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광고

1 광고의 종류

1.1 설명

전국 네트워크가 아닌 특정 지역의 방송 업체에 의해 특정한 방송권역에서만 방송되는 광고들을 말한다.

사실 방송사의 주 수입원은 뭐니뭐니해도 광고인 만큼 당연히 각종 광고가 넘쳐흐르는데,[1] 케이블 방송사들은 광고비가 낮기 때문에 광고를 조금이라도 더 받아야 이득을 낼 수 있다. 그래서 공중파에 비해 광고 규제가 덜한데(프로그램을 중간에 자르고 광고를 넣는다거나 등), 이 중에 매우 한정된 지역에만 송출해주는 대신 수주비를 싸게 주는 광고도 있는데 이것이 바로 지역광고이다. 다만 지역광고 개념자체는 케이블TV가 개국되기 이전에도 존재했으며 KBS와[2] MBC 지방채널에서 틀어줬다. 물론 서울KBS나 서울MBC에서는 지역 광고를 전혀 볼 수 없지만 평일 아침, 낮 시간대에 서울, 수도권에 소재지를 두고 있는 곳을 중심으로 광고를 한다. 특히, 아파트 분양 광고

상술했듯 전국이 아니라 특정 지역에만 송출되는 광고 영상이기 때문에 비교적 싼 값에 전파를 탈 수 있고, 따라서 해당 지역의 가게나 기업들의 저렴한 광고들이 지역광고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대기업 광고는 이미 영향력 쩌는 지상파의 광고 자리들을 꿰차고 있어서 구태여 이런 데까지 신경쓰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

상술한 이유로 수도권 방송에서는 볼 수가 없다.. 때문에 서울은 이런 지역광고와 전혀 인연이 없다고 봐도 된다.[3] 하지만 지역방송사들은 수익을 내기 위해 지역광고를 받기 때문에 지역광고를 내니 당연히 지상파에서도 지역광고를 실컷 볼 수 있으며 서울도 90년대 중반 이후로는 케이블 채널에 한정해서 지역광고가 재생되니 서울도 지역광고를 볼 여지가 생겼다. 좋다고 해야 하나? 장사하는 입장에선 좋겠지

전국단위인 스카이라이프와 IPTV에서는 해당 시간대에 경우에 따라 자사 서비스 광고로 채우거나 보험 광고로 때우거나 아예 자체 광고를 넣지 않거나 한다. 이에 따라 요새는 안내문구의 '지역 방송국' 부분이 '개별 방송국'으로 바뀐 상태이다.

한국 밖에서도 유료방송 사업자가 임의의 시간대에 자체광고를 삽입하는지는 누가 추가바람.

1.2 특징

애초에 대기업처럼 충분한 자본력으로 광고에 투자할 수 있는 기업들이 지역광고를 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대기업 광고에 비해서 광고의 질은 허접스럽다. 그래도 어느 정도의 장비와 편집을 동원해 대기업 수준은 아니더라도 적당히 볼만한 수준으로 뽑는 경우도 있는가 하면 심한 경우에는 특유의 탁한 색감, 지나친 에코 효과, 그리고 유치한 음악, 더불어 상당한 발연기의 4박자가 맞아떨어져서 이게 21세기에 만든 광고인지 아니면 1980년대 시절 만든 광고인지 분간이 안가는 수준인 경우도 많다.

하지만 돈을 엄청 많이 들인 메이저 광고에서는 볼 수 없는 지역광고만의 요소도 찾아보면 분명히 있다. 일례로 지역광고는 연예인이 거의 나오지 않으며, 나온다고 해도 보통 안유명한 사람이나 한물 간 사람인 경우밖에 없다. 소개될 경우 이사람이 가수였든 연기자였든 높은 확률로 직업이 "방송인"으로 통일되며, 어떤 경우는 이름조차 소개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지역광고 시간은 케이블 방송사 홈페이지 맨 아랫쪽을 보면 '큐톤안내' 메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지역광고 중에서 본좌급으로 꼽히는 것으로 이삿짐센터 대전 '쌍마트랜스'[4], PC방 프렌차이즈 '유니넷', 김해 미용실 '해리헤어', 대구사랑 대리운전[5] 등을 들 수 있다.

당연히 합성 갤러리에서 가만히 둘리없었다.

지역광고 4대천왕 대전 쌍마트랜스, 유니넷, 해리해어, 대구 대리운전 (순서대로 나옴)
'유니넷'광고에서 영상과 음성이 맞지 않는 것은, 동영상 인코딩을 잘못한 것이 아니고 실제 광고에서 일어난 일이다(...)

2012년, 지역광고 4대천왕 중 하나인 대전 쌍마트랜스에서 새로운 광고를 내놓았다. 역시 병맛스러운 광고가 일품. 그래도 과거의 병맛에 비하면 많이 줄어들어 아쉽다는 것이 평가. 말도 99년 버전은 실제였으나 이건 그래픽으로 처리되었다. 그래도 지역광고 중에서는 본좌 대접을 받고 있다. 참고로 위에 올려진 옛 버전은 1999년 버전. 그런데 99년 버전은 왠지 80년대 후반~90년대 초반경 지상파 광고의 퀄리티 같다(...)

기실 지역광고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부분은 음성의 볼륨으로, 적당히 듣기좋은 음량으로 맞춰놓은 TV에서 갑자기 하울링이 생길 정도의 고성이 터져나오면 누구나 깜짝 놀랄 수 밖에 없다. 고의적으로 표준음량보다 2~3배이상 증폭시킨 소리는 TV스피커에나 사람의 귀에나 모두 무리를 준다. 이게 광고효과가 있을까?[6] 물론 지역과 광고 퀄리티에 따라서 볼륨이 작게 나오는 경우도 있다.

1.3 큐톤

주로 지상파 방송의 지역국의 자체방송시간을 알려주거나 지역 케이블방송국에서 지역 광고를 재생할 수 있도록 광고 정보를 알려주는 신호를 말한다.
요즘은 통신 기술의 발달로 큐톤 신호 대신 인터넷을 이용하여 큐톤표를 제공하기도 하지만, 일부 방송국은 화면이나 소리로 큐톤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KBS 뉴스광장/930/7/9는 지역방송 시작/종료 직전 보도에 KBS 로고 밑으로 뉴스 로고를 표시하여 큐톤을 제공한다.
큐톤표는 광고 시작(IN)/종료(OUT)/진행시간(DUR)로 구성되어 있다.

2 개그 콘서트의 전 코너

지역광고(개그 콘서트) 문서로.
  1. 아주 상관이 없는건 아니다. 공중파 방송은 영향력이 큰 만큼 케이블보다 더 엄격한 규율로 관리받는다. 또한 스포츠 중계방송을 제외하면 중간광고를 넣을 수도 없다.
  2. 다만 무조건 KBS 2TV에서 틀어 줬고 KBS 1TV에서 광고가 가능했던 시절임에도 1TV에선 지역 특집 프로그램이 아닌 이상 그냥 닥치고 전국 광고만을 내보냈다.
  3. 물론 광고 퀄리티로 따진다면 지역광고가 없다 하더라도 이런 지역광고 수준의 저질 광고는 볼 수가 있다. 보통 아침 일찍 방송되는 광고들과 평일 낮 시간대에 방송하는 광고는 거의 지역광고 수준이다.
  4. 대전에서 이 광고를 모르는 아이들은 없다고 한다. 20대 이상은 거의 다 알고있다고 보면 된다.
  5. 더구나 이 광고는 대구지역 라디오 광고로 항상 등장한다.
  6. 솔직히 말해서 있다. 다만 그게 정말 좋아서 가는게 아니라 그냥 뭐 이딴 광고를 하면서 찾아가는경우도 있다(...) 진정한 의미의 노이즈 마케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