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레스터 존의 전설에 등장하는 전설 속의 왕. 사제왕 요한이라고도 한다.
독실한 기독교도이며 아시아 및 아프리카 등 동방에 거대한 기독교 왕국을 건설했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특히 당대 유럽은 동방의 막강한 이슬람 세력에 의해 군사적, 정치적 위협을 받는 처지였기 때문에 그들의 너머에 존재하는 기독교 왕국의 전설은 유럽인들에게 희망을 주는 하나의 아이콘이었다.
1200년을 전후로, 유럽인들은 동쪽에서 이슬람 국가들을 격파하는 어떤 국가에 대한 소식을 듣게 된다. 십자군 전쟁 당시 사실상 실패한 유럽인들은 오오 프레스터 존 오오를 외쳤으나 몇십 년 뒤, 유럽인들은 동쪽에서 이슬람 국가들을 뚫고 온 몽골군을 상대하게 되었다.
전설이지만 역사적 사료에는 사제왕 요한에 대한 몇몇 기록이 있다. 아프리카의 전통 기독교 왕국이었던 에티오피아에 그 기록이 남아있으며 또한 중앙아시아의 경교를 믿던 유목민족들을요한의 왕국으로 보고 기록된 것이있다. 중앙아시아의 카라키타이(서요) 그리고 몽골 통일 이전의 나이만 부족과 케레이트 부족이 발상으로 여겨지고 있다.
이들은 모두 몽골제국에 흡수당했으니 어떤 의미로 유럽을 침공한 몽골족은 프레스터 존의 전설이 반쯤은 실현된 셈이다.
더불어 항해왕자 엔리케가 아프리카 탐험을 조직하고 후원한 명분 중에 하나도 아프리카에 존재한다던 프레스터 존의 기독교 국가를 찾는 것이었다. 몽골의 침입 이후 동방엔 기독교 국가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소문이 퍼져, 프레스터 존의 국가는 어느새 아프리카로 이동해 있었다. 바스코 다 가마의 항해 목적에도 프레스터 존의 왕국을 찾는 것이 들어 있었는데 당시 포르투갈 왕인 돈 주앙은 인도를 프레스터 존의 왕국으로 알고 친서까지 써서 보냈다.[1][2]
1165년에 익명의 저자가 쓴 장문의 편지로부터 비롯되어 여러 사람들의 손에 거쳐 익명의 저자들이 이야기를 덧붙이는 과정에서 확대되었으며, 익명의 필자들이 가상의 수도자를 내세워 종교적 믿음을 상징, 비유로 표현한 것이지만 사실로 여겨져 1177년에 이 편지에 대한 소문이 멀리 퍼져나가면서 1177년에는 알렉산드르 3세에게도 알려져 편지까지 썼고 순례자들도 프레스터 존을 찾아나섰다.
그 편지에 따르면 프레스터 존에게 72명의 왕이 충성했고 독실한 기독교인으로 왕국의 신도들을 보호해 생계를 책임지며, 세 개의 인도를 지배해 그 중에는 성 토마스 사제가 묻힌 땅을 포함하고 있다. 해가 드는 성으로 이어지는 사막과 바벨탑 옆에 있는 바빌론의 계곡까지 영토라 했으며, 자신의 영토에는 모든 짐승이 살고 땅 위에는 꿀이 흐르고 젖이 흘러넘친다고 했다.
어떤 구역에는 사람을 해칠 만한 동물이 없거나 아예 힘을 쓰지 못하며, 이교도 거주지 중 어떤 곳에는 파이슨이라는 강이 있어 파라다이스에서 흘러나오는 이 강물에는 여러 진귀한 보석이 있다고 했다. 또한 동유럽에서 인도에 이르는 땅을 통치했고 그 곳에 사티로스, 그리핀, 피닉스 같은 생명체가 살고 있다고 주장했으며, 사제왕 요한은 보석, 황금으로 지은 밀폐된 궁전에 살았다고 한다. 이 궁전은 난공불락이며 왕의 거처에는 마법의 거울이 있어 온 세계를 마음대로 볼수 있다고 한다. 궁전에는 7명의 왕, 60명의 공작, 360명의 백작을 포함하여 많은 수의 시종, 시녀들이 사제왕 요한의 시중을 든다. 그의 명령은 절대적이며 명령 한마디에 수천 마리의 전투코끼리와 수십만의 기병들이 움직인다고 한다.
내용이 보태져 후추를 재배해 곡물, 옷감, 가족과 교환했다는 이야기, 울창한 숲에 덩치가 크고 머리가 두 개이면서 산양처럼 뿔이 달리고 램프처럼 밝게 빛나는 눈을 가진 뱀들이 우글거린다는 이야기, 후추가 익을 때면 사람들은 왕겨, 지푸라기, 마른 나뭇가지를 모아 숲 주변에 둘러넣고 바람이 좋을 때 불을 놓아 뱀들이 숲에서 나오지 못하도록 덫을 놓으면 동굴 속에 있는 뱀을 제외한 나머지 뱀들을 무서운 불길 속에서 죽게 한다는 이야기 등도 있다.
동방견문록에서는 중국 북부지역의 타타르족의 지도자가 프레스터 존에게 가축을 10분의 1 진상했다는 이야기를 썼다.
게임 대항해시대2의 스토리상 떡밥 중 하나이며, 대항해시대3의 발견물의 힌트로도 등장한다. 소설 바우돌리노에서도 주인공이 동쪽으로 향하려는 이유다. 영화 이퀼리브리엄의 주인공 존 프레스톤의 이름도 여기에서 따온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