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의(용의 눈물)

한국 사극 용의 눈물의 등장인물. 배우는 차철순.

1 개요

용의 눈물에서 태종 이방원의 마지막 최대의 난적으로 등장한 인물. 용의 눈물이 본래 이 조사의의 난을 끝으로 막을 내릴 예정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본래 용의 눈물의 최종보스로 배정된 인물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1]

현실 역사에서의 조사의의 난이 실제로는 이성계가 주도했으며 조사의는 부자간의 골육상쟁을 감추기 위해 주동자로 몰렸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과 달리, 여기서는 제1차 왕자의 난 직후 신덕왕후에게 입은 은혜를 갚는다는 차원에서 주도적으로 타도 이방원의 기치를 내걸고 암약하는 것으로 각색되었다. 당연히 이방원에 대한 증오와 혐오감은 뿌리깊은 수준. 물론 극중에서 이성계 역시 조사의의 이런 행보에 힘을 실어주면서 태조 흑막설에도 힘을 실어주고 있다.

첫 시작은 이방원의 측근이자 공신인 이거이 부자의 여성 편력을 두고 흠을 잡는 소문을 퍼뜨린 것. 이것이 큰 파장을 일으켰지만 이방원이 직접 나서 이거이 부자의 결백을 증명했기에 결국 실질적으로 큰 소득은 없었다.[2]

그 뒤 함께 움직이고 있던 부하들 중 일부가 군사를 이끌고 이방원을 주살하려 하자 아직은 때가 아니라며 만류하지만 결국 막지 못했다. 물론 이들의 이방원 습격은 호위하던 관군과의 대결로 인해 패배로 끝났고, 모두 처형되어 반역자로 효수된다. 조사의는 동북면으로 이동하면서 그들의 내걸린 시체를 보고 그 희생을 결코 헛되이 하지 않겠다고 다짐한다.

세월이 흘러 이방원이 왕으로 즉위하고 태조 이성계가 이에 격노하여 동북면 방면으로 떠나오자, 그를 상전으로 모시고 세력 규합에 박차를 가한다. 도중 태종 이방원이 이성계에게 파견한 차사들이 속속 죽어나간 것과 달리 박순이 이성계의 마음을 흔들리게 하고 쫓겨나는데 그치자, 위험하다고 판단해 독단적으로 손을 써서 그를 살해하기도 한다.

이후 마침내 조정을 향해 난을 일으켜 질풍노도의 기세로 진군해왔으며, 태종 이방원의 친정 소식을 듣고 드디어 본성을 드러냈다며 웃고 이성계가 보는 즉시 참하라 명하자 거칠 것 없이 움직인다. 그러나 이방원파 쪽에서 내부 공작을 걸어온 탓에, 한창 군사들을 향해 "역적 이방원의 목을 베어 전하께 진상해야 할 것이야!!!"라 외치며 사기를 드높히던 와중에 내부의 배신 소식을 듣고야 만다. 결국 이후 계속 무너진 끝에 관군에 사로잡히고 만다. 체포되기 전 자살하려 했지만 그나마도 실패하고, 이후 자신이 쌓아온 모든 것이 무너진 현실에 절규한다.

그대로 태종 이방원과 마주하자 냉소를 드러냈으며, 사람 죽이기를 좋아하는 게 네 본성이니 빨리 끝내라 빈정거린다. 안 그래도 조사의 때문에 아버지와 칼을 맞대게 된 일 때문에 조사의에 대한 분노가 극에 달해 있던 이방원은 삼족을 멸할 것을 명하고, 결국 아들과 함께 참형에 처해진다.

2 평가

신덕왕후의 원한을 갚기 위해 움직인다는 측면에서 볼 때, 이 이야기의 주인공 이방원의 입장에서는 그야말로 신덕왕후의 망령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존재. 이후 극중의 태종 이방원이 신덕왕후의 장릉 석물들을 청계천 물에 처박아버리란 명을 내린 것도 이 일과 무관하지는 않을 것이다.

태조 이성계에게 충성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박순이 이방원에 대한 증오에 사로잡혔던 이성계를 흔들리게 하는 모습을 보이자 그냥 쫓아내는 것에 그쳤던 이성계의 허락도 없이 독단적으로 죽이는 모습을 볼 때 어디까지나 타도 이방원의 기치란 측면에서 이성계에게 충성을 바쳤던 거라 보는 것이 옳다. 용의 눈물의 등장인물들 대다수가 그렇듯, 이중적으로도 보일 수 있는 다면성을 지닌 인물.
  1. 사실 이 조사의를 끝으로 이방원에 대한 실질적 위협은 사라졌고 이후 연장된 용의 눈물은 태종 이방원이 조정을 쥐락펴락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게 된다.그리고 시작된 방원이의 대숙청
  2. 도리어 이방원은 이 때의 빚을 구실로 하여 사병혁파에 박차를 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