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퍼스(Peirce)의 항진명제는, 다음과 같은 항진인 명제이다.
- [math]((p \rightarrow q) \rightarrow p) \rightarrow p[/math]
2 증명
- 이게 항진이라는 것을, 다음과 같이 증명할 수 있다.
파일:퍼스의 토톨로지 증명.jpg
2.1 전제는 없다(1번 라인)
- 항진명제를 증명함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이 명제가 어떤 경우에서라도 참으로 도출되어야 하는 것이다. 즉, 어떤 전제를 작성하거나 작성하지 않거나에 상관없이, 항진명제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는 그 증명이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시한 증명에서는 1번 라인[1]의 hyp[2]로 지정되어 있는 부분이 비어있다. 즉, 없다. 그런 상태에서 퍼스의 항진명제라 하는 조건명제를 증명하는 것이다.
2.2 조건문의 조건을 작성한다(2번 라인)
- 퍼스의 항진명제를 구성하는 것은, 결론적으로 [math]\rightarrow[/math]로 연결되어 있는 부분이다. 이를 사이에 두고, 화살표의 왼쪽에는 [math](p \rightarrow q)\rightarrow p[/math]가, 오른쪽에는 [math]p[/math]가 나타나고 있다. 즉, 이를 증명하기 위해서 조건인 것을 2번에서 가정[3]을 노드 2에 세우고, 그 안에서 결론으로 [math]p[/math]를 얻으려는 과정을 시작한다.
2.3 귀류법을 사용해보자(3-13번 라인)
- 3번 라인에서는 다시 [math]p[/math]가 거짓이라고 가정해 본다. 그리고 12번에서 결국 모순이 되는 것을 보임으로써, 결국 [math]p[/math]가 거짓이 아니어야 함을 13번 라인에서 제시한다. 그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시도들을 하게 된다.
2.3.1 대우명제를 사용하자(4-7번 라인)
- 2번 라인의 조건명제에서 결론인 부분을 3번에서 부정하였다. 즉, 조건인 부분이 부정되어 나오는 것이 당연하므로, 7번에서는 2번 명제의 조건 부분이 부정되어 있다.
2.3.2 [math]p[/math]는 아무래도 좋게 되었다(8-11번 라인)
- 8번 라인에서 [math]p[/math]가 참이라고 다시 가정해 본다. 그러면 조건인 [math]p[/math]가 어차피 거짓인 명제이므로, 이를 조건으로 갖는 조건명제는 어떤 것이든지 참이다. 즉, 11번 라인에서 [math]p \rightarrow q[/math]가 참이라고 해도 할 말 없다는 것.
2.3.3 그러나 그러면 모순(12번 라인)
- 11번 라인에서 [math]p \rightarrow q[/math]가 참이라고 내놓긴 했지만, 이건 7번에서 이미 거짓이라고 나와 있는 부분이다. 즉, 모순일 수 밖에 없으므로, 12번 라인에 모순이라고 표시해 둔다.
2.4 그렇기에 [math]p[/math](13번 라인)
- 3번 라인의 가정에서부터 12번 라인의 모순이 도출되었으므로, 3번 라인의 가정은 거짓이어야 한다. 이는 [math]p[/math]의 거짓이 거짓이라고 하는 것이므로, 13번 라인에서는 [math]p[/math]를 참이라고 작성한다.
2.5 조건명제의 증명이 끝났다(14번 라인)
- 2번 라인의 조건, [math](p \rightarrow q)\rightarrow p[/math]으로부터 13번 라인의 결론, [math]p[/math]로 도착하였다. 즉, 2번 라인의 조건은 13번 라인의 결론을 함의하고 있다. 이를 하나의 조건명제로 표현하여, 14번 라인에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 [math]((p \rightarrow q ) \rightarrow p ) \rightarrow p [/math]
3 증명 완료
- 여백은 많지만 내용이 부족하므로 증명을 마친다.
4 진리표를 이용한 증명
진리표를 이용하면
[math]p\rightarrow q[/math]는
[math]\neg p\vee q[/math]와 동등하다. 따라서
[math]((p \rightarrow q ) \rightarrow p ) \rightarrow p [/math]를
[math]\neg \left(\neg \left(\neg p\vee q\right)\vee p\right)\vee p[/math]로 변형하면
드 모르간의 법칙에 따라
[math]\left(\left(\neg p\vee q\right)\wedge \neg p\right)\vee p[/math]가 되고, 이는 다시
[math]\neg p\vee p[/math]가 되어 항진임을 알 수 있다.
- ↑ 세로줄의 단계를 노드, 가로줄의 순서를 라인으로 부른다.
- ↑ 내용의 우측을 확인하자.
- ↑ 우측의 hyp 표시로부터 확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