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 |||
피아노 협주곡 1번 | 피아노 협주곡 2번 | 피아노 협주곡 3번 | 피아노 협주곡 4번 |
Piano Concerto No. 2 in c minor, Op. 18
1 개요
라흐마니노프하면 떠오르는 그의 대표작. 1901년에 작곡된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이다. 라흐마니노프는 평생 4개의 피아노 협주곡을 작곡했는데 그 중 피아노 협주곡 2번은 현재까지도 큰 인기를 누리며 영화나 드라마에 삽입되고 있다. 초연은 1901년 11월 9일에 모스크바에서 본인의 연주로 이루어졌다.
1악장 : Moderato
2악장 : Adagio sostenuto
3악장 : Allegro scherzando
2 특징
-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던 라흐마니노프는 그만큼 높은 테크닉이 요구되는 곡들을 작곡했는데, 이 곡도 예외는 아니다. 제대로 이 곡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라흐마니노프는 손이 13도에 달하는 괴물이었기 때문에[1] 손이 작은 사람이라면 연주하기가 상당히 버겁다. 당장 1악장 첫 부분만 보더라도 9도 이상의 화음이 등장한다.[2][3]
- 이 곡은 라흐마니노프의 정신과 진료 의사였던 니콜라이 달에게 헌정되었다. 그 이유는 교향곡 1번의 대실패 이후로 정신적인 문제로 슬럼프에 빠져있었던 라흐마니노프를 구제해준 인물이기 때문이다. 이후 이 곡의 완전한 성공으로 라흐마니노프는 자존감을 되찾으며 다시 왕성한 활동을 이어간다.[4]
3 악기 구성
현악기
목관 악기 : 플루트 2개, 오보에 2개, 클라리넷 2개, 바순 2개
금관 악기 : 호른 4개, 트럼펫 2개, 트럼본 3개, 튜바,
타악기 : 팀파니, 큰북, 심벌즈
독주 악기 : 피아노
4 구성
1악장 : Moderato 서주가 있는 소나타 형식. 손이 작으면 연주하기 불편한 9도 화음의 짧은 서주로 곡이 시작한다.[5] 이 서주는 악장의 전반적인 음울한 분위기를 암시한다. 첨부 동영상 기준 약 1분 16초부터 피아노의 분산화음 반주로부터 뒷받침되는 1주제가 오케스트라로부터 제시된다. 우울증으로 고생했던 라흐마니노프의 고뇌가 느껴지는 주제이다. 이윽고 경과구를 거쳐, 3분 24초부터 1주제와 대비되는 서정적인 2주제가 제시되는데, 이는 비창 교향곡의 2주제에 비견하는 러시아적 서정성을 보여준다. 이후, 약 6분 6초부터 1주제를 기반으로 하는 츤츤대는 전개부가 진행되고, 7분 52초에는 행진곡 풍으로 변주된 1주제가 재현되며 재현부에 접어든다. 2주제는 9분 40초부터 호른에 의하여 재현되는데, 제시부에서 피아노에 의하여 제시된 것과는 다르게 유장한 느낌을 더하여 색다른 느낌을 준다.실황 공연을 보러 갔는데 여기서 호른 삑사리나면 확 깬다 12분 2초부터 종결구에 접어드는데, 비록 짧지만, 점진적으로 고조되면서 마지막에는 1주제의 동기를 연상하게 하며 강렬하게 악장을 마무리한다.
2악장 : Adagio sostenuto 치유계 악장 3부 형식.(A-B-A') 13분 3초부터 시작한다. 오케스트라의 우울한듯 편안한듯 서정적인 연주로 시작하여 13분 33초에 피아노가 분산화음으로 명상적인 반주를 시작한다. 여기에 13분 58초부터 플룻이 감미로운 선율을 얹고, 이를 클라리넷이 받으며, 1악장에서의 음울함이 깔끔하게 정화되는 듯한 아름다움을 노래한다. 이후,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피아노가 이 선율을 다시 반복한다. 17분 35초부터, 피아노의 변조로부터 중간부(B)가 시작된다. 이는 다시 음울하고 격렬해질 것 같은 분위기를 몇차례 연출하지만, 그때마다 피아노가 깔끔하게 정화하는 느낌을 줘서, 마치 1악장에서 우울증을 겪던 라흐마니노프가 2악장에서 평온을 찾고, 이따금씩 다시 우울감이 몰려오지만, 달 박사의 최면치유에 다시금 상태가 호전되는 것과도 일맥상통한다. 22분 15초부터 A'이 시작되어, 최종적으로는 명상적인 치유계로 악장이 마무리된다. 악장 하나하나가 버릴게 없는 곡이지만서도, 2악장의 아름다움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
이 2악장의 도입 모티브는 이전에 자신이 작곡했던 '6개의 손을 위한 로망스'에 나온다. 그러므로, 자신이 쓴 작품을 협주곡에 일부 차용한 셈. 같은 예로, 본인의 협주곡 4번 2악장에서 본인의 연습곡 Op.33 No.4의 클라이맥스 부분이 차용되었더.
3악장 : Allegro scherzando 소나타 형식. 25분 53초부터 시작한다. 오케스트라의 서주로부터 시작부터 고조되어, 피아노의 화려한 연주 이후 26분 35초부터 춤곡풍의 1주제가 제시된다. 27분 48초부터 오보에와 비올라로부터 2주제가 제시되는데, 1주제와 극명하게 대비되는 서정적인 주제이다. 이후, 긴박한 전개부가 1주제 재현이 이루어지고, 32분 20초부터 2주제가 재현되는데, 시작은 제시부에서처럼 서정적이지만, 점차 고조되어 벅차오르는 환희와 승리의 주제가 된다. 이는, 최종적으로 우울증을 극복한 라흐마니노프의 인간승리를 보여주는 듯하다.[6] 우울한 c단조로 시작하여 환희의 C장조로 화려하게 전곡이 마무리된다.
5 연주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본인의 연주 링크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의 연주 링크
-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의 연주 링크
6 매체에서의 활용
- 일본의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치아키 신이치가 축제 때 이 곡을 연주하는 장면이 나온다. 후에 노다메와 치아키 신이치가 투 피아노 버전으로 편곡하여 연주하기도 한다.
- 영화 호로비츠를 위하여에 삽입되었다.
- 2악장의 주제들을 차용하여 에릭 카르멘이 "All By Myself"라는 팝송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를 나중에 박성호가 박성호의 뮤직토크에서 "오빠 만세"로 다시 차용해서 쓰기도(...).
7 여담
- 2015년에 KBS클래식FM이 홈페이지 설문조사로 클래식 인기 레퍼토리를 조사한 결과 한국인이 가장 사랑하는 클래식 곡으로 라흐마니노프의 협주곡 2번이 선정되었다. 관련 기사
- 라흐마니노프 본인이 편곡한 2 pianos 버전이 존재한다. IMSLP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다.링크 그 외에도 다양한 어레인지 버전이 존재하니 한 번 연주해보고 싶다면 찾아보는 것도 좋다.
- ↑ 길이를 잰다면 30cm의 폭을 가지고 있었다
- ↑ 사실은 대다수의 라흐마니노프곡이 이렇다
- ↑ 물론 초반부의 이 화음을 반드시 한번에 짚을 필요는 없지만 한 번에 짚는 것과 굴려서 분산화음 처리하는 것은 음악적으로 전혀 다른 효과를 가져온다.
- ↑ 이 때 사용한 방법은 자기암시 요법이었는데, 환자에게 가벼운 최면을 걸어놓고 그 귓가에서 필요한 말을 반복하는 방식이다.
- ↑ 이 때문에 아쉬케나지처럼 손이 작은 피아니스트는 꾸밈음처럼 연주하기도 한다.
- ↑ 특히, 미묘하게 기운이 없을 때, 반복적인 일상에 치일 때, 순수하게 위로받고 싶을 때 들으면 안구에 쓰나미가 몰려오는 느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