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고등학교

이 문서는 개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또는 특수학교 및 유사한 교육 기관 관련 내용을 다룹니다.

다음에 해당되는 서술은 금지되어 있으며 이에 위배되는 내용을 작성할 시 문서 훼손으로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학교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내의 교사 및 학생 등 비공인에 관한 서술
  • 기타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불필요한 서술
20px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의 고등학교
양현고등학교우석고등학교전라고등학교유일여자고등학교
전북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전북여자고등학교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전주솔내고등학교전주여자고등학교전주중앙여자고등학교
파일:NpAOUn6.png
교명전라고등학교
한자全羅高等學校
영문Jeolla High School
개교1968년
유형일반계 고등학교
성별남자
운영형태공립
소재지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홈페이지[1]

1 개요

전라고등학교(全羅高等學校)는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에 있는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이다.

2 개교

1968년 3월 28일 개교했다.

3 연혁

  • 1967년 12월 29일 전라고등학교 설립 인가
  • 1968년 3월 28일 전라고등학교 개교
  • 1970년 1월 20일 전라중고 분리
  • 1974년 6월 18일 인후동 교사(校舍)로 이전
  • 1984년 2월 10일 現 송천동교사(校舍)로 이전
  • 2015년 2월 6일 제 45회 졸업식(졸업생: 376명)

4 교훈

교훈: 자율(自律), 단결(團結), 정진(精進)

5 교가

6 학교 상징

교목: 소나무
교화: 국화
교조: 독수리

7 역사

1967년 전라중고등학교로 인가를 받고 이듬해 3월 28일 개교했다. 1970년 중고를 분리하였고, 1974년 인후동 교사(校舍)로 이전하였다가 1984년 다시 現 송천동교사로 이전[1]하여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2015년 45회 졸업생들이 졸업하였고, 누적 졸업생은 19,295명을 배출했다.

8 출신 인물

9 기타

9.1 엄격한 규율

매우 엄격한 규율로 유명했다. 공립학교라 주기적으로 선생님들이 교체 되는데도 이러한 기풍이 오래도록 유지 되어왔다. 흠좀무 여기만 오시면 선생님들이 각성을 하시나 야간자습을 비롯한 수업 및 자습이 엄격히 통제되었고, 체벌도 강했다. 보통 하키채로 발바닥을 때렸다. 휴대폰을 비롯한 통신기기 사용은 당연히 금지였다. 휴대폰 사용을 제대로 제재[2] 한다고, 신문에 나오기 까지 했다. 그야말로 학부모들이 좋아할 만한 학교였다.학생들은 공부밖에 할게 없었다.

오죽하면 교장 선생님은 교도소장, 선생님은 간수, 학생은 죄수라는 푸념까지 있었다. 사실 그 시절 남고가 다 그랬다. 특히 두발 규정이 엄격하기로 유명한데 20세기에는 무려 9mm가 기준이었다고 한다. 그냥 말그대로 빡빡이. 두발 검사는 배드민턴 채를 머리에 올려서 머리카락이 튀어나오면 안된다 하는 수준이었으니 말다했다. 21세기 들어 규정이 좀 완화되었다는게 옆, 위, 뒷머리 1~2Cm, 앞머리 4cm였다. 네이버 지식인으로 미루어 볼 때 2011년도에도 두발 검사가 매우 심했음을 알 수 있다.정 궁금하면 홈피 들어가서 포토갤러리 과거 사진 보면 된다. 이 후 4Cm까지 풀려서 스포츠 형태를 띠다가 요즘은 특별히 규제를 가하지 않는다고 한다. 참조

9.2 이세종 열사 추모비

교내에 이세종(8회) 열사 추모비가 세워져 있다. '민주열사 이세종 추모비'라고 적힌 이 비석은 전라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전북대 농학과에 진학했던 故이세종 열사를 기리는 비석이다. 이세종 열사는 1980년 5월 17일 호남대학총연합회 소속 연락책임자를 자임하며 전북대학교 제1학생회관에서 집회에서 나눠줄 유인물을 등사를 마치고 자정 즈음에 기숙사로 귀가하던 중 M16과 곤봉으로 무장한 공수부대원들한테 피습당했다. 그 후 18일 오전 1시께 학생회관 옆 바닥에서 변사체로 발견되었는데. 타살 정황이 뚜렸했으나 경찰과 정부는 단순 추락사로 발표해버렸다. 그러나 부검 과정에서 추락전 이미 심하게 구타 당했음이 밝혀 졌다. 이 후 시신은 생가인 김제시 연정동의 개인 묘역에 안치됐다가 1998년 10월 광주민주화관련 보상심의회의 결정으로 명예가 회복되면서 이듬해 4월 5.18묘역으로 자리를 옮겼다. 비록 광주에서 일어난 사건은 아니지만 넓은 의미에서 5.18민주화운동 첫 번째[3] 희생자였던 이세종 열사를 기억하기 위해 모교인 전북대학교와 전라고등학교 교정에 추모비[4]가 세워져 그 뜻을 기리고 있다.
  1. 인후동 교사에는 전라초등학교가 설립되었다.
  2. 3無정책이라고 학교폭력, 흡연, 휴대폰 없는 학교인데 휴대폰이 가장 처벌이 쎄다. 우선 휴대폰은 압수고 부모님 소환에 휴대폰 해지 확인서까지 떼고 물론 학생은 몇주간 교내봉사를 해야 한다. 또한 휴대폰을 압수할 시 그걸로 끝나지 않고 해당 휴대폰에 등록 되어 있는 연락처를 뒤져서 전라고 학생이 있는지 추적하여 추가적으로 적발하는 행위도 했다고 한다.
  3.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광주에서 첫 번째 희생자는 5월 18일 오후에 공수부대원에 의해 구타당해 사망한 故김경철, 故김안부 이다.
  4. 2015년 5월 15일 이세종 열사의 고향인 김제시에도 추모비가 건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