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위 문서 : 시외버스/번호를 붙이고 다니는 시외버스
1 노선 정보
시외버스 8851번 | |||||
기점 |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3동(용현동 구 터미널) | 종점 |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권선2동(수원종합버스터미널) | ||
종점행 | 첫차 | 05:25 | 기점행 | 첫차 | 05:25 |
막차 | 22:20 | 막차 | 22:20 | ||
평일배차 | 15~20분 | 주말배차 | 30분 | ||
운수사명 | 태화상운 | ||||
노선 | 용현동 구 터미널 - 제물포역 - 주안사거리 - 인천시청후문 - 만수역 - (→ 삼미시장 →/← 신천동 ←) - 매화동 - 목감사거리 - 수암동 - 부곡동 - 웃거리 - 수원남부역 - 수원종합버스터미널 |
2 개요
태화상운이 운행하는 시외버스 노선.
3 역사
- 태화상운의 간판 시외버스이자, 태화상운과 역사를 함께한 노선. 수원 - 인천 간의 대표적 이동수단이기도 한지라 역사도 깊다. 1971년 버스 폭파 사건 당시 피해를 입은 버스도 이 노선의 차량이다.
- 처음에는 수원과 인천에서 유명했던 용일여객[1]과 공동배차하면서 태화 : 용일 = 2 : 1 비율의 배차로 굴렸지만, 2005년에 용일여객이 부도로 인해 파산하면서 대원고속이 노선을 인수하여 공동 배차를 하게 되었다.[2]
4 특징
- 원래 번호가 없었으나 경기도 안에서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GBIS에 등록하는 과정에서 번호가 부여되었다.
- 이 노선의 주 수요처는 수원 - 인천도 있지만,[3]구간수요가 매우 많으며, 특히 삼미시장/신천동 수요가 양쪽으로 고른지라 매일 사람이 많다. 수원권 대학교에 통학하는 시흥 학생들의 주 통학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31-7번이 있긴 하지만 승객이 너무 많고 배차간격도 12분 정도이고 정차 정류소도 많기 때문에 소요시간이 많이 걸린다.
- 차량은 2012년만 해도 2002년식 가로램프 BH116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안습이였지만, 2014년에는 FXII116[4]이 다수 투입되어 차급이 좋아졌다. 하지만 그 다수 투입된 FX 가스차량들은 2016년에 모두 안산으로 넘어갔다.[5] 간혹 가다 BH119H도 볼 수 있으며 고무장갑 도색 유니버스 신차를 투입했다.[6]
- 여담으로 잠깐 동안 이 노선에 유니버스 프라임이 다니기도 했다.
- 8467번과는 달리 LED 전광판을 장착하지 않았다.
- 단점이 있다면 비싼 요금인데 용현동 구 터미널~수원종합버스터미널 간 요금이 4800원이다. 이 버스를 타고 수원 소재 대학교에 통학하는 경우 이 버스를 왕복으로 이용하면 하루의 통학비만 만 원 남짓이다. 은행동/삼미시장 기준으로 수원권 학교로 통학할 경우 수원역까지 3900원이며,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이 되지 않는다. 게다가 왕복으로 이용하면 위 요금의 2배이므로 하루 만 원 이상이다. 한 달 동안 20일 통학하는 경우 10,000 x 20 = 200,000원이라는 어마무시한 금액. 그래서 등굣길에는 이용하지만 하굣길에는 수원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을 타고 금정역, 명학역, 안양역에서 31-7번, 혹은 석수역에서 3001번, 3002로 환승하는 학생들이 많다. 이런 금전적인 부담 때문에 몇몇 사람들은 광역버스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지만 형간전환이 쉽지 않다. 수인선이 전 구간 개통할 때까지는 이 노선을 형간전환 하는 게 무리라고 봐도 무방하다. 아니면 폐선되든지.
- 번호를 부여하기 전에는 태화상운이나 용일여객에서는 내부적으로 '산업선'이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수원선으로 불린다. 요금통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5 연계 철도역
- 수도권 전철 1호선 : 제물포역, 수원역
- 수도권 전철 분당선 : 수원역
- 수도권 전철 수인선 : 숭의역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시청역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시민공원역, 인천시청역, 석천사거리역, 만수역, 인천대공원역
-
소사원시선 : 신천역 - 일반 철도역 : 수원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