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조어

원시인류어(原始人類語, Proto-Sapiens language)나 원시어(Proto-World language)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1 개요

현존하는 인류가 사용하는 언어의 가장 가까운 공통조상언어를 말한다. 인류조어라고 해서 무조건 최초의 언어는 아니다. 그리고 사라진 언어가 모두 서로 이어지는 조상이 있다고 가정하진 않는다.

2 설명

사실 영어권에서도 이 용어의 표현이 명확히 정립된 것은 아니고 이를 번역한 한국어에서도 마찬가지이다.[1] 어쨌든 이런 개념에 처음으로 과학적으로 접근한 인물은 20세기 초의 언어학자인 이탈리아인 알프레도 트롱베티(Alfredo Trombetti)로 1905년에 출판된 본인의 저서 언어의 공통기원(L'unità d'origine del linguaggio)에서 인류조어의 원형을 정의하는 일이 시도되었다. 그는 인류조어가 약 10만 년 전에서 20만 년 전 사이에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했다.사실 애초에 공통기원이 잘못된 게 동양과 서양이 사실 다른 차원이라고 봐도 될 정도라...

다만 현실적으로 수천년 전의 조어들도 분석이 안 되는 판에 10만 년 전의 언어가 제대로 추적될 리가 없다. 혹시나 외계인이 지구에 와서 수집해놓은 언어 데이터베이스가 있거나 타임머신이 있지 않는 한은 현재로선 불가능한 축이다. 서로 다른 어족끼리 기초 어휘를 비교하며 재구해가는 정도가 고작이다.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이름은 숫자가 될 수 없습니다. 설명적인 이름을 사용하세요
]

네안데르탈어를 포함하느냐의 문제도 있다.
  1. 리그베다위키가 표제어로 처음으로 사용했을 가능성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