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동아시아의 전통 설화에 등장하는 가택신 중 하나로, 부엌을 관장하는 신이자 부녀자들의 신이다. 조왕각시, 부뚜막신, 삼덕할망(제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집안의 재액을 막아주고 가업이 번창하게 해주는 일을 하며, 부엌에는 늘 불씨가 있으므로 불에 대한 부분도 맡고 있다. 음력 12월 23일에 승천하고, 설날 새벽에 지상에 내려와 제자리로 돌아간다고.
조왕신이 지켜보고 있으므로, 주부들은 불을 때며 악담을 하면 안되고, 부뚜막에 걸터앉거나 발을 디디면 안되며, 부엌을 깨끗이 해야 했다고 한다.
2 한국의 조왕신
한국의 조왕신은 고대 한반도의 부뚜막신이 결합되어서 나타난 신격으로 추정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시골 할머님들이 부뚜막 뒤쪽에 토대를 만들어 놓고 그 위에 조왕보시기(조왕중발, 조왕단지)를 두어, 거기에 매일 아침 깨끗한 물[1]을 길어다 채워놓고 치성을 드리는 데 그게 바로 조왕신을 모시는 것이다. 또한 밥을 지으면 첫 밥은 조왕신께 올리는 것도 같은 맥락.
보통 주부의 모습으로 나타나며, 주부가 음식하는 것을 도와준다고. 웹툰 신과 함께에서도 부엌을 관장하며 식사준비를 담당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현대화된 탓에 전기밥솥에 들어가서(...)밥을 하고 있다.웹툰 학원기이야담이나 한국 순정만화 Mana에서도 등장한다.
어머니를 상징한다고도 볼 수 있는 신이다. 어떻게든 밥은 제대로 챙겨먹기를 바라는 마음의 결정체.
한국에서는 본래 여성신으로 묘사되었으나 후대에는 남성신으로 표현되었다. 집안의 최고신 자리를 놓고 성주신과 싸웠으나 지는 바람에 성주신과 사이가 나쁘다는 전승도 있는데, 이것이 모계사회에서 부계사회로의 전환을 의미한다는 학설도 존재한다. 한국 불교에서는 좌우에 땔감의 신 담시력사와 요리의 신 조식취모를 거느린 부부신으로도 등장한다.
3 중국의 조왕신
중국에서는 여성보다는 남성이나 부부의 모습으로 주로 나타난다. 조군, 사명조군, 조신야 등으로도 불리며 집안의 수호신 성격이 강한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는 섣달 그믐에 하늘에 올라가, 한해동안 자신이 관리하는 집안의 사람들이 잘한 일과 잘못한 일을 옥황상제에게 알려바쳐 그 과보에 따라 수명이 줄어들거나 재액이 생기게 하거가, 반대로 좋은 일이 생긴다거나 수명이 늘어나게 한다거나 하는 일을 관장하는 사명신으로의 성격이 강하다.
때문에 중국에선 조왕신이 올라가는 때가 되면 부뚜막에 엿을 비롯한 끈적끈적하고 달콤한 음식을 바르는 관습이 있는데, 조왕신이 하늘에 올라갔을 때 입이 엿으로 찰싹 붙어 목황상제에게 제대로 보고를 하지 못하거나, 뇌물로 바치는 엿을 먹고 모른체 해 달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그야말로 돈으로 귀신도 부릴 수 있다는 대륙다운 사고방식이다.근데 조왕신이 보고 제대로 못해서 잘리면 후혹풍 어떻게 감당하려고
4 일본의 가마신
일본에서는 가마도신(かまど神, かまどがみ)이라고 부르며, 한국이나 중국과 마찬가지로 집안의 길흉화복을 관장하는 일을 맡고 있으며, 일본 전통 주거에서 부뚜막이 다다미방보다 상대적으로 어둡다 보니 이승과 저승의 경계를 관장하는 힘이 있다고 믿어지기도 했다.야쿠모 유카리? 성별은 남성과 여성이 공존한다. 오키나와의 류큐 신토에서는 히누칸(火の神, ヒヌカン)이라 부르며, 역시 집안의 안녕을 맡아보는 중요한 신이다.
5 조왕신의 역사와 변화
중국에서는 전국시대의 문헌인 <전국책>에 기록이 남아있어 기원전 5~3세기에 체계화된 조왕신 신앙이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널리 퍼진것은 한나라 때부터로 한무제 때부터는 국가 제사행사 중에 조왕신에게 제사를 드리는 것도 들어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조왕신과 관련된 자료로 가장 오래된 것은 <삼국지> 위서 동이전으로, 변진조에 "귀신에게 제사 지내는 방법은 다르나, 문의 서쪽에 모두들 조신(竈神, 조왕신)을 모신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렇듯 불과 불을 다루는 부엌을 신성시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공통적으로 보이는 신앙으로, 그리스 로마 신화의 헤스티아가 대표적인 사례다.
이후 불교와 더불어 중국의 조왕신 신앙이 들어오면서 한국의 전통 부뚜막신과 중국 조왕신은 동일시되어 둘이 섞이게 되었고, 자연히 그 영향을 받아 우리나라도 조왕신이 조왕할아버지/조왕할머니 부부로 나타나거나, 소수지만 중국 조왕신처럼 조왕대감이라는 남성신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2000년대 현재 한국의 일반 가정에서는 조왕숭배를 찾기 힘들며, 무교에서 굿이나 독경 시 안택굿의 일부로 조왕청배를 하거나 조왕고사 정도로 남아있다. 다만 불교 사찰에서는 공양간에 조왕신을 모신 조왕탱화를 흔하게 볼 수 있다. 한국 사찰의 조왕신앙은 불교가 중국을 거쳐 들어오다 보니 중국 조왕신앙의 영향이 짙어 남성 조왕신을 그림으로 그려 조왕단이나 공양간 한켠에 걸어놓고 모시는 경우가 많으며, 좌우에 땔감의 신 담시력사와 요리의 신 조식취모를 거느리고 있다. 그러나 그 앞에 설치된 작은 단에 조왕단지를 따로 놓기도 한다.- ↑ 정화수. 조왕물이라고도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