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크(flask)는 자연과학 실험실에서 자주 쓰이는 실험기구 중 하나이다. 위 사진은 여러 가지 플라스크와 비커를 함께 찍은 사진으로, 왼쪽에서 두 번째와 세 번째 기구는 플라스크가 아니라 비커에 속한다. 주로 가열이나 교반을 위해 액체나 고체를 담기 위해 쓰는 기구로, 비커와 기능은 비슷하지만 형태적으로 큰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리고 형태에 따라 용도도 세부적으로 나뉜다.
1 특징
정의 상 용기에 기다란 목이 달린 것이 바로 플라스크인데, 이 정의가 매우 광범위해서 대강 주둥이만 달려 있으면 전부 플라스크라고 부른다. 정의를 보면 알겠지만 비커와는 형태적으로 매우 다른 실험 기구다. 비록 플라스크와 비커 모두 물질을 담고 가열하고 섞고 흔드는 용도로 쓰이기는 하지만 비커는 옆면이 수직이며 바닥면과 윗면(뚫린 면)의 모양과 크기가 같다. 그에 비해 플라스크는 몸통이 둥글거나 S자형으로 생긴 것도 있고 종류가 매우 많고 특별한 용도로만 사용되는 플라스크도 존재한다. 그래서 보통 백과사전에는 '플라스크'라는 표제어를 두지 않고 '삼각 플라스크', '메스 플라스크'처럼 종류별로 표제어를 따로 둔다.
플라스크는 일부 철로 만든 것도 있지만 거의 대부분이 유리로 만들어진다. 그 중에서도 일반 유리와는 다르게 반응성이 약하고 강도가 조금 더 쎈 경질유리로 만들어진다. 일반 유리보다는 강하다고 하지만 유리는 유리인지라 쉽게 깨지기 때문에 안전에 유의하는 것이 좋고 비커 항목에도 나와 있지만 유리로 된 기구는 초강산에 녹을 수도 있다.
2 종류
플라스크는 원하는 모양으로 만들고 쓸 수 있는 만큼 종류도 매우 많지만 여기서는 실험실에서 자주 쓰이는 플라스크 종류에 대해 설명한다.
2.1 둥근 플라스크
Round bottom flask (RBF)
대중매체에서 가장 흔하게 나오는 플라스크다. 매드 사이언티스트나 과학자가 색을 관찰하면서 둥근 플라스크를 흔들어 대는 것은 흔하게 나오는 클리셰다. 이름 그대로 둥근 모양의 플라스크로, 딱히 이렇다 할 특징은 없고 그냥 몸통이 둥글다는 게 끝이다. 종류에 따라서는 바닥 면이 편평해서 쓰러지지 않고 세울 수 있게 된 것도 있고 바닥면도 둥글어서 뭔가로 잡아줘야 하는 것도 있다. 또한 주둥이가 한 개가 아니라 세 개, 다섯 개, 열 개 등 원하는 만큼 붙어있는 것도 있다. 다시 말하지만 모양이 어떻게 돼먹었든 그냥 주둥이만 달려있는 기구면 다 플라스크라고 한다. 영어로는 바닥이 둥근 것, 바닥이 둥글면서 주둥이가 하나인 것, 바닥이 편평한데 목이 하나인 것, 바닥이 편평하면서 목이 세 개 인 것 등을 모두 다른 용어로 부른다.
대중매체에서는 플라스크 속의 난쟁이가 이 플라스크를 뜻한다.
2.2 부피 플라스크
Volumetric flask
둥근 플라스크에 바닥이 편평한 것과 비슷하지만 이 플라스크의 가장 큰 특징은 특정 용량의 액체를 정확히 담아낼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위 그림에서 1,000mL 플라스크는 오직 1,000mL 용액만을 담기 위해 만들어진 플라스크다. 눈금이 없어서 잘 와닿지 않을 수 있는데, 플라스크의 목 부분에 검은 색으로 그어진 부분까지 액체를 부어주면 아주 정확히 1,000mL가 담겨지게 된다. 따라서 플라스크에 5몰의 물질을 넣고 여기에 눈금까지 용매를 넣어주고 섞으면 정확히 5mol/L 농도의 용액이 만들어지는 것이다.그리고 용매를 표선이 넘게 붓는 순간 고뇌가 시작된다 이것은 맨날 새 용액을 제조해서 써야하는 화학 실험실에서 매우 편리하게 쓰일 수 있다. 그러니까 귀차니즘때문에 만들어진 거다. 둥근 플라스크와는 다르게 뚜껑이 함께 딸려 오는데 한 번 만든 용액을 다 쓸 때까지 계속 보관해두기도 한다.
2.3 삼각 플라스크
Erlenmeyer flask
보통 플라스크라고 하면 떠올리는 형태. 둥근 플라스크와 마찬가지로 몸통이 삼각형[1]인 플라스크다. 다만 옆면에 눈금이 그려져 있어 부피 측정이 가능하기도 하다. 물론 부피 측정용으로 만든 건 아니고 그냥 급할 때 쓸 수 있을 정도일 뿐 부정확하므로 가능하면 안 쓰는 게 좋다. 모양이 삼각형이라는 점만 빼면 비커와 아주 비슷하다. 그냥 비커의 윗면이 좁아진 거라 보면 된다. 덕분에 용액을 떨어뜨려도 주변에 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눈금 있는 것도 그렇고 심지어 용도도 가열 및 교반용이라는 걸 보면 그냥 모양 다른 비커라고 해도 된다. 그래서인지 일부 백과사전에는 이를 삼각 비커라고 해설하기도 하는데 위에서 서술했든 비커는 원통 형태의 기구를 말한다. 정의 상 플라스크에 속하는 기구라고 하는 게 맞다.
- 영문 명칭의 Erlenmeyer 개발자의 이름이다.
2.4 증류 플라스크
증류 플라스크는 이름 그대로 증류를 위해 만들어진 플라스크다. 증류 방법은 다양하기 때문에 모양도 다양한데 위 그림처럼 주둥이가 아래로 꺾인 것이 대부분이고 주둥이는 직선이지만 옆쪽에 구멍이 뚫린 것도 있으며 심지어 S자형도 존재한다. 파스퇴르가 미생물의 발생 원리를 증명[2]할 때 이 S자형 플라스크를 썼다. 물론 그 때는 이런 플라스크가 없었기 때문에 직접 만들어서 썼다. 간단한 증류 실험의 경우 굳이 복잡하게 목이 거꾸로 달린 증류 플라스크 쓸 필요 없이 옆면에 구멍 뚫린 걸 쓴다. 증류를 위해 목이 얇은 경우가 많으므로 깨지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깨지면 그냥 플라스크 자체를 사야 하니 돈낭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