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라시키 시오리

倉敷栞
クラシキ・シオリ
Kurasiki Siori

003.jpg

코우쨩도 참... 또 야간 아르바이트 한 거지?

도쿄 제나두의 등장인물. 성우는 카야노 아이

1 캐릭터 특징

코우의 집 근처에 사는 소꿉친구이자 반의 동급생. 소극적이지만 심지가 강한 성격으로, 혼자 살기 시작한 코우의 사생활을 걱정한 나머지 어머니처럼 행동하는 경우도 있다.
모리미야 학원에서 코우 일행과 평범한 학원생활을 보내고 있었지만, 어느 날 모리미야 시에 발생한 이계화 사건에 휘말리고 말았는데...

2 작중 행적

아침에 코우를 깨우며 등장. 코우를 애칭으로 "코우쨩"이라 부르고 있다. 이후 아침에 "누군가가 자신을 쫓아다니는 것 같다"라는 말을 하게 되고 결국 저녁에 코우의 눈앞에서 이계화 사건에 휘말리고 만다.

그 후 5화에서도 동화 "The Witch of Misty Castle(안개 낀 성의 마녀)"를 읽다가 이계화사건에 휘말리는 등 큰 재난을 여러차례 겪기도 하지만 코우를 옆에서 지지하고 격려해주기도 하는 등 존재감이 상당한 편.

주의. 내용 누설이 있습니다.

이 틀 아래의 내용은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의 줄거리나 결말, 반전 요소가 직, 간접적으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작품의 내용 누설을 원치 않으시면 이하 내용을 읽지 않도록 주의하거나 문서를 닫아주세요.


7화에서 컨디션이 나빠져 학교를 쉬게 된다. 이후 원흉이라 짐작했던 그림 그리드를 쓰러뜨려 기뻐하고 있는 코우 일행에게 한 통의 전화가 걸려온다. 발신인은 다름 아닌 시오리. 코우는 집에서 요양하고 있을 터인 그녀가 어째서 지금 아크로스 타워에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품는데...

"코우짱, 부탁이야... 마을에서... 도망쳐...!!"

진짜 3S 신화급 그림 그리드이자 모든 이계화 사건 원흉의 정체.

그녀는 쿠라시키 시오리 본인이 아니라 10년 전의 도쿄 진재를 일으켰던 그림 그리드가 인과율 조정을 통해 일상에 끼어든 존재였다. 진짜 시오리는 도쿄 진재 당시 코우의 눈앞에서 이미 사망한 것. 하지만 죽기 직전 그녀는 남겨진 코우가 "만약 손을 놓지 않았더라면" 이라고 자책하면서 망가질 것을 염려하여 "모든 게 거짓이기를" 바라는 소원을 빌게 된다. 때마침 인간들에게 토벌되어 소멸당하기 직전이었던 땅거미의 사도가 그 소원을 받아들여 그녀와 계약해 '쿠라시키 시오리는 죽지 않았다'는 거짓을 만들어내어 지금의 "가짜 시오리"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이 "죽은 사람이 살아있다"는 모순은 어디까지나 모리미야 시에만 적용되었으며, 외부에서는 시오리는 이미 10년 전에 타계했다는 것이 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었다. 이후 10년 간 기술 인프라의 급격한 발전과 함께 네트워크를 통한 모순이 생기기 시작했고 이로 인해 시오리의 존재를 유지하는 게 불가능해져 결국 "평범하게 아무것도 모르고 지낸 가짜 시오리"가 각성해버린 게 이번 이계화 사건의 원인이었던 것이다. 즉 작중에 일어난 모든 사건의 원흉이었지만 기존 시오리와 동일한 기억을 갖고 있었으며, 그림 그리드로서의 자각은 전혀 없었기에 자신이 원흉이라는 사실은 전혀 알지 못했던, "흑막"과는 거리가 먼 캐릭터였다.

코우 일행은 괴로움을 딛고 최종보스를 물리치는 데 성공하지만 결국 시오리는 사라지게 된다. 그 이후 그녀의 존재는 이부키 료타를 포함한 능력 없는 일반인은 전혀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 이 시점에서 만약 코우의 "지, 용, 인" 수치가 낮다면 이대로 게임이 끝나버린다. 이 엔딩의 정식 명칭은 "Bitter Ending"으로, 해석하자면 "괴로운 엔딩". 코우는 어떤 의미로는 일상을 되찾았지만, "시오리와 함께 했던" 일상은 되찾지 못한 셈.[1]

"지, 용, 인" 합계가 8 이상이라면 트루 엔딩으로 갈 수 있게 되고 토지신의 시련을 넘어 결국 시오리는 살아돌아오게 된다. 다른 사람들도 그녀의 존재를 다시 자각하게 되는 말 그대로 "기적"이 일어나게 된다.

불꽃놀이를 보러가기 위해 아스카와 함께 코우를 마중나가며 엔딩. 아스카의 메세지 직전에 나온 엔딩 메세지는 "코우쨩, 준비는 됐어? 창 밖을 봐봐."

3 기타

설정상으로는 벽의 궤적의 모 캐릭터를, 최후는 섬의 궤적의 모 캐릭터를 닮은 캐릭터로 설정만큼이나 이야기의 중심에 파고들어 있는 캐릭터이다.[2] 벌써부터 "그래도 아스카가 히로인이다" "시오리가 진히로인이다"라는 논쟁이 격화되고 있을 만큼(...) 그 존재감이 크다. 중론은 "둘 다 페이크라고 볼 수는 없다. 둘 다 히로인이 맞다" 정도. 전격PS 잡지에서도 두 캐릭터 모두 히로인이라고 언급하며 공식 인정. 하지만 그 결말만큼은 모 캐릭터와 정 반대였던 캐릭터. 정말 노린 게 아닐까 싶을 정도로 모 캐릭터와 비슷한 최후를 보여주나 "공허한 시험" 끝에서도 돌아오지 않은 모 캐릭터와 "시련" 끝에 결국 코우 곁으로 돌아오게 된 시오리는 여러모로 대비되는 점이 있다.

트루엔딩은 완벽한 해피엔딩이지만, "노말엔딩 쪽이 더 여운이 남고 납득도 되어서 좋았다"라는 평가도 있다. 트루엔딩을 완전한 해피엔딩으로 만들기 위해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빌려온 게 사실이기 때문. NPC 대화[3]라던가 막간에서 관련 떡밥 자체는 미리 뿌려두었지만 이건 NPC 마라톤 안뛰면 나오질 않는 내용이라 여전히 뜬금없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그로 인해 완전판인 도쿄 제나두 eX+에서 추가된 애프터 스토리가 이 이야기를 보충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여담으로, 이 캐릭터가 최종보스가 되면서 반 농담으로 "팔콤사 게임에서 성우가 카야노 아이최종보스로 의심하고 봐야된다"라는 말이 퍼지고 있다(...). 둘 다 흑막같은 것과는 상관없는 최종보스라는 점도 닮아 있다.

카야노 아이테일즈 오브 제스티리아에서의 을 좀 풀었으려나? 근데 이 작품에서 아스카가 페이크가 아니라는 건 또 미묘

게임 발매 이후 사사카 메구미 엘범에 수록된 곡인 "All is a lie". 번역하자면 시오리의 마지막 소원이었던 "모든 것이 거짓이기를"으로, 말 그대로 시오리를 위한 곡이자, 노말엔딩에 엔딩곡으로 쓰였다면 멘탈 여럿 갈아버렸을 곡으로 평가된다(...) 그리고 이 곡은 당연하다는 듯이 벚꽃축제 패키지 발매기념 테마에 수록되었다. 크리스마스 테마에 "지금 이별의 순간" 넣은것도 그렇고 이쯤되면 즐기는 거 아닐까 그리고 도쿄 제나두eX+ 엔딩에서 진짜로 엔딩곡으로 넣어버렸다
  1. 다만 숨겨진 퀘스트를 굳이 찾지 않고 NIAR에 올라온 메인퀘스트만 제대로 클리어하면서 책을 찾아 읽고, 선택지를 제대로 고르며, 던전만 조금 신경써서 돌면 이미 7장 이전에 지, 용, 인 합계가 8이 되어 배드엔딩을 면할 수 있다. 모든 숨겨진 보너스 포인트를 다 얻었다면 이미 5장에서 트루엔딩 루트는 확정된다. 즉 지, 용, 인 별 수치 합계가 8 이하라는 것은 스토리 진행하기에만 급급해서 퀘스트는 하나도 깨지 않고, 도서는 물론 패스하며 선택지는 매번 실수하고, 던전도 대충대충 도는 등 게임에 진지하게 임하지 않았다는 의미가 된다. 마치 하늘의 궤적 FC의 에스텔의 랭크가 준유격사 5급 이하일 경우 카시우스가 최종보스를 처리하는 것과 같이 게임을 제대로 플레이하지 않은 유저들에게 내리는 팔콤의 철퇴라고 할 수 있겠다..
  2. 사실 저 둘보다는 나유타의 궤적의 노이에 가깝지만 나유타는 국내에서 인지도가....
  3. 이 마을에서는 때때로 설명하기 힘든 기적이 일어났었다고 말하는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