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복무중인 군인에게 미리 간부 교육을 시켰다가, 유사시 징병해야 할 때 일반병을 징집병으로 대체하고 이미 있던 군인은 분대장 이상의 간부로 승격하는 군대 제도. 상당수의 국가는 이 제도를 염두에 두고 아예 평시 사병으로 입대시 계급을 이등병 등 최하 계급이 아닌 육군 기준 분대장 보직 가능한 계급부터 부여하고, 그 이하 병력을 전원 예비역 편제로 돌리기도 한다. 즉, 전 현역(경우에 따라선 예비역도) 군인이 모두 부사관 이상으로만 구성되지 않더라도 이에 해당하는 사례는 존재한다.
대개 전군 간부화를 하는 부대는 반쯤 예비역 편제가 되어 있는 군대라 볼 수 있다. 그리고 전군 간부화가 된 부대가 유사시 징집을 해서 증편하게 되면 보직이 하나씩 상승하게 된다.
예를 들면
- 미편제 → 징병 → 소총수
- 소총수 → 분대장
- 분대장 → 소대장
- 소대장 → 중대장
이런 식으로 보직이 상승한다.
징병제를 하면서도 전군 간부화를 하는 것으로 흔히 알려진 곳이 북한의 조선인민군으로, 이들은 보통 자신의 직책보다 2단계 상위 직책을 유사시 수행할 수 있도록 숙달 교육을 받는다. 전시 예비군 동원시 불어날 인력에 대한 지휘 뿐 아니라, 상급자의 유고시 지휘공백 최소화를 위함이기도 하다. 불어날 인력이 있는지는 일단 무시하자
모든 국가가 병=총원 징집대상자, 부사관 이상=직업군인이라는 공식을 갖지는 않고, 독일군처럼 병 신분의 직업 군인을 두는 경우도 많으므로[1], 직업 군인으로만 구성된 군대라고 병이 없다고 단정지으면 안된다.
2 장점
유사시 한꺼번에 많은 병력을 증원시킬 수 있고 증원시켜도 계급을 그대로 적용해도 되기 때문에 전시동원에 아주 유리하다. 또한, 전시에 상급자가 부상 또는 전사해도 곧바로 하급자가 별 문제 없이 직무 대행이 가능하다.
3 단점
인건비 문제로 군의 규모를 키우기 어려워지고 평소에는 증원 대비 준비만 하기 때문에 전시에 시행착오가 많고 숙련된 병을 획득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그리고 이는 육군의 보병 등 교육 시간이 비교적 짧은 일부 군종과 병과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이 때문에 이 제도를 채택한 국가들도 육군 보병 이외의 병과와 해군과 공군은 현역 위주로 편성되어 있다.
4 전군 간부화의 예시
- 독일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군대 규모를 일정 이상 늘일 수 없게 제약을 많이 받았기에 유사시 병력을 늘일 수 있도록 말단병에게도 간부 교육을 했다.
- 대한민국 예비군 : 예비역 병장에게 유사시 소대장 직책을 주기도 한다.
- 미 연방공공보건서비스부대, 미 연방해양대기청 : 준군사조직으로 전 인원이 미합중국 해군 장교 신분으로 구성.
4.1 고비율 간부화 군대
전군간부화까지는 아니더라도 장교와 부사관의 비중을 병보다 훨씬 높인 군대들이 있다. 한국군의 경우 63만 가운데 17만이 간부라서 26% 정도인데 비해 자위대는 25만 중 20만 정도로 80%에 육박하며 독일군도 20만 가운데 14만 정도로 70%, 프랑스군도 22만 가운데 14만 정도로 60% 정도로 간부화 비율을 높이고 있다. 이들 유럽 국가들은 선술했듯 징병제 시기에도 병 신분 직업군인이 존재했고, 계급 체계가 큰 개편없이 지속되어 왔기 때문에 병의 비율이 좀 더 높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