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하고, 짜증나고, 화가날 때 생기는 감정

'성이 났다'

노엽거나 언짢게 여겨 일어나는 불쾌한 감정으로 순우리말이다. 이게 인간에게 적당하게 생기면 어느 정도 가라앉칠 수 있지만 버틸 수가 없을 정도로 극에 달해 차오르면 얼굴이 빨간풍선처럼 새빨게지고, 표정이 굉장히 사나워지며 자칫하면 이성을 잃어버릴 수도 있다. 부왘! 창작물에서 등장인물이 성에 가득차면 얼굴이 빨개지는 것은 기본 옵션이요, 특히 머리에 연기화산마냥 뿜어 나오는게 포인트.

1.1 관련 문서

2 성(姓),Last name

2.1 한국의 성씨

3 城, castle

성(건축) 문서로.

4 중국의 국가

4.1

중국 서주시대부터 존재하던 국가로 주문왕의 7남으로 주무왕의 일곱째 동생인 숙무에게 백작의 작위를 받아 분봉을 받은 제후국으로 지금의 산동성 문상현에 위치하고 있었다.

동방의 강대국인 (齊)와 인접하여 공격을 받았기 때문에 약소국이 되었으며 (鄭)의 왕사군을 위장하여 (宋)을 공격할 때 응하지 않아 정(鄭), 제(齊), (魯) 연합군의 공격을 당해 멸망했다. 이 후 복국했으나, 전국시대(楚)의 공격을 받아 멸망한다.

4.1.1 역대 군주

성숙(郕叔) 무(武)
방보(邦父)
손보(孫父)
성백(郕伯)
(중간 계보 불명)
숙공(肅公)
간공(简公)
(중간 계보 불명)
환공(桓公)

4.2

  • 후한 초기 군벌인 공손술(公孫述)에 의해 쓰촨성 지역에 건국된 국가. 성가(成家)라고 부르기도 한다.
  • 후한 말 원술황제를 참칭하며 세운 국가. 정사에서는 국호가 성이 아닌 중(仲)이지만 삼국지연의의 영향으로 흔히 이쪽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 오호십육국시대 티베트계 저족(氐族)의 이웅(李雄)에 의해 건국된 나라이다. 후에 국호를 한(漢)으로 변경하였으며, 성한(成漢)으로 부르기도 한다.

5 性 (생물학, 사회학)

주의. 성(性)적 내용이 포함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성(性)적인 요소에 대해 직간접적인 언급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읽는 이에 따라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 문서를 열람하실 때 주의하시기 바라며 원치 않으시면 문서를 닫아주세요.


정직한 틀, 정직한 내용

언어별 명칭
영어sex
일본어せい(性)
중국어性(xìng)
프랑스어sexe
스페인어sexo
독일어geschlecht
베트남어giới tính
태국어เพศ
페르시아어جنس
러시아어пол
이탈리아어sesso
에스페란토sekso

느낌을 나타내는 '(的)'[1]을 붙이면 성적과 동철이의어가 되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얼핏 건전한 내용스러운 섹드립이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중의성이 생기기도 한다. "성적 고민"이라든지.. 다만 이 경우엔 [성ː쩍]으로 읽는다.
자세한 내용은 성별, 성관계 문서 참고.

6 性 (언어학)

grammatical gender

명사의 변화 형태에 따라 구별되는 집단을 가리킨다. 인도유럽어족 언어나 셈어파 언어에서 나타나는 것이 대표적인 문법적 성의 사례로, 남성, 중성, 여성 등이 있다. 이러한 성은 그 자체의 자연적 성질과는 관계가 없는 문법적인 개념이다. 그래서 성이라는 용어 대신 '명사 분류'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

7 프란츠 카프카의 소설

성(소설) 참조.

8 省 (행정구역)

성(행정구역) 문서로.

9 省 (정부기관)

일본, 북한[2] 등의 중앙 행정기관. 한국의 에 해당한다.

10

형의 남부지방 사투리식 발음. 여기에 님짜를 붙이면 성님이 된다.

11

라틴어 : Sanctus
이탈리아어 : San
영어 : Saint, Holy
독일어 : Sankt

본래 동아시아에서 유교적 의미의 성인을[3] 의마하던 어근이었으나, 20세기 이후에는 그리스도교의 Sanctus에 해당하는 어근으로 쓰인다. 성인,[4] 성경, 성부, 성자, 성령 등의 어휘를 구성한다. 영어에서는 Holy는 Saint보다 강한 의미이며, 창조주나 교회[5] 등에 사용된다. 본래 라틴어로는 둘 다 Sanctus(어근: Sanc)인데 영어에서는 갈라진 것. 하지만 한자어로 번역하면서, 다시 한 어근으로 합쳐졌다(...)
  1. 법적, 과학적 할때의 그 적.
  2. 북한 정권 수립 이후 줄곧 중앙행정조직은 '내각(內閣)', 각 부서는 '성(省)', '장관'을 '상(相)'이라 호칭해왔으나, 1972년 김일성이 국가주석제를 도입하면서부터 중앙행정조직인 '정무원(政務院)' 산하의 각 부서를 '부(部)', 장관을 '부장(部長)'이라고 했다. 김정일 집권기인 헌법 개정을 한 후인 1998년 예전의 호칭으로 환원했다.
  3. 성인군자 할때의 그 성인.
  4. 그리스도교에서 시성된 이.
  5. 건물의 의미가 아닌, 범국가적 공동체의 의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