 당시 기준으로도 상당히 괴악한 디자인이었다. 현재 애플이 얼마나 디자인으로 정평이 나 있는가를 생각하면 매우 아이러니하다고 밖에 할 수 없다.
  9. 이동 매킨토시가 훨씬 작고 가벼운 건 말할 필요도 없거니와, 매킨토시에는 리사에는 없는 핸들이 달려 있어 들고 옮기기에도 용이했다.
  10. 이동 매킨토시 128K의 CPU는 8MHz. 리사보다 훨씬 빨랐다. 대신 RAM이 1MB인 리사에 비해 128kB로 많이 딸렸지만 곧 512kB를 탑재한 녀석이 나오면서 많이 따라잡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