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보동물

(완보동물문에서 넘어옴)
300px
완보동물문
Water bear[1]이명 :
Tardigrada Spallanzani, 1777
분류
동물계
아계진정후생동물아계(Eumetazoans)
미분류방사대칭동물(Radiata)
완보동물문(Tardigrada)

1 설명

완보동물문(Tardigrada)은 동물계의 하위 중 하나이다. 이 문에 속한 생물들은 통칭 완보동물이라 불린다. 현재 완보동물문에는 적어도 1167종 이상의 이 있다.[2] 크기는 매우 작다. 탈피동물상문에 속하며, 따라서 완보동물문에 속하는 생물들은 탈피를 하며 자라난다. 생명력이 높으며 다양한 곳에 분포한다. 심해에도 살며, 중형 저성생물(中型底棲生物)이다. 완보동물문의 학명인 Tardigrada는 라틴어 단어 tardigradus에서 유래 했다.[3] 몸의 길이는 0.5~1mm이고 원통 모양이며, 배 쪽에는 갈고리가 있는 네 쌍의 다리가 있다. 호흡 기관, 순환 기관은 없고 신경 계통은 와 신경절로 되어 있다.

2 분류

2.1 절지동물과의 계통에 관한 논쟁

완보동물문은 절지동물문과 같은 범절지동물이다. 같은 문 분류군으로서 절지동물문과 가장 가까운 계통으로 본다. 완보동물의 계통적 위치는 상당히 불안정 하다. 일반적으로 범절지동물에게 나타나는 α -chitin으로 이루어진 큐티클, 후신관, 혈관계, 발생학적 특징을 보고 완보동물문의 계통을 분류할 수 있겠지만 관련 연구가 부족해 범절지동물에 포함하기 어려웠다. 이후 중추신경계 구조에 관한 연구와 rRNA에 근거한 자료들을 통해 완보동물문과 절지동물문과의 근연 관계를 보여주었다.[4]

2.2 하위 분류

중완보강에는 Thermozodium esakii만이 포함되어있다.[5]

3 기타

움직이고 있는 완보동물의 모습.

4 같이 보기

  1. 이동 통칭.
  2. 이동 Filipe Vicente, Roberto Bertolani, “Considerations on the taxonomy of the Phylum Tardigrada”. 《Zootaxa》 3626 (2), pp.245-248, (2013).
  3. 이동 김승현 기자 (2016년 9월 22일). “우주에서도 버티는 지구 최강 생물은”. 《중앙일보》. 2016년 10월 27일에 확인함.
  4. 이동 황의욱, “절지동물 계통의 논쟁들에 관하여”.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한국동물분류학회).
  5. 이동 Emma Northcote-Smith, “The ecology of tardigrades”. 《The Plymouth Student Scientist》 5 (2), pp.569-58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