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슈사이 샤라쿠

550px
<배우 이치가와 에비조 [1] 상>, 1794년 作,37.8 x 25.1cm, 도쿄 국립 박물관

EMB24c7.jpg

1 개요

일본 에도 시대의 천재적인 풍속화가. 샤라쿠의 그림에 담긴 기존의 일본 화가들과는 다른 독특한 개성과 얼마 안 되는 동안에만 활동하고 감쪽같이 사라졌다는 사실 때문에 그 정체를 두고 오늘날까지도 각종 논란이 일고 있다.

2 혜성처럼 등장한 화가

1794년 5월, 에도에 갑자기 이전에 보지 못했던 화가가 나타났다. 그는 스스로를 토슈사이 샤라쿠라고 말하면서 활동을 시작했다.

보통 샤라쿠가 그리는 그림은 가부키 배우들을 선전하기 위한 그림이 많았다. 당시 가부키 배우들은 오늘날로 치면 아이돌급의 인기를 누리던 사람들이라 요즘으로 치면 아이돌 화보집을 전문적으로 찍는 사진사같은 포지션. 그 당시 일본의 화가들은 이러한 그림들을 그릴 때면 가부키 배우들을 무작정 미화하여 그리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샤라쿠는 당시로서는 매우 신선하게도 배우들의 특징을 잡고 그것을 과감하게 강조하는 스타일을 취했다. 또한 표정이나 포즈도 대단히 다이나믹하게 그리는 특징이 있었다. 이전의 일본에서는 최대한 정적이게 그린 그림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는 것을 보면 확실히 독특했던 부분. 이때문에 어떤 배우들의 경우는 자신을 그린 그림이 너무 기괴하다며 대놓고 불쾌해했다고 한다.

이러한 특성 때문인지 당대 기록들에서 샤라쿠의 그림에 대한 우호적인 평가는 드문 편이고 그림 자체도 그리 잘 팔리는 편은 아니었던 모양이다. 심지어 샤리쿠의 그림은 소장할 가치를 못 느낀다며 도자기 싸는 포장지로 취급했다는 기록도 남아있다.

3 활동 시기

대체로 일본 미술사가들은 짧은 샤라쿠의 활동기간을 4기로 나눈다.

  • 1기: 1794년 5월에 내놓은 흑운모판에 그린 28점의 그림.
  • 2기: 1794년 6,7월에 내놓은 그림들. 7점의 인기 가부키 배우의 전신화, 그외 31점의 그림들.
  • 3기: 1794년 11월에 내놓은 그림들. 초연되는 가부키들의 공연을 그린 44점의 그림들외에 12점.
  • 4기: 1795년 1,2월에 내놓은 그림들. 봄에 공연된 가부키들의 그림들과 소수의 스모 그림들.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샤라쿠의 작품은 1기의 작품들이며 이 시기 작품에 샤라쿠의 대표작들이 많다. 이후로 갈수록 평가가 썩 좋지 않은 편인데 일각에서는 1,2기와 3,4기가 미묘하게 화풍의 차이가 있는 걸로 보아서 후기에는 어시스턴트들을 두고 샤라쿠풍으로 그리게 한 대량생산물이 아닌가라는 추측을 하기도 한다.에도 시대의 김성모?

이후 샤라쿠는 나타날 때와 마찬가지로 홀연히 사라져버렸고 그의 그림들도 뿔뿔이 흩어져서 유럽에까지 흘러갔다. 그런데 19세기 유럽에 샤라쿠의 그림이 흘러가자 이전 일본에서의 평가와는 정반대의 현상이 벌어졌다. 독특한 그의 화풍에 사람들이 높은 평가를 내렸고 화가들도 찬사를 아끼지 않았다. 빈센트 반 고흐도 파리 거주 시절에 우키요에를 접했고 샤라쿠의 작품을 모사하기도 했었을 정도였다.

이런 평가가 역으로 일본으로 돌아오면서 쇼와 시대에 이르러서야 샤라쿠에 대한 일본내의 재조명이 이루어졌다. 20세기 초에 독일의 한 심리학자는 샤라쿠를 렘브란트, 루벤스와 더불어 3대 초상화가로 칭송했을 정도.

4 그는 누구인가?

작품을 떠나서도 샤라쿠는 화제가 되었는데 느닷없이 나타났다 느닷없이 사라지고, 불과 10개월이란 시간동안 130여점이 넘는 그림을 그렸으며 당대의 화풍과는 다른 그림을 그렸다는 점에서 그의 정체를 두고 많은 설왕설래가 일기 시작했다. 그의 정체로 주장된 사람들은 이렇다.

  • 당대 최고의 우키요에 명인이었던 우타가와 토요쿠니
  • 가부키노 엔쿄
  • 거대한 파도그림으로 유명한 카츠시카 호쿠사이
  • 키타가와 우타마로
  • 화가이자 난학자로 유명했던 시바 코칸
  • 다니 분쵸
  • 마루야마 오쿄
  • 산토 쿄덴
  • 가부키 배우 나카무라 치죠
  • 서양화가로 유명했던 토이 유린
  • 작가 짓벤샤 잇쿠
  • 하이쿠 시인으로 유명했던 다니 소가이
  • 김홍도

하지만 샤라쿠라고 주장된 인물들은 일부는 샤라쿠의 화풍과 흡사한 면모가 있긴 하나 샤라쿠라고 보기에는 뭔가 부족한 면이 없지 않다.

다만 에도 시대에 그의 정체를 기술한 유일한 기록이 존재한다. 에도에 대한 고증학으로 유명한 인물이었던 사이토 겟신이 1844년 저술한 <증보 우키요에 유고>에 의하면 그(토슈사이 샤라쿠)는 사이토 쥬로베라 불리던 노가쿠 배우라는 기술이 있다. 이 배우가 살던 곳은 핫초보리로 여기에는 아와 토쿠시마번의 번주인 하치스가 가문의 저택이 있었으며 여기에 하치스가 가문이 고용한 노가쿠 배우들이 살고 있었다는 것. 공교롭게도 샤라쿠의 그림을 팔아준 화상의 가게와 샤라쿠가 거주했다고 알려진 곳도 이 근방이다.

이와 관련하여 사이토 쥬로베가 노가쿠 배우였기 때문에 주로 가부키 배우들을 그린 것이라는 추측을 하는 이들도 있다. 또한 그의 이름인 '토슈사이 샤라쿠'도 이를 암시한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東洲斎라는 이름에 에도 동쪽에 집이 있는 사람이라는 뜻이 있다는 것. 이렇게 되면 에도 동쪽에 거주할만한 곳인 핫초보리나 츠키지 근처밖에는 없는 터라 이 사이토 쥬로베가 샤라쿠의 정체가 확실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사이토 겟신의 기록 외에는 사이토 쥬로베의 실체를 증명할만한 문헌이 없어서 다른 화가나 예술인이 가명을 쓰고 화가 일을 잠시 한 것이라는 주장도 대두되었다.

그러나 근래의 미술사가들과 역사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다시금 샤라쿠=사이토 쥬로베 설이 유력한 주장으로 떠오르고 있다.

  • 노가쿠 배우들에 대한 기록들을 뒤져본 결과 사이토 쥬로베란 이름이 기재되어 있음이 확인 되었다.
  • 하치스가 가문의 고문서들을 살펴본 결과 사이토 쥬로베란 이름이 배우 항목에 기재되어 있었다.
  • 에도의 문화인들에 대해 적은 기록에 의하면 핫초보리 항목에 "샤라쿠금기 지장다리"라는 언급이 있어서 핫초보리 지장다리 근처에 샤라쿠금기라는 인물이 살고 있었던걸로 보인다. 샤라쿠금기라는 이름을 쓴 이유는 그가 토슈사이 샤라쿠이기 때문이라는 것.
  • 사이타마현의 정토종 사찰의 기록에 의하면 "핫초보리 지장다리 사이토 쥬로베"이란 인물이 1820년 3월 7일 사망해 화장되었다라는 기록이 있어서 그가 1820년까지 살아있었던 걸로 보인다.

하지만 이 사이토 쥬로베 설에도 약점이 없는 건 아니다. 만약 노가쿠 배우인 사이토 쥬로베가 샤라쿠라면 왜 노가쿠 배우를 하던 그가 느닷없이 10개월동안 화가일을 하다가 홀연히 사라져 버린 건가?를 해명하기 힘들다는 것. 이에 대해 일부 학자들은 생각만큼 그림이 잘 안 팔려서 그림 그리는 것을 포기한 것이라는 설을 내놓기도 했다.

만약 샤라쿠의 그림을 소장하고 싶다면 일본 사이트의 복각해주는 곳을 이용하면 된다. 상단에 올라온 그림의 경우 복각을 이용한다면 한화로 약 15만원 정도.

어쨌든 지금도 그의 정체는 미스테리다.

워낙 인상적인 인물이였기에 일본의 명감독인 시노다 마사히로가 이 사람을 소재로 영화를 만들기도 했다. 사나다 히로유키가 주역을 맡았다.
  1. 참고로 본명이 아니라 예명인데,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는 명문 가부키 배우 집안의 예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