全尙毅
(1576~1627)
조선 중기의 인물
1 일대기
1575년(선조 8년) 출생했고 본관은 천안(天安), 전용(全蓉)의 아들이다. 1603년(선조 36), 29세 되는 나이에 무과에 급제, 벼슬에 오르게 된다. 광해군 때에는 일본에서 정유재란 때 잡혀간 우리나라 사람들을 송환해 오기도 해 어모장군에 오르게 된다. 인조반정 이후, 개천군수로 강등, 후에는 구성부사로 다시 승급한다.
1627년 청 태종이 3만 군사를 이끌고 남하, 정묘호란이 발발했을 때 의주에서 이완(李莞)장군이 분사하고, 능한산성(凌漢山城, 오늘날의 곽산)이 함락되면서, 적군의 청천강 도하를 막기 위해 평안도의 병을 전부 안주(安州)로 집결시켜, 전투를 준비하는데 이 때 평안병사 남이흥(南以興), 안주목사 김준, 용천부사 이희준 등과 함께 전투에 참가한다.
수백의 군졸로 안주성 북문 앞에 있는 백상루 앞에 진을 치고 쳤으며, 후금군은 이를 보고 항복을 두 번이나 종용했으나, 이를 거부하고 이에 접전, 5일 동안 3번의 접전에 이르러 전세가 불리해 지자 전상의 장군은 목을 찔러 자살하고 만다.
병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1684년(숙종 10) 안주의 민충사(愍忠祠), 광주의 경렬사(景烈祠), 제주의 귤림서원(橘林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1903년(광무 7) 청원군 북일면 구성리(九城里)에 충신각(忠臣閣)을 세웠다. 1985년에 전상의 장군들의 후손과 유적보존회가 중심이 되어 충민사(안주 충민사의 이름을 따 왔음.)를 준공하게 된다.
후에 관한 전상의 장군에 관한 기록은 전상의 장군의 문집인 구성공실기(龜城公實記)에 잘 나타나져 있다.
2 후대 평가
전상의 장군은 광주 출신으로 광주 의충신 14인 중에는 나라로부터 정려를 받은 3명 중 한명으로 김덕령, 고경명 장군과 함께 광주3충신으로 불린다.
하지만 김덕령과 고경명 장군보다는 그다지 유명한 편이 아닌데, 다음과 같은 이유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