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고등학교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용인고등학교'에 대해서는 부산용인고등학교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고등학교
고림고등학교백암고등학교용인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용인삼계고등학교용인정보고등학교
태성고등학교포곡고등학교한국외국어대학교부설고등학교
학교 전경
3722da544913e3d87b40d30cdc80512e.jpg
교명용인고등학교
영문명YONG IN HIGH SCHOOL
개교1954년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남녀공학
운영형태공립
소재지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금학로253번길 20-21
홈페이지

1 개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에 있는 공립 고등학교.

2 역사

1954년 4월 6일 용인중학교의 부설 고등학교로 개교하였다. 이후 1974년 3월 1일 여학생들로만 구성되는 학교가 되었고, 1976년 3월 1일에 용인여자고등학교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1981년 용인여자중학교와 분리가 되었고, 1984년 7월 27일 학교가 현재의 위치로 신축이전하게 되었다. 1996년 3월 1일 용인고등학교로 교명이 복원되면서 남녀공학화가 되었고 현재에 이르고 있다.

2.1 연혁

  • 1954년 2월 2일 용인중학교 부설 고등학교로 설립인가 (3학급)
  • 1954년 4월 6일 개교
  • 1957년 3월 11일 제1회 졸업식 (1학급 97명)
  • 1976년 3월 1일 용인여자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1981년 3월 1일 용인여자중학교와 분리
  • 1984년 7월 27일 신축교사로 이전
  • 1995년 3월 1일 용인고등학교로 교명 복원
  • 1998년 10월 30일 웅비관(체육관) 완공
  • 2003년 9월 26일 "농어촌.중소도시 좋은학교 만들기" 지원 학교로 선정
  • 2005년 3월 19일 홍익관(기숙사,급식소), 어학실, 전자정보 도서관 개관
  • 2016년 2월 4일 제60회 졸업식

3 상징

3.1 교표

3722da544913e3d87b40d30cdc80512e.jpg

3.2 학교 교육목표

f4d518a42a0a608d0170b586f89985e9.jpeg

3.3 교가

0aee7c97dad42a460f1c30bc7dc2d04c.jpg

3.4 학교의 나무

7ecd54a3e06cf9a4e1202526ab3f690b.jpg

  • 향나무
자조, 희망, 겸손, 불굴의 의지

3.5 학교의 꽃

57b4a925c36059ba7481ac6d46e4ace8.jpg

  • 장미
정열, 명랑, 순백, 절제

3.6 학교의 새

3a0e0cb046762d778ea77beeabf83af9.jpg

  • 비둘기
평화와 희망

4 특징

5 학교 시설

30f73605167c6f5655f3cd198b40abcf.jpeg
건물은 5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장 오래된 본관 건물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본관 건물에서 바라봤을 때 우측에 신관 건물이 위치하고 있다. 신관은 원래 3층 건물이었으나 중간에 2층을 더 증축해서 현재는 5층건물이 되었다.

학교 정문에서 학교로 올라오는 길편에 위치하고 있는 건물이 홍익관으로 도서관과 급식실, 식당, 기숙사 건물이 위치하고 있으며, 본관 건물 뒤편에 체육관인 웅비관이 위치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신관 맨 끝쪽에 테니스부 합숙소가 위치하고 있다.

6 학교 생활

6.1 학생회

6.2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6.3 동아리

7 여초학교

용인시 처인구의 대표적인 여초 고등학교다. 원래 용인시 처인구에는 포곡고등학교와 용인삼계고등학교가 차례대로 생기기 이전에는 일반계 고등학교는 사립인 태성고등학교와 공립인 용인고등학교가 사실상 전부였다.[1] 문제는 태성고등학교가 남학생만 받는 학교였기 때문에 여학생들이 갈 수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는 사실상 용인고등학교가 전부였다는 것이다. 인구수가 늘어남에 따라 남학생 수도 급증했지만 태성고등학교가 받아들이는 남학생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연히 공립학교에는 용인고등학교가 남학생들을 받아들이게 되면서 남녀공학으로 변경이 되었고, 남학생은 태성고등학교가 못 받아들이는 일반계 고등학교 지망생들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여학생보다 훨씬 적은 상황이 연출될 수 밖에 없게 되었다.

대표적으로 2003~2005년 시절에는 여학생 4 대 남학생 1의 구도가 이루어졌다. 무엇보다도 남학생 중 20명 가까이는 운동부 소속이었던지라 학교에 등교하는 날이 손에 꼽았기 때문에 남학생 수는 더 줄어드는 편이었고, 그나마 남학생들을 몇개 반에 몰아넣을 수 있었던 1학년 때와 달리 계열선택과 과목선택을 해야만 했던 2학년 때부터는 남학생의 지원비율이 훨씬 떨어지는 인문계반에 남학생이 적게는 2명, 많게는 8명이 머무르는 반이 있었을 정도로 여초현상이 심하게 나타났었다. 물론 이런 현상은 포곡고등학교용인삼계고등학교, 고림고등학교의 개교와 동백지구 등 용인시 자체에 일반계 고등학교가 늘어나면서 3:2의 비율로 많이 둔화가 되었다. 2016년 신입생은 무려 1:1로 거의 비율이 맞춰졌다. 그런데 계속 이렇게 1:1로 뽑을지는 의문이다.

8 트리비아

  • 교가가 용인중학교와 동일하다. 원래 용인고등학교가 용인중학교의 부설 고등학교였기 때문이다.
  • 학교 운동장이 상당히 좁다. 원래 있던 위치에서 학생 수가 증가해서 건물을 지어야 했지만 학교 부지를 그대로 방치한 것이다. 그래서 교내 체육대회는 용인 종합운동장에서 열린다.

9 유명 졸업생

  1. 물론 백암고등학교가 있었지만 원래는 특수목적고등학교였다. 그러다가 2005년 기숙형 고등학교로 지정되면서 일반계로 변화했지만 위치가 멀기 때문에 현재도 처인구 학군 내 평준화 고등학교에서 제외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