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自由型
형식에 제한이 없음. 흔히 올림픽 수영과 레슬링에서 특정 영법을 강제하거나, 공격부위에 제한을 두는 종목과 대비, 그러한 '형식'의 제한이 없음을 말한다. 그래서 종목 정의상 자유형 경기 때는 개헤엄을 쳐도 되고[1], 레슬링에선 상체 공격만 가능한 그레코로만과 달리 하체 공격도 허용된다.
단, 자유형이라고 해서 아예 규칙이 없는 것은 아니다. 수영일 때 자유형이라도 15m 이상 잠영하면 반칙이고, 레슬링 경기에서 꼬집기나 타격은 역시 반칙이다.
自由'形(모양 형)'이 아니다. 形과 型(모형 형)은 항상 용도가 헷갈리는 한자이므로 주의.
1.1 수영에서 자유형
수영의 종목이자, 관용적으로 크롤 영법을 일컫기도 한다. 어떤 방식으로 헤엄쳐도 무방하다. 단 혼영의 자유형에서는 배영, 평영, 접영같이 따로 경기가 있는 영법 이외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만 현재까지 알려진 여러 영법 가운데 가장 빠른 영법이 크롤이므로[2] 자유형 참가하는 선수들은 모두 다~ 크롤 영법으로만 한다. 그래서 보통 수영에서 자유형이라고 하면 다들 크롤 영법을 말하게 되는 것이다. 다른 영법이 -영으로 끝나서 헷갈리기 쉬운데, 애초에 종목명이 영법으로 굳어진 경우라 자유형이지 자유영이 아니다.[3]
하지만 수영 괴물 마이클 펠프스가 2014년에 은퇴를 번복하면서 치룬 복귀전에서 컨디션 점검차 50미터 자유형을 접영으로 수영했다. 물론 좋은 기록은 아니고 중간 정도 등수. 다만 속력 면에서 검증된 크롤 영법이 있는데도 그걸 버리고 접영을 했다는 것이니 그거에 진 나머지 선수들은 관광...
크롤 영법은 발보다는 팔동작을 통해 대부분의 추진력을 얻으며, 보통 팔과 다리의 추진력 비율을 7:3정도로 본다. 킥력이 약한 일반인은 팔의 비중이 10중에 8이상이다. 수력이 오래 된 아주머니나 노인분들은 킥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도 편안하게 한 두 시간 뺑뺑이가 가능할 정도.
발은 요란하게 물장구를 치기보다는 다이버들이 수중에서 오리발을 움직이듯 다리 전체를 유연하게 움직이면서도, 발 동작의 상하폭을 작게 잡아 움직여야 한다. 무릎을 아예 움직이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굽히지 않고 거의 핀 상태에서 채찍처럼 다리를 움직여야 한다. 초보자의 경우 무릎을 많이 구부려서 '니킥'을 먹이듯이 발을 차는데 몇 발짝 못 가서 꼬르륵 물에 빠진다.
강습시에 발레처럼 발 들기 동작이나, 축구에서 공차는 동작을 연상하라곤 일러주지만 역시 초보자에게는 쉽지 않다. 보통 발목을 움직이지 않으려고 힘을 준 상태에서 힘껏 차게 되는데, 이러면 물의 저항에 쥐가 날 수 있다. 발목이 물살에 밀려 자연스레 꺾이도록 내버려 둬야 한다. 발목이 뻣뻣하면 킥에 애로사항이 생긴다. 자유형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영법에서 발목 유연성이 매우 중요하다.
팔은 크게 뒤로 당겨 추진력을 얻는 동작(Pull)과 다시 앞으로 뻗으며 앞선 동작의 준비 자세로 돌아가는 동작(Recovery)로 나뉜다. 만화 등에선 종종 자유형이랍시고 팔을 마치 프로펠러 돌리듯이 빠른 속도로 마구 돌려서 나아가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렇게 팔을 움직이면 물의 저항과 체력 소모만 커질 뿐 빨리 나아갈 수가 없다. 팔 역시 발 동작과 마찬가지로 최대한 완만하게 움직여야 한다. 선수들의 영법을 보면 매우 편안하고 빠르게 첨벙첨벙 가는것 같지만, 물밖에선 팔의 힘을 빼고 다시 물속에서는 강하게 물을 잡아당기는 동작을 매우 빨리 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인다. 그 사이에 롤링을 통해 몸을 조금씩 비틀며 간간히 숨쉬는 동작도 동시에 해야 한다.
흔히 강습 한 달만 하면 자유형은 마스터(?) 한다고 생각하는데, 사실 테크닉상으로 가장 복잡하고 어려운 영법이다. 강습 한 달째에 앞으로 가는 건 물에서 가는 정도이지, 그것이 크롤영법의 최종진화형과는 거리가 있다.
또한 강습 4~6개월차 정도, 보통 접영을 배우는 시기에 자유형에서도 리커버리 동작인 일명 '팔 꺾기' 영법을 배우는데 일명 '팔 꺾기'는 빨리 가는것과 별 상관이 없다. 팔의 힘을 적게 사용 하려고 나온 동작이다. 실제로 선수들 경기 50미터에서는 대부분 100미터 에선 절반정도 팔을 쭉펴서 뻗는 스트레이트 암(straight arm) 영법[4]을 쓴다.
초보자의 경우 처음 물 속에서 행해지는 팔 입수시에는 손바닥으로 수면을 텀벙텀벙 치거나 손을 구브리거나 손날로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데 교본상으로는 손바닥을 편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쪽으로 40도 각도로 입수가 좋다곤 한다... 그러나 사람마다 나이 성별 체력 체형이 다르고 어디까지나 자유형 이기 때문에 어느 동작을 꼭 정해서 하기보다 수면에 손가락이 먼저 들어가는게 좋다고 기억하면 된다.
이후 Pull 동작은 손바닥을 최대한 편 상태에서 앞에서 뒤로 손가락이 물을 긁듯 움직여야 한다.[5] 이렇게 한번 추진력을 얻고 뒤로 간 팔은 Recovery 동작을 통해 수면 위로 올려져 다시 앞으로 보내진다. 이때 손과 팔꿈치와 어깨의 동작이 매우 중요한데, 무조건 꼭 S자를 그리야 하는건 아니다. 킥을 계속 차는 동시에 몸을 비틀면서 진행하기 때문에 그렇게 보이는것이지 실제로는 1자 혹은 I-stroke 를 사용한다. 무리하게 손을 비틀거나 해서 S자를 그리려고 하는 경우가 있는데 오히려 가는데 방해가 된다.[6] 또한 스트로크를 빨리 하는것이 중요한게 아니라 정확히 하는것이 속도는 물론이고 체력면에서 유리하다. 뭐 빠지게 팔을 젓다보면 숨이 차고 자세가 무뎌지고 체력고갈이 온다. 같은 자세를 최대한 바르고 오랫동안 지속하는것이 운동 효과가 뛰어나다.
동작 사이사이에 얼굴을 수면 밖으로 내밀면서 숨을 쉬어준다. 숨쉬는 횟수나 방향은 편한대로 하면 된다. 정해진 게 없다.[7]단 여기서 머리를 치켜들어서 숨을 쉬면 상체가 들리면 무게중심이 하체로 쏠리며 다리가 물속으로 깊게 가라 앉으면서 물속으로 꼬르륵이된다. 숨을 쉴때는 팔을 움직이는 쪽으로 고개만 옆으로 까딱 움직여서 빠른시간에 호흡법(일명 음~ 파~)로 쉬는것이다.
이와같이 자유형(크롤) 영법은 이와 같이 한쪽 팔이 pull을 하는 사이에 다른 쪽 팔은 Recovery를 하는 식으로 양팔을 번갈아가며 Pull 동작으로 추진력을 얻어 앞으로 나아가는 영법이다. 그 사이 발은 계속 움직이며 추진력과 함께 몸의 균형을 맞춰준다.
지금까지 본것은 글로 아무리 이해하려 해봤자 소용이 없다. 유투브나 동영상으로 수영강습 영상이 쏟아지고 있기 때문에 눈으로 보는걸 추천한다. 오히려 강습때 잘 볼수 없는 수중 동작이 들어가있어서 수력만 조금 된다면 동영상도 충분히 수영실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유형을 배우는 초보자들이 하는 실수는 아래와 같다.
1. 머리가 수영장 바닥을 보고 수영을 해야하는데, 머리를 들거나 정면을 보고 수영하는 경우
- -> 인명구조시 영법으로 헤드업 자유형이 있긴 하지만, 경영을 처음 배우는 초보의 경우 대부분 코로 물이 들어가거나 머리를 들게 되어 다리가 가라앉게 된다.
2. 호흡 타이밍을 놓쳐서 너무 늦게 호흡을 하는 경우
- -> 한 두번은 앞으로 갈 수 있지만 얼마못가서 물을 먹고 호흡의 리듬이 깨진다.
3. 호흡 시 머리를 옆으로 하여 숨을 쉬어야 하는데 고개를 너무 들어서 숨쉬는 경우
- -> 1.의 경우처험 물을 먹거나 가라 앉는다.
4. 팔동작 시 팔꿈치를 너무 구부려서 허우적거리는 경우
- -> 힘이 상당히 들어서 역시 연속 동작하는데 무리
5. 팔을 움직임에도 몸이 평평하게 나아가는 경우
- -> 롤링이 안 되는 경우인데 어께에 너무 많은 힘이 들어가며 경우에 따라 어께에 부상이 생길 수 있다.
6. 힘들어서 발동작 중에 무릎을 구부리는 경우
- -> 다리에 쥐가 나거나 하체가 가라앉으며 역시 꼬르륵
7. 팔동작을 할때 손 바닥으로 텀벙 입수할 경우
- -> 시작부터 팔에 힘이 많이 들어 가기 때문에 스트로크시에 힘이 많이 들어가게 되고 힘이 들어서 오래 지속되기 어렵다. 저항으로 물보라도 많이 생긴다. 초보자의 경우 그나마 다행인데 수영이 조금 더 향상된 상태에서 이런 나쁜버릇이 고쳐지지 않으면 수면에 입수할때 작은 충격이라도 수천번씩 손에서 팔 어깨까지 충격이 전해지기 때문에 어깨가 다칠 위험이 있다. 수력이 어느 정도 되는 사람들이 팔꿈치나 어깨관절이 아프다거나 또는 등 근육이 땡긴다고 할 때 문제원인이 입수 동작부터 망가진 경우가 많다.
자세한 것은 아래 동영상을 참고하자
단 동네 강습과 다르다거나 동영상 마다 다르다해서 헷갈리는 경우가 있는데 어디까지나 자유형 이기 때문에다가 가르치는 사람마다 다를 수밖에 없고 강조 하는 부분은 대부분 비슷하다. 대체로 다른 그런 부분은 대부분 별로 중요치 않은 부분이다.
2 自由刑
죄인의 자유를 빼앗는 형벌로서, 죄인을 구속시키거나, 추방시키는 등 자유를 빼앗는 형벌의 일종이다. 유배, 영구추방, 거주제한 외에도 넓은 의미로 보면, 접근 제한 조치 등 도 여기에 들어간다. 주로 감옥, 교도소 등 수용시설에 격리, 수용하는 식으로 집행된다.
대한민국 형법상의 자유형으로는 징역, 금고, 구류가 있다.
얘는 위의 항목의 형의 마지막 글자의 한자가 다르다.- ↑ 실제로 시드니 올림픽 때 에릭 무삼바니라는 선수는 개헤엄을 쳐서 주목받았다.
- ↑ 사실 가장 짧은 거리에서 빠른 영법은 잠영이다. 다만, 잠영 종목은 폐지되었고(정확히는 다른 종목으로, 스노클링 수영과 함께 수'영'이 아닌 수'중' 종목에 속해 있다. 수영 대회가 아닌 수중 대회에서 한다) 공기통 없이 잠영이 가능한 거리는 한정되므로 보통은 크롤을 가장 빠른 영법으로 소개한다.
- ↑ 사전에 자유영(自由泳, 헤엄칠 영)도 등록되어 있기는 하기 때문에 자유영이라고 써도 문법적으로 틀리지는 않는다. 다만 자유형 쪽을 압도적으로 많이 쓴다. 네이버 국어사전
- ↑ 호주나 유럽선수들은 대체로 그러하고 미국 선수들은 잘 사용하지 않는다. 국내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수영 교본'가장 빠른 수영'(Fastest Swimming) 에선 접영출신 선수들이 자유형 경기서 많이 사용하지만 효과적이지 못한 영법이라고 평가한다 그렇지만 미국 밖의 유럽이나 호주 선수들은 많이 사용함.
- ↑ 물론 교본대로 손가락을 모으면 좋겠지만 일반인의 경우 오히려 팔에 힘이 들어가서 자세가 망가지는 경우가 수두룩하다. 유투브에서 선수급 시범을 봐도 손가락 모으는데 그렇게 열심히(?) 집중하지 않는다. 심지어 펠프스 조차... 그리고 주의 할 점은 손목 힘을 최대한 빼야 한다는것이다. 손바닥으로 바가지로 물퍼듯 가는 메카니즘이 절대 아니다. 물에 밀려서 지느러미처럼 밀리듯 물이 잡혀 가는것이다.
- ↑ 90년대 이전 일본 번역 교본을 배우고
업데이트가 안 된동네 강습 강사들이 '일부'중에 S자를 매우 강조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렇게 가는것도 한 방법이겠지만 선수들의 경우 현재 거의 예외없이 100%...하이 엘보우(팔꿈치를 직각으로 세움) 자세로 1자 혹은 I자 스트로크를 쓴다. 일반인의 경우도 수력이 어느 정도 된다면 1자 스트로크가 속도면에서나 체력면에서나 오히려 더 유리하다. (이상 "I-stoke"에 대한 Bob Bowman 코치의견..-미국 국가대표 경영 감독 역임.펠프스의 코치로도 먼저 알려졌다.-) - ↑ 펠프스의 경우 매번 오른쪽 스트로크마다 숨을 쉬고 박태환은 왼쪽이 편하나 양쪽다 가능하다. 왼-오른-왼-오른 두번씩 스트로크 하며 숨을 쉬는 선수도 있고 정해진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