템플릿:버스노선


※ 아래 템플릿으로 인해 목차와 문서 연결이 어긋나기 때문에 목차를 제거하였습니다.

1 설명

이 문서는 일반적인 버스노선[1] 문서를 만들 때, 보다 편리함과 통일성을 추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문서입니다.

이의사항이 있으시거나 수정한 사항이 있으신 분은 이 토론문서에 의견 바랍니다.

2 주의사항

  • 버스노선 종류별 개요 표 시안 문서에서 각 노선에 맞는 표를 반영해주시기 바랍니다.
  • 시외버스인지 공항버스인지 반드시 확인 후 문서를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 번호가 있는 시외버스(R)일 경우 문서명을 시외버스 0000으로, 공항버스(A)일 경우 공항버스 0000으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2]
  • 번호가 없는 시외버스일 경우 현재 토론 중에 있습니다. 아직 문서명이 확정되지 않았으므로, 확정된 후 작성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최근 변경사항

시간표 및 틀을 기재할 위치를 명시하였음. (15.8.25)
한국철도공사 산하 노선들의 역명과 연계되는 경우 '연계 철도역'에 어떤 식으로 반영할 지 추가 + 시간표 양식 추가. (15.9.6)
수도권 지역 외 시외버스 노선 작성을 위한 설명 추가. (15.9.27)

4 양식

 

* 상위 문서  : (상위 문서의 제목을 기재) ← ' * 상위 문서 : ' 부분도 기재한다.
(폐선, 운휴 틀은 이곳에 기재)
(기타 틀이 있을 경우 이곳에 기재)

(사진 및 사진에 대한 간략한 정보나 설명)

[목차]


== 노선 정보 ==
'버스노선 종류별 개요 표 시안' 문서에서 각 노선에 맞는 표 반영.

모든 정류장을 적지 않는 것은 그렇게 하면 모바일에서 리사이징이 됐을 때 경로만 수십 줄이 나오기 때문입니다.

모든 정류장 목록은 네이버 지도처럼 현재 버스위치도 볼 수 있는 사이트의 링크로 대체바랍니다. 네이버 지도처럼 모바일에서도 볼 수 있는 곳이면 더 좋습니다.


== 개요 ==
노선에 대한 간략한 소개 + 모든 정류장 목록 링크를 기재 (단, 수도권 지역 외 시외버스는 제외)


== 역사 ==
노선의 신설, 변경, 2004년 대개편 때의 변경내용 등을 기재

단편적인 내용[예 : '몇 년 몇 월 몇 일에 A 경유에서 B 경유로 변경되었다.']일 경우 이력처럼 한 줄로 나열해도 무방


== 특징 ==
어떤 곳에서 사람이 많이 승하차한다든가, 특이한 구간이 있다든가, 이 노선의 다양한 특징은 여기에 기재.

어떤 특징이 너무 길어질 경우 하위 문서로 기재 가능.


=== 시간표 ===
하루에 몇 번밖에 운행하지 않는 노선의 경우나 배차간격이 규칙적이지 않은 노선은 시간표를 별도로 기재(표 없이 링크나 사진으로만 기재해도 된다. 다만 출처가 카페처럼 비공개된 곳인 경우 표로 만들어야 한다.)한다. 시간표가 없거나 1일 1~2회만 운행할 경우 쓰지 않아도 무방하다.

||<table align=center><-10><:><#33cc99>{{{#ffffff (지자체) 버스 (번호)번 운행시간표}}}[br]{{{#ffffff yyyy년 mm월 dd일 기준}}} [[(출처 링크 기재)|출처]]||
||<:>횟수||<:>(기점)||<:>(종점)||
||<:>1||<:>05:30||<:>06:20||
||<:>2||<:>07:50||<:>09:00||
||<:>3||<:>10:40||<:>11:40||
||<:>4||<:>13:10||<:>14:10||
||<:>5||<:>15:50||<:>17:00||
||<:>6||<:>18:40||<:>20:10||
||<:>7||<:>21:30||<:>22:20||


== 연계 철도역 ==
지하철 및 전철역(여러 지자체의 지하철역을 경유할 경우 가나다 순으로 정렬한다. 예 : 수도권 전철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부터 나열하되, 오름차순(1 → 9호선) 순서로 기재한다. 이후 경전철이나 일반 철도, 공항철도 등 번호가 없는 노선을 가나다 순으로 기재한다.

반드시 앞에 리스트 표시(*)를 해야 하며, 같은 노선 내에서 역명은 기점 → 종점 순으로 기재한다. 링크는 하나만 걸든, 여러 번 걸든 무관함.

경부선 등 일반 철도의 역이 전철역과 겹치는 경우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기재한다.(겹치지 않은 경우는 아래에 있는 별도 예시를 참조) 역링크의 범람을 막기 위해 KTX 등에는 링크를 걸지 않는다. 열차를 나열하는 순서는 틀:코레일의 열차 등급에 맞춰서 아래와 같이 한다.
* 일반 철도역 : (역명)(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통근열차 ← 이 중 정차하는 열차만 기재한다.)

아래는 예시이다. ('대구 버스 급행1' 문서에서 발췌)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 [[아양교역]], [[큰고개역]], [[동대구역]], [[칠성시장역]], [[중앙로역(대구)|중앙로역]]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계명대역]], [[강창역]], [[대실역]]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서문시장역]]
* 일반 철도역 : 동대구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아래는 일반 철도역만 경유하는 경우이다. 편의를 위해 노선명과 역명만 기재한다. ('철원 버스 15' 문서에서 발췌)
* [[경원선]] : [[백마고지역]]

5 예시

6 그 외의 경우

  • 같은 노선 혹은 비슷한 노선을 두 회사가 서로 다른 번호로 운행할 경우 : 하나만 문서로 만든 다음, 나머지 노선들은 리다이렉트 처리.(예 : 가평 버스 32-9, 시외버스 8851)
  • 가지 노선이 있는데, 가지 노선만으로는 기재할 내용이 적은 경우 : 본선 문서를 만든 다음, 가지 노선들도 함께 기재. 내용이 적으므로 노선정보표와 설명만 있으면 된다. (예 : 양평 버스 1, 안성 버스 10, 수원 버스 32)
  • 철도가 다니지 않는 지역의 경우(ex.제주특별자치도) : 연계 철도역 대신 주요 관광지나 기타 사항을 적어주시면 됩니다.
  1. 하나의 노선을, 토막글이 아닌 충분한 내용이 있도록 만드는 경우. 그 외의 경우는 아래를 참조.
  2. 본래 공항버스 문서가 없이 일괄적으로 시외버스 취급했기 때문. 공항버스 4000이나 공항버스 5600처럼 만들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