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항목 : 전래동화
1 개요
한국의 전래동화. '지네장터 설화','두꺼비와 지네'라고도 하며 충청북도 청주의 지네장터의 유래담이기도 하다.
내용은 두꺼비가 은혜를 갚기 위하여 지네의 희생물이 된 소녀를 살리고 희생한다는 내용이다.
2 줄거리
옛날에 이웃 동네에 밥 잘 먹고 살림 잘 하는 처녀가 한 명 살았다. 하루는 부뚜막에서 밥을 푸고 있는데 옆에 조그만 두꺼비가 한 마리 와서 앉아 있어서 밥을 푸는 김에 한 숟갈 떠주니까 날름 집어먹었다.두꺼비가 쌀밥을 먹다니? 깊이 생각하지 말자 그렇게 일 년이 지나자 두꺼비는 재떨이보다도 더 크게 자랐다.
그러던 어느 날, 처녀가 사는 마을에서는 마을 뒷쪽 성황당의 신에게 해마다 18살 먹은 처녀를 제물로 바쳐야 하는 풍습이 있었는데, 그 처녀가 제물로 뽑히게 되었다. 처녀가 집에서 출발하려는데 두꺼비가 처녀의 치마꼬리를 물고 떨어지지 않았다. “나 없으면 밥 얻어먹기 힘드니까 따라가려는구나.”하고[1] 처녀는 치마폭에 두꺼비를 감추어 누각까지 들어갔다. 거기서 제사를 지낸 다음 마을 사람들이 모두 돌아가고 두꺼비와 처녀가 남게 되는데, 잠시 후에 큰 지네가 나타나서 사람을 잡아먹으려고 하였다. 이 때 두꺼비와 지네는 밤새도록 붉은 불을 뿜는 지네와 파란 불을 뿜는 두꺼비가 치열하게 싸우자 소녀는 기절하였다. 이튿날 아침 사람들이 가서 보니 두꺼비는 지네와 함께 죽고 소녀는 살아 있었다.와 잠깐 이걸 어떻게 살아있었지 그뒤 지네와 함께 우환이 사라진 뒤 소녀는 살아 집으로 돌아왔고, 마을에는 더 이상 지네의 피해는 없었다.
그 뒤 이 마을에서는 처녀를 바치는 풍습이 사라졌으며, 이런 이야기가 관가로 들어가자 거기서 벼슬을 지내던 훌륭한 사람이 마을에 와서 그 이야기를 모두 듣고는 두꺼비를 키우던 처녀와 백년가약을 맺는 해피엔딩으로 끝난다[2]
3 기타
그 외로 다른 버전이 존재하기도 하는데, 어느 마을에 원님이 들어서면 원님이 하루 밤을 못 넘긴다는 것이다(앞 부분은 전과 똑같음). 그래서 거지같은 사람을 사서 원님으로 들어보내기도 하지만, 역시 결과는 동일했다. 그 모습을 본 처녀는 부모를 위해서 자기가 원님이 되겠다고 자청했으며 처녀는 받은 돈을 부모에게 보내고, 두꺼비와 같이 관아로 들어갔다. 그 날 밤에 처녀는 자고 있었는데, 그 때 지붕에 있던 지네가 내려와서 처녀를 잡아먹으려고 할 때 두꺼비가 독을 쏘아대자 지네는 내려오지 못하고 다시 올라갔으며 그 일이 아침 때까지 계속 반복되었다.
다음 날 아침이 되자 마을 사람들은 처녀가 멀쩡하게 살아 있는 걸 보고 깜짝 놀랐다. 두꺼비가 입김을 쏘는 곳을 보니, 지붕 위에 큰 지네가 있는 걸 사람들이 지네를 잡아 불에 태워 죽이니 그 뒤로는 아무 일도 없었으며 처녀는 그 뒤로도 관아 정치를 잘 다스렸는데, 부역과 세금을 줄이고 마을을 다스리니 백성들의 칭송이 자자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두꺼비는 그 뒤 하늘로 다시 올라갔다고 하는데, 원래는 하늘나라 사람이었는데 죄를 지어서 두꺼비로 환생하였다는 이야기도 있다. 여기서의 두꺼비는 끝까지 생존했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일본 애니메이션 만화 세계 옛날 이야기(まんが世界昔ばなし, 1976)에도 수록되어 있는데 한복이나 여러 차림은 잘 그린 편. 이 애니에서는 지네가 아니라 뱀으로 나오는데 두꺼비가 온 몸을 부풀려 엄청나게 커져 뱀을 놀라게하여 기선을 제압하고 기습하여 죽이지만 그 와중에 몸이 터져 숨을 거둔다.
김청기 감독의 꼬마어사 똘이에서는 암행어사인 똘이가 나와 이 식인 지네를 쓰러뜨리는데 칼로도 아무리 베어도 도무지 죽지 않고 몸이 붙을 때 똘이 집안에서 조상 대대로 전해지던 두꺼비의 기운이 들어간 구슬을 이용하여 공격하자 비로소 몸이 붙지않아 지네를 퇴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