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의 역대 황제 | |||||
초대 경종 무열제 이원호 | ← | 2대 의종 소영제 이양조 | → | 3대 혜종 강정제 이병상 |
묘호 | 의종(毅宗) | |
시호 | 소영황제(昭英皇帝) | |
연호 | 연사령국(延嗣寧國, 1049년 천우수성(天祐垂聖, 1050년 ~ 1052년) 복성승도(福聖承道, 1053년 ~ 1056년) 다도(奲都, 1057년 ~ 1062년 9월) 공화(拱化, 1063년 ~ 1067년) | |
성 | 중국어 | 이(李) |
탕구트어 | 영령(寧令) | |
휘 | 중국어 | 양조(諒祚) |
생몰기간 | 1047년 3월 5일 ~ 1068년 1월 | |
재위기간 | 1048년 ~ 1068년 1월 |
1 개요
서하의 2대 황제이다. 의종(毅宗)은 묘호이며 본명은 이양조(李諒祚)이지만 탕구트식으로 하면 영령량조(寧令諒祚)이다. 생몰년도는 1047~1067. 시호는 소영제(昭英帝)이다. 경종의 사생아로 생모는 황후 몰장씨(沒藏氏)이다.
2 무소불위 외척정치
1048년 아버지 이원호가 갑작스럽게 피살로 상을 당하자 그의 모친 몰장태후(沒藏太后)와 그의 친인척이 국정을 장악하고 농단하였다.[1] 한편, 경종의 상을 틈타 요 내에서는 서하를 정벌하자는 의견이 개의되었고 결국 1049년 서하를 공격하였다. 요는 서하 공격에 앞서 서하의 하정사를 본국에 압류시켰고 북원추밀부사 소유신을 북송에 파견하여 서하 정벌 소식을 알렸다. 이 해 7월 요흥종이 친정을 시작하였고 8월에는 황하를 도하했다. 하지만, 하남으로 진군하는 소혜의 군사가 서하군에게 패배하는 등 처음에는 수모를 겪었다.
그럼에도 10월 야율적고가 조복군을 이끌고 서하군을 허란산(賀蘭山)[2]에서 굴복시켰다. 이때부터 서하는 거란에 조공을 바쳤다. 1056년, 실질적으로 서하의 1인자였던 몰장태후가 보세식다기(保細吃多己)와 사통한 것이 또 다른 사통 관계에 있었던 이수귀에게 발각되어 살해당하였다. 그의 오빠이자 국상 몰장와방(沒藏訛龐)은 분노에 차 이수귀를 죽이고 실권을 쥐었다. 이때 의종은 12살로 정치에 참여하게 되지만 전권은 외삼촌에게 있었기에 별다른 제스쳐를 취하지 못하였다.
3 개혁드라이브
하지만, 몰장와방과 그의 아들은 두려웠다. 시간이 갈수록 의종은 지식을 겸비하였고 아는것도 많아졌다. 결국 1061년, 의종을 죽이려는 음모를 꾸몄으나 이 사실을 알게 된 의종은 몰장와방과 그의 딸을 죽이고 양씨를 황후로 삼아 외척세력을 근절 하였다. 국정의 권력을 장악한 의종은 적극적인 개혁의 일선에 나선다. 먼저 번례(당항의 전통적인 의례)를 폐하고 한의(漢儀)로 바꾸었으며 각 부의 상서, 시랑 등 조직적인 관직을 두어 중앙집권적 행정을 체계화 하였다. 또한 주군을 조절하여 지방통치 강화에도 힘썼다. 이러한 의종은 개혁은 황제의 권위를 높여 자신이 겪었던 비참한 과거의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였다.
4 대외정책
4.1 요와의 관계
허란산 전투 이후 거란과는 조공-책봉관계를 유지하였다. 태황태후가 사망한 날에 조문 겸 참석하는 등 친밀한 관계를 맺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