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인

中人

1 개요

조선 시대의 신분 계층.

중인은 양반양민 사이의 계층으로, 그 정의는 어느 정도 모호함이 있다.

2 상세

좁게는 역관(譯官), 의관(醫官), 율관(律官), 산관(算官), 화원(畵員) 따위의 잡과에 합격한 전문 기술직을 가리키는 말이다.의사, 판검사, 회계사...현대에는 어째 거의 '사'자 붙는 직업들이다[1]

넓게는 지방관청에 소속된 서리 계급이나 기술직, 서얼 계층까지 포괄하고 있다. 오늘날로 치면 하급 공무원이나 사무직, 관리직 노동자??

3 특징

이들은 주로 한양 성곽의 중심부에서 살았는데 그래서인지 중인이라는 이름의 어원이 신분적으로 중층이 아니라 거주 공간에서 비롯되었다는 주장도 있다. 사실 애초에 조선은 공식적으로 양천제였기에 중인이라는 계층은 공식적으로는 인정되지 않는 계급이었다.

이들은 왕조의 전문기술직으로, 양반에 비해서는 여러가지로 차별을 받았지만 실무 분야를 담당했기 때문에 그 나름대로 특권을 누렸고 양인들을 뜯어먹거나(…) 자기 나름대로 수완을 발휘하여 양반 못지 않은 부를 축적할 수 있는 여지가 있었다.

우리가 한국의 전통 과학기술이라 배우는 것들은 대부분 이들세종대왕의 업적이다. 당장 한의사를 비롯해 기술과 관련된 직종을 전부 중인이 맡았으니 당연한 일이다. 신분이 세습되는 특성상 이러한 전통 과학기술들도 중인들 간의 세습을 통해 후대에 전해졌다.
  1. 서양에도 이 계층을 맡은 젠트리들은 귀족과 평민의 중간에 위치해 있었다. 프랑스 영화 비지터를 보면 현대의 자기 후손이 치과 의사랑 결혼한다고 하니 중세에서 온 주인공이 못마땅해 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당시의 신분제나 직업에 대한 편견을 반영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