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승복

정승복(鄭承復)

1520년(중종 15)∼1580년(선조 13)

조선 중기의 무신이다. 자는 경윤(景胤)이고, 호는 옥계(玉溪),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을묘왜변 때의 명장이다,.

생애

세조 때의 계림군(鷄林君) 정지년(鄭知年)의 현손(玄孫)으로, 아버지는 돈용교위(敦勇校尉)를 지낸 정내(鄭鼐)이고, 어머니는 훈련원습독을 지낸 개성왕씨 왕침(王琛)의 딸이다.

1544년(중종 39) 무과에 2등으로 급제하고 1546년(명종 1) 중시(重試[1]) 무과에서 장원을 하여 절충장군으로 승진했다. 이후 옥구현감(沃溝縣監)을 역임하였다.

1555년(명종 10) 옥구현감 재직 중 왜구가 전라도 남부 지역에 침입한 을묘왜변(乙卯倭變)이 일어나자 전라남도까지 가서 왜구들을 맞서 싸워 공을 세웠다.[2] 1559년(명종 14) 기미왜변(己未倭變)이 터졌을 때는 어란진만호(於蘭鎭萬戶)로 출정하여 추자도에서 왜구들을 물고기밥으로 만들고 왜선 1척을 사로잡아 왜구들 몇명을 사로잡아 돌아왔다.

그 일로 전라감사 박충원(朴忠元)과 수사 최희효(崔希孝)가 그를 포상하도록 상소문을 올려 웅천현감[3]이 되었고 얼마 안되어 영덕현령(盈德縣令)을 거쳐 함흥판관(咸興判官)이 됐다.

원균 극딜도 있는 은봉전서를 쓴 저자이자, 의병장 및 학자 안방준이 그의 사위였다. 그뒤 아들과 손자들이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과 의병장으로 참전한 공로로 아들 손자들 덕분에 좌승지에 증직됐다가 다시 병조참판으로 다시 증직됐다.
  1. 기존의 관료들을 대상으로 보는 시험으로 여기에 합격하면 한번에 정3품으로 승진했다.
  2. 왜구의 습격이라 전쟁 축에도 못끼이지만 당시 전남의 10개 성이 합락되고 전라도 병마절도사와 진도군수가 전사했다.
  3. 보령시의 웅천 지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