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시경의 음반 목록 | ||||
정규 음반 | ||||
1집 처음처럼 (2001. 04.) | 2집 Melodie D' Amour (2002. 07. 29) | 3집 Double Life: The Other Side (2003. 10. 16) | 4집 다시 꿈꾸고 싶다 (2005. 04. 07) | |
5집 The Ballads (2006. 10. 10) | 6집 여기, 내 맘속에... (2008. 06. 23) | 7집 처음 (2011. 09. 15) | 8집 미정 (2017년 예정) | |
비정규 음반 | ||||
Try To Remember (2003. 05. 27) | 푸른밤의 꿈 (2004. 05. 20) | 2004 Live - 가화전 (2004. 05. 01) | Best of Sung Si Kyung (2006. 11. 22) | |
한번 더 이별 (2007. 10. 19) | 그대네요 (2010. 09. 28) | Winter Wonderland (2014. 12. 09) | Best Ballads (2015. 11. 25) | |
참여 음반 行步 2013 尹鍾信 · Fermata · Thank You · Da Capo · 너를 기다린다 |
처음처럼 (Sung Si Kyung 1st)
2001년 4월에 발매된 성시경의 정규 1집 앨범 및 메이저 데뷔 음반.
1 개요
2000년 내게 오는 길로 데뷔한 성시경이 처음으로 내놓았던 앨범이다. 이 때의 이미지는 그야말로 귀공자 풍의 이미지(...)지금은 술 좋아하는 동네 삼촌 참고로 2001년 연말 시상식에서 장나라와 함께 신인왕을 차지했다.
데뷔곡인 "내게 오는 길"은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으며, 전설이 되어버린(...) 미소천사가 바로 이 앨범에 수록되어 있다. 물론 모다시경은 여기서 없지만
2 트랙리스트
TRACK LIST | ||||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편곡 |
1 | 처음처럼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2 | 포용 | 성시경 | 이현승 | 이현승 |
3 | 내 안의 그녀 | 김진아 | 박승화 | 강부성 |
4 | 미소천사 | 이희진 | 황성제 | 한재원 / 황성제 |
5 | 동화(同化) | 조은희 | 김형석 | 김형석 |
6 | 축복 | 윤영준 | 윤영준 | 윤영준 / 이환진 |
7 | For U | 김태훈 | 위종수 | 이흥래 |
8 | 헤어지던 날 | 김혜선 | 신훈철 | 김형준 |
9 | 커져버린 사랑 | 이현승 | 이현승 | 이현승 |
10 | Show Me Your Love | 성시경 / 김혜선 | 신훈철 | 강화성 |
11 | 그리움 | 윤영준 | 윤영준 | 윤영준 / 이희진 |
12 | 내가 너의 곁에 잠시 살았다는 걸 | 유희열 | 유희열 | 박용준 |
13 | 내게 오는 길[1] | 양재선 | 김형석 | 김형석 |
3 해설
- 처음처럼: 타이틀 곡
- 미소천사: 성시경 라디오 공식 금지곡(...) 성시경의 곡 중 가장 신나는 풍의 댄스곡이다. 사실 공식 금지곡이 되게 된 건 2004년 라이브 앨범에서 이 노래를 부르면서 "이 시대 최고의 댄스곡은 모다?"를 외치게 되면서지만... 여담이지만 이 곡에는 랩 피처링이 있는데, 사실 이 랩을 한 사람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정확히 말하면 Sam, 김유민이라고 한다.
- 내가 너의 곁에 잠시 살았다는 걸: 본래 토이 2집 YOUHEEYEOL의 타이틀곡이자 김연우가 불렀던 곡을 리메이크한 곡이다.
- 내게 오는 길: 성시경의 데뷔곡. 본래 2000년말 <뜨악 가요제> 앨범에 수록되어있던 곡인데, 1집에 보너스 트랙으로 수록되었다.
4 여담
- 전체적으로 앞 부분에는 화보가, 뒷 부분에 곡 제목과 가사가 올라가 있다(...) 하림의 정규 2집 <Whistle In A Maze>와 비슷한 케이스.
- 보너스 트랙에 있는 성시경의 데뷔곡 <내게 오는 길>은 뜨악 가요제 당시 김형석의 곡을 성시경이 뽑아 부른 것. 참고로 이 곡의 코러스가 다름아닌 김조한[2]. 코러스만 자세히 들어보면 음색과 기교가 빼박 김조한이다.
- 다른 앨범들과 비교해서 들어보면 아직 데뷔 초기라 음색이 풋풋하다. 불과 1년 뒤에 나온 Melodie D' Amour과 비교해봐도 기교보단 특유의 미성을 맑은 고음과 깔끔한 저음을 통해 많이 담아냈다. 덕분에 아직도 이 앨범을 가장 좋아하는 사람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