恩古
(? ~ ?)
1 개요
백제왕 의자(義慈), 그의 처 은고(恩古), 그 아들 융(隆) 등, 그 신하 좌평 천복(千福), 국변성(國辨成), 손등(孫登) 등 모두 50여 명이 가을 7월 13일에 소장군(蘇將軍, 소정방)에게 사로잡혀 당(唐)에 보내졌다. 아마도 이것은 까닭 없이 무기를 들고 다닌 징험일 것이다.[1]- 일본서기 권 26 天豐財重日足姬天皇 齊明天皇
백제 의자왕의 처. 역사상 유일하게 기록된 의자왕의 부인이다.
2 생애
은고에 대한 기록은 일본서기가 유일한데, 660년 백제가 멸망하자 소정방이 의자왕과 그의 처 은고, 태자 효, 왕자 태, 융, 연 및 대신과 장수 88인, 백성 12087명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갔다는 기록이 유일하다. 이후 그녀의 삶은 알길이 없다.
의자왕이 당나라로 끌려가 당 고종에게 질책을 듣고 사면된 뒤에 얼마 뒤 죽었다는 기록으로 보면 이국에서 남편을 잃고 마음 고생이 심했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당 고종이 의자왕을 사면했으니 그에 준하여 당나라에서 평생 먹고 살게는 해줬을지도 모르지만. 어쩌면 의자왕을 따라서 자살했을지도 모르겠다.
3 의문점
일본서기에 제명기 6년 7월조에 보면 '백제는 스스로 망하였다. 임금의 대부인(君大夫人)이 요사스럽고 간사한 여자로서, 무도하여 마음대로 국가의 권력을 횡탈하고 훌륭하고 어진 신하를 죽였기 때문에 이러한 화를 자초했다'라고 기술하고 있다.
삼국사기에서는 '군대부인'에 대한 언급이 전혀 없으나, 소정방이 자뻑으로 정림사지 5층석탑에 새긴 <대당평백제국비문>에도 '안으로는 요부를 믿으니 형벌이 미치는 곳은 오직 충량에 있었다'라는 기록이 전하는 걸로 미루어보면 백제 멸망의 원인에 이 군대부인의 존재가 짙게 드리워져 있는 걸로 보인다.
이 군대부인은 의자왕 후기에 파란을 일으킨 것으로 보이는데 흥미로운 것은 의자왕은 즉위하면서 일찌감치 부여융을 태자로 세운 바 있었으나 650년대 말에 갑자기 태자를 부여융에서 부여효로 교체한다. 그리고 이후에 성충과 흥수 등의 신료들을 내치는 사태가 벌어진다. 이런 정황으로 미루어본다면 군대부인이 자신의 아들인 부여효를 태자로 세웠으며 이 과정에서 반발한 성충과 흥수 등의 신료들을 내치는데 개입했을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과연 은고가 군대부인인가?'라는 의문이 생긴다. 일본서기에서 은고를 의자왕의 처라고 기록한 걸로 보면 은고는 의자왕의 정실 왕후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본다면 부여효가 은고의 소생이고 은고가 바로 군대부인으로서 백제 멸망에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은고가 과연 백제 멸망에 기여한 군대부인과 동일시할 수 있는지는 의문이라는 시각이 존재한다. 일본서기가 은고에 대해서 별다른 말을 하고 있지 않다는 점이 근거로 제시되는데 만약 은고=군대부인이 성립된다면 은고에 대해서 뭔가 평을 내렸을 것이 분명하다. 그런데 은고에 대해서는 그저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갔다는 기록이 전부다.
다른 한편으로는 은고=군대부인이 성립하지만 일본서기나 대당평백제국비문에 기록된 대로 그녀가 과연 요녀인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흔히 의자왕이 즉위하고 이듬해인 642년에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고 보나 이에는 이론이 있다. 학자들은 이 친위 쿠데타의 발생 시점이 의자왕이 즉위한 이듬해인 642년이 아니라 의자왕 15년인 655년이라고 보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왜냐하면 의자왕의 친위 쿠데타가 기록된 시점이 일본서기에서는 642년 교고쿠 덴노의 등극 시점으로 되어있으나 교고쿠 덴노는 655년에 다시 사이메이 덴노로 즉위하는데 일본서기 편집자들이 이를 혼동했다는 것이다. 게다가 삼국사기를 보더라도 의자왕 15년 이전과 이후의 기록에 차이가 보인다. 의자왕 15년 이전에는 성군의 모습이던 의자왕이 15년 이후로는 놀자판 폭군의 모습으로 돌변한다는 점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은고는 의자왕의 친위세력을 대표하는 인물이었을 것이라는 관점이 있다. 의자왕이 655년[2] 무왕의 부인인 태후가 죽은 후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고, 이 과정에서 태자가 부여융에서 부여효로 교체되었으며 당시 집권 세력이었던 좌평 성충, 흥수 등이 내쳐진 것이라고 보고 있다. 군대부인이 요녀라고 기록된 것은 고대 동북아의 관습상 왕의 정치에 불만을 품은 세력들이 왕을 직접적으로 비판하지 못해서 왕의 정치를 뒷받침하는 세력들을 소인배, 요망한 것들로 비난하는 것이 반영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즉, 의자왕이 기존의 귀족 세력들을 내치면서 은고를 위시로 신진 세력들을 친위 세력으로 삼아 왕권을 강화했지만 이 과정에서 은고 세력이 기존 귀족들과 마찰을 빚으면서 기존 귀족들이 은고를 요망한 군대부인으로 폄하한 것이 아니냐는 것이다.
4 대중매체에서의 은고
1969년 김성한의 소설 요하에 등장했다. 고증을 철저히 하기로 유명한 작가가 사료 수집 과정에서 찾아낸 인물. 신라의 스파이라는 설정 없이 단순 요녀로 묘사했다.
은고가 처음 사극에 등장한것은 KBS 대하드라마 삼국기로, 여기서는 최수지가 은고로 출연했다. 의자왕의 정실 왕후로서 의자왕의 사랑을 받았지만 병으로 죽게 되는데 신라에서 은고와 똑같이 생긴 여성을 스파이로 백제에 보내 의자왕을 미인계로 홀리게 하면서 백제가 망국으로 치닫는다는 전개로 나온다.
SBS 대하사극 연개소문 에서는 백제의 인물로써 등장한다. 삼국기와는 달리 신라의 스파이로서의 모습은 전혀 보이지 않고 그저 의자왕과 함께 향락에 빠져 나라를 망쳐놓은 요부로써의 이미지가 강하게 나타났다. 극중에서 항상 연회에서 의자왕과 함께 즐기는 모습으로 등장하여 백제가 패망하자 나당연합군의 백제패망승전자축파티 에서 소정방의 명령에 의해 춤을추는등 결말이 안습하였고 결국 의자왕과 함께 당나라로 끌려갔다.
이후에 MBC 드라마 계백에서 다시 등장했다. 여기서는 송지효가 은고로 출연. 계백을 사모했으나 의자왕이 그녀를 가로챈 뒤 의자왕에게 원한을 품고 요녀로 변신하여 백제를 쥐고 흔들면서 심지어는 김유신에게 기밀을 누설할 정도였다고 묘사된다. 막판에 가서야 다시 백제를 위해 애를 쓰지만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는 것으로 묘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