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랑말

450px
조선시대 조랑말.

영어로는 포니(pony).

보통 중에서 체격이 작은 조그만 말로 대부분 각 지역의 재래종이다. 중국의 고문헌에는 한국 북부 산악지대의 조랑말을 과하마(果下馬)[1]라고 적은 기록이 있다. 몸집이 작고 귀엽기(?)때문에 현재는 어린이들이 승마할때 사용하며, 과거에는 덩치가 작지만 덩치에 비해 지구력이 좋고 먹이를 적게 먹어 짐말로 많이 사용하였다.[2]

생긴 것과 달리 성질이 엄청 더러워서(...) 편자를 갈때는 다리 넷을 묶어서 포박한 뒤에야 작업을 할 수 있었다고 한다. 구한말 조선에 들어온 외국 선교사들이 남긴 기록을 봐도 사악하다는 둥, 악마같은 짐승, 말 모습을 한 맹수 운운하는 내용이 있는 걸 봐서 성질이 참 더티한 모양.

대한민국에는 제주마가 있으며, 현재 제주마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다만 제주마는 조랑말이면서 중(中)형마에 속한다. 어?

너무 작기 때문에 군마로는 사용이 곤란하다. 그래서 조선 왕조에서는 중국에서 좋은 말 품종을 들여와 어떻게 크게 개량해보려고 노력했는데, 중국산 말도 그렇게 좋은 말이 아니었는데다[3] 3대가 넘어가면 도로 조랑말로 돌아가버려서 번번이 실패했다고 한다. 유전학의 부재가 뼈아프다 그래서 전국에 양마장을 설치하고 질좋은 여진족의 말을 수입해서 제법 효과를 보았지만 임진왜란이 터지면서 제주도를 제외한 본토의 양마장 대부분이 파괴되었다.[4][5]그래도 임진왜란 이후에 여진(당시는 청나라)에서 덩치가 좀 되는 중마(中馬)를 대량 수입하였다.[6]
다만 무관들이 선비 따라한다고 너도나도 당나귀를 타고 다니는게 문제였다고(...). 자세한 것은 당나귀 항목 참조.

사족으로 조선 후기 조랑말이 넘처나 조선의 안장이 더 높았다는 낭설이 종종 출처불명의 자료로 떠도는데,


조선시대 안장

청나라 안장
출처 한국 안장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앞뒤의 턱이 높을 뿐, 실제 앉는 부분에 높이는 별 차이가 없다.

70년대 군에서 박격포나 무반동포 수송을 위해 조랑말을 사용해 보려 한 적이 있었다. 덩치에 비해 힘도 쎄고, 폭음에도 덤덤한 편이었기에 좋은 평가를 받았지만, 사료를 따로 제공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점과 그놈의 더러운 성질머리 때문에... 거기다 이 시기 경제개발로 식단이 개선되면서 입대자들의 체격도 커지면서 그냥 병사들이 뺑이치는 걸로 종결되었다.


외국의 조랑말(셔틀랜드 포니 망아지).

외국의 포니도 결국은 조랑말의 한 품종이기에 학명은 말과 같은 Equus ferus caballus. 몸이 작고 튼튼하며 성격이 온순하며 인내심이 강하다. 셔틀랜드 포니 등의 종이 존재하며, 제주마도 같은 품종으로 친다. 또한 이 말의 꼬리는 굉장히 예쁘며 모양이 좋아서, 머리를 이 말의 꼬리처럼 묶어서 올리는 형태는 포니테일이라 칭한다.

영미권 어린이, 특히 전세계 어른이 북미권 여아들은 조랑말(포니)을 좋아한다는 스테레오타입이 유명하다. 토이스토리의 악역 시드는 잠꼬대로 조랑말을 사달라고하고, 심슨 가족리사 심슨은 아에 정신줄을 놓는다. 자신만의 조랑말을 받고 조랑말의 갈기를 땋아주며 보살피는 것이 일종의 이상클리셰로써 자리잡은 듯. 이 성향을 보고 노린 마이 리틀 포니라는 유아용 장난감/캐릭터 상품/애니메이션도 있다.

버스 기사분들 사이에서 를 조랑말이라 부르기도 한다(...).
  1. 올라탄 채로 과일나무 아래를 지나갈 수 있을 정도로 작은 말. "동예의 과하마"라고 고등학교 국사 시간에 배운 기억이 있을 것이다.
  2. 물론 대량의 짐을 나르는 큰 달구지를 끌 때는 큰 말을 썼다.
  3. 중국 본토의 말도 그렇게 덩치가 좋은 편이 아니었다. 때문에 중국은 역사적으로 항상 좋은 말이 많은 중앙아시아나 북방민족들에게서 좋은 말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고, 적토마나 한혈마 같이 유명한 말들은 다 외국에서 들여온 대형마인 호마의 혈통이 흐르는 말들이었다.
  4. 문제는 조선이 제주도에서 한라산에 목마장을 만든게 최고의 병크였다. . 말을 키우는 곳은 탁트인 평원에서 키워야 하는데 험악한 산에서 키우다 보니 말이 1년에 무려 백필이나 떨어져 죽었다. 그래서 이 손실이 정말 큰 골칫거리였다. 그래서 쌓은 것이 상잣성과 하잣성. 말이 넘어가지 말라고 목마장 위아래에 쌓은 담이다. 70년대 까진 가을만 되면 방목하던 소와 말을 찾으러 한라산을 누비는게 일이었다고 한다. 다만 찾는다고 끝이 아니라 반쯤 야생화방목의 부작용가 되어 사람만 보면 도망치는 통에 지쳐서 잡힐 때까지 며칠이고 쫓아다녀야 했다고. 찾는데 한세월, 잡는데 또 한세월)
  5. 중산간지대에 목마장을 설치한 흔적이 마을 공동목장으로 남아 있다. 평화로나 산록도로 같은 중산간지대 도로를 지나며 볼 수 있는 목장 상당수가 마을 공동목장이다. 여담으로 제주들불축제는 매해 목장에 불을 놓아 새 목초가 돋기 쉽게 하는 '방애'라는 풍습에서 유래했다. 꼴랑 오름 하나 태우는 들불축제와는 스케일이 달랐다
  6. 물론 그래봤자 이런 좋은(조선의 기준으로는) 말들은 왕실이랑 군대, 양반들이 독점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