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함대사건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실제로 발생한 사건·사고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합니다. 불법적이거나 따라하면 위험한 내용도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이용자들이 불쾌할 수 있으니 열람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실제 사건·사고를 설명하므로 충분히 검토 후 사실에 맞게 수정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이 틀을 적용하시려면 적용한 문서의 최하단에 해당 사건·사고에 맞는 분류도 함께 달아주시기 바랍니다. 분류 목록은 분류:사건사고 문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1 개요

우학사건처럼 일본해군이 '조약의 한계까지 함의 성능을 추구한다'는 과도한 개함우월주의로 벌어진 해양사고.

2 사고 원인

일본 해군은 1934년에 일어난 수뢰정 토모즈루의 전복사건을 계기로 보유 함정의 복원성 개선공사에 착수해 이를 마무리 지었다. 그리고 런던 해군군축조약이 발효되면서 국제정세가 악화되자 해군력의 확충에 매우 분주했었다.

제4함대는 4년에 한 번 있는 대연습을 위해 연습에서 일본군역인 청군에 대항하는 가상적함대인 적군으로 구상되었다. 1935년 9월 26일에 해군연습을 위해서 임시로 편성된 제4함대의 사령관 마쓰시타 하지메(松下元) 중장은 이와테 현(岩手県) 동쪽해협 250해리에서 연습을 위해 9월 24일부터 25일에 걸쳐 보급부대, 수뢰전대, 주력부대, 잠수전대를 하코다테 항에서 출발시킨다.

당시 일본에는 태풍이 지나가고 있었지만 문제의 7호 태풍은 일본을 벗어나 북쪽으로 향하고 있었기 때문에 일본의 기후에는 큰 영향이 없어서 훈련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것이었기 때문에 훈련은 계속 되었다. 이것이 25일의 일이다. 그런데 그 25일 22시에 새로이 열대저기압에 의하여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태풍이 일본을 지나가게 되었다. 다만 그래도 기후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것이 공식적인 기상예보였다.

문제는 9월 26일 오전 6시의 기상예보로 이 예보는 25일의 기상예보가 틀렸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태풍의 진로를 잘못 읽은 것으로 결국 정오 무렵에는 함대가 태풍의 영향을 받게 되리라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함대를 회항시키려 했지만 이미 해상의 상황은 악화되어 있던 상태라 무리해서 항해하다가는 잘못하면 함선끼리 충돌을 일으킬 수도 있겠고 당시 태풍은 약20m/s의 속도에 점점 더 성장하는 태풍의 영향을 벗어나기 힘들겠거니하여 결국 훈련을 계속하게 된다.

14시 30분경에는 마침내 태풍의 중심을 가로지르게 되었는데 태풍은 40m/s의 속력을 내고 있을 정도였으며 파도높이는 약 14미터에서 18미터 사이였다. 이 때문에 류죠, 호쇼의 함교의 유리창이 파손될 정도였고 15미터의 파도를 맞은 하츠유키와 유우기리는 함체가 절단되어 함수가 뜯겨나갔다.

3 피해

참가함 41척 중 반 수에 해당하는 19척이 피해를 입었다.

특히 최신예의 후부키(吹雪)형 구축함 2척은 파랑에 의해 함교부근에서 앞 함수부분이 절단되는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이때 절단된 함수에는 수병들이 남아있었지만 구조가 곤란하고 그 부분의 통신실에 있던 암호표가 표류해서 다른 나라에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포격으로 처분했다고 한다. 일본군답다. 당시의 함대 편성은
중순양함 : 묘코급 4 척
경순양함 : 모가미급 2척 포함 총 9척
항공모함 : 호쇼 , 류조
잠수모함 : 타이게이
구축함  : 카미카제급, 무츠키급, 후부키급

피해결과는 다음과 같다.
후부키급 구축함 하츠유키, 유기리는 함교 부근에서 함체가 절단.
무츠키급 구축함 무츠키, 키쿠즈키, 미카즈키, 카미카제급 아사나기는 함교대파.
항공모함 호쇼 는 전방 비행갑판 대파.
항공모함 류죠 는 함교 파손.
중순양함 묘코 는 선체중앙부 리벳이 뜯겨져나감.
경순양함 모가미는 함수부 외판이 떨어져나가고 균열발생.
잠수모함 타이게이는 선체중앙 및 함교전방 상부외판에 대형균열이 발생.
기타 다수의 구축함이 손상되고 하츠유키의 절단된 함수부분에 있던 수병들을 포함, 사망 및 실종자 54명

4 원인

1. 당시 세계적으로 상정 된 '악천후의 파도'는 파고 / 파장의 비율이 1/20 파도이었지만, 제4함대가 마주친 파도는 각 함의 관측에 따르면 1/10에 도달하는 등 당시 함체 설계 강도를 훨씬 넘는 폭풍이었다.
2. 군축 조약에 의해 보유 함정 제한을 받은 일본해군은 규정의 배수량을 지키면서 전투력을 끌어올리기 위해 군함에 과무장을 장비하게 되었다. 그 결과는 당연하게도 선체 강도의 하락이었다.
3. 이에 앞서 같은 해 7월 함체 이상 보고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훈련을 강행했다.
이러한 원인이 겹쳐 이 정도의 참사가 되었다고 한다.

5 결과

그전에 일어난 우학사건과 함께 군축조약 하에서 건조된 전 함정을 검사한 후 거의 모든 함선이 개조를 받게 되었다. 주요 대책은 선체 강도 확보를 위한 보강 공사 및 경량화를 위한 ​​무장의 일부 철거 등.

또한 사건 이후에는 설계 단계부터 1/10 이상의 파도에도 견딜 수 있도록 선체 설계를 진행하였고, 이후 1944년 12월, 상황 오판으로 미국 함대가 최저기압 907밀리바, 최대풍속 65m/s의 태풍 코브라에 정면으로 맞닥뜨리게 되어 구축함 3척이 침몰하고 여러 함선이 상당한 손상을 입는 사태가 벌어지던 당시 일본의 700톤급 해방함은 태풍 속에서도 끄덕없이 항해한다는 성과를 남기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