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

1 개요

항성이나 행성, 은하같은 천체를 관찰하고 연구하는 사람, 즉 천문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흔히 망원경을 들여다보며 별들의 움직임 따위를 관찰하는 일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데 현대에는 그런 모습은 거의 사라졌다.
유명한 천문학자에는 지동설을 주장한 코페르니쿠스, 갈릴레이, 스티븐 호킹이 있다.

2 되는 법

천문학과 출신이 천문학자가 되는 경우가 보통이다.

대부분 대학원까지 졸업해 석사, 또는 박사 학위를 딴 뒤, 연구원, 또는 연구 인턴으로 일하며 경력을 쌓고, 정식 연구원으로 들어가는 것이 보통이다.

2.1 다른 과를 통한 천문학자 되기

천문학과 외에도, 사범대학의 지구과학교육전공을 한 뒤 천문학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신문기사에서 부부 천문학자를 소개했는데 공교롭게도 두 명 다 지구과학교육과 출신의 천문학자이다. 지구과학교육과 출신의 천문학도들을 위해 커리어패스를 소개한다.

  • 남편 :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학사 ->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박사 (지구물리학) -> NASA 제트추진연구소 근무 (2005년 현재) ->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고체지구물리학 및 실험 / 인공위성 측지' 연구
  • 부인 : 서울대 지구과학교육과 학사 -> 서울대 천문학과 석사 -> 미국 텍사스 오스틴대 박사 -> NASA Hubble Fellowship으로 UCLA에서 연구 (2005~2007) ->세종대학교 교수 (2007~2011), 경희대학교 교수 (2011~ 현), LG 연암 해외연구교수로 선정되어 텍사스 대학 연구교수 (2013~2014)

그 외에 현직 지구과학 과학교사 중 천문학 박사를 갖고 있는 사람도 있다.

그 외에 물리학과를 나와도 대학원에서 천문학을 전공한다면 최종 진로는 천문학자가 된다. 가령 세종대학교 이희원 교수 (천체물리)의 경우 학사는 서울대 물리학과, 박사는 칼텍 물리학과 출신이다. 세종대 채규현 교수 (중력렌즈, 우주론)의 경우에도 학사는 고려대 물리학과, 박사는 피츠버그대 천체물리학과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