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항목 : 정치범수용소/북한
회령 수용소의 경비병이었던 탈북자 안명철의 저서다.
특이하게도 이 책의 경우에는 다른 수용소 생존자의 수기와 달리 북한군 내부의 비리, 갈등과 북한 군인들의 생활상들이 담겨있다. 왜냐하면 이 사람이 신병 시절부터 탈북 전까지 군대에서 생활해왔기 때문에 이에 대해 더 잘 알기 때문이다.
안명철이 어렸을 적 할아버지가 소를 조합에 빼앗기고 자살을 하였고, 이로 인해 가족이 적대계층으로 몰릴 뻔했기 때문에[1] 수용자들에게서 동병상련을 느끼고 잘 대해주려고 노력하였다. 하지만 결국 고난의 행군이 닥치자, 아버지가 쌀을 훔쳤다가 들통이 나자 양잿물을 마시고 자살을 하였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어머니는 남편 살해범이라는 누명을 쓰고 체포되는 바람에, 가족인 안명철 역시 주변의 멸시와 감시를 받게 된다. 이런 일을 겪으면서 결국 북한에 대한 환멸을 느껴 탈북을 할 결심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탈북 때에는 2명의 수용자까지 탈출하게 하려 했지만 그 수용자들이 죽임을 당할 것을 두려워하여 자신 혼자 탈북을 하게 된 것이다. [2][3]
- 이동 ↑ 북한에서는 자살마저도 당에 대한 반역으로 여겨 죄가 된다. 결국 안명철의 가족들은 뇌물을 바쳐 할아버지의 자살기록을 그냥 사망으로 바꿨다.
- 이동 ↑ 그 2명은 남매로 2살, 4살때 잡혀와 22년이 지나 남동생이 안명철과 동갑이었다고 한다.
- 이동 ↑ 안명철은 탈북시 권총과 소총, 실탄등으로 무장했고 정치범수용소 경비병이었기에 당시 북한과 중국에서 난리가 나서 북한 보위부와 중국공안등이 협력해 대대적인 검문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 이동 ↑ 강철환의 수기는 글로만 묘사되어 있고 신동혁의 수기의 그림의 수용자들은 그나마 인간의 형상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