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 아렌트

width=100%
이름한나 아렌트 (Hannah Arendt)
출생1906년 10월 14일, 독일 하노버
사망1975년 12월 4일, 미국 뉴욕
국적 독일 (1906 – 1937)
미국 (1937 – 1951)
직업철학가, 사상가
학력마르부르크 대학교, 하이델베르크 대학교 (PhD, 1929)
지역서양 철학
불가능한 것을 가능하게 만들 때, 그것은 처벌할 수도 용서할 수도 없는 절대적인 악이 된다.” - 전체주의의 기원(1951)

1 개요

독일 출신의 유대인계 여성 정치철학자, 사상가.

1933년 독일의 유대인 탄압을 피해 파리로 이주하였으며 1941년 미국으로 이주하였다. 그녀는 유대인이라는 이유로 독일 국적을 박탈당했기 때문에 미국 시민권을 따기 전까지 무국적 상태였으며, 실제로도 독일 출생이지만 독일 국민이라는 생각이 전혀 없었다고 한다. 1960년 나치의 대표 전범으로 유명한 아돌프 아이히만이 약 12년 간의 도주 끝에 부에노스 아이레스에서 잡히자, 당시 뉴욕에 거주 중이었던 그녀는 기자로서 예루살렘에서 진행된 아이히만에 대한 재판에 참석하였고, 그곳에서 '악의 평범성(the banality of evil)이라는 유명한 개념으로 그의 악행을 설명하였다(이 재판 제반 내용을 글로 쓴 것이 바로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종전 후 하이데거를 위해 증언을 하였다. 2012년 독일에서 그녀의 전기 영화가 나왔으며 15회 서울 국제 여성영화제에서 상영하였다. 배급사는 뇌에 뭘 쳐박았는지 나치 전범을 옹호한 유일한 유대인이라는 말도 안 되는 부제(...)를 달아서 아는 사람들에게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무슨 지거리야

파일:Attachment/한나 아렌트/아렌트.jpg
그 증거.

참고로 아렌트가 이런 오해를 받은 사례가 그 전에도 있긴 했다. 그녀가 악의 평범성을 주장한 뒤 '그러면 아이히만 개인의 책임은 없다는 거냐?'와 같은 비난을 받았기 때문. 당연히 아렌트가 아이히만 개인의 책임을 변호한 것은 결코 아니었다. 이에 대해선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항목을 참조할 것.

여담으로 하이데거의 제자였으며, 사귀는 사이였다. 그런데 하이데거는 당시 유부남이었다는 게 함정(...). 이 둘은 나치 독일 당시 긴박해 지는 시대상 속에서 헤어진다. 하이데거는 소극적이긴 해도 나치 동조자였고 아렌트는 상술했던 것처럼 유대인에 독일 국적을 박탈당했다. 이 정도만 해도 더 이상의 설명은 필요 없을 것이다. 또한 둘은 사상적으로도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2차대전이 끝나고 아렌트와 하이데거는 지적인 동료 관계를 회복 했으며, 그 후로 아렌트가 죽을때 까지 둘 사이에 편지가 오갔다. 1975년 아렌트가 먼저 죽자 하이데거가 장례식이 참석했다. ( 한편 하이데거는 오는데 왜 다른 유명한 학자들은 장례식에 참가하지 않았냐를 빌미로 강유원은 아렌트가 그닥 주목할만한 철학자가 아니라고 깐다. 님 인신공격? 강유원은 아렌트를 저널리즘철학으로 치부하는 미국의 유대인학계에 동조하는데 아렌트의 죽음과 장례식에 대한 자신의 단상을 늘어놓을 뿐, 왜 까는지 그닥 설명을 안한다. 손수 '견실함의 모자람'을 보여주는 기사

대표저서로는 전체주의의 기원, 인간의 조건,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등이 있다.

이 중 전체주의의 기원과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은 전체주의의 원인과 특성에 대해 서술한 명작이며, 인간의 조건은 인간의 정치적인 본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철학서이다.

엄청난 골초였기도 했다(...). 담배 안 피우셨으면 지금까지도 살아계셨을 듯? 110세? 당장 위에 있는 사진만 봐도..

2 공공성론

아렌트는 폴리스(polis) = 공공적영역, 오이코스(oikos) = 사적영역 이라고하는 고전적 구분을 답습했다. 이때 중요한건, 공공적 영역이 다른 사람과의 교류를 전제로하는 "활동(活動)"이라는 거고, 국가의 지배나 경제적 이익을 받을만한건 아니라, 모두가 다 같이 모여서 얘기하고 토론할수있는곳이라는거다. 아렌트의 이러한 구분은 국가와 경제적 시장(market)에게 공공성의 대표자를 원하는 근대의 정치사상에대한 근본적 비판을 포함하고있었다. 또한 그녀는 공공적 영역과 사적영역의 중간에 위치하는 사회적영역(社会的領域)을 주장했는데, 여기선 사람들이 경제활동을 하거나 결사나 집단을 형성할수있다고했다. 아렌트의 이런 사회적 영역을, 사람들이 활동(活動)이라고하는 상호행위를 전개하는 장소가 아닌, 오직 획일적인 행동으로써 생(生)의 욕구를 해소하는 장소로 생각하고, 공공적 영역과는 준별(峻別)했다. 그리고, 그럼으로써 그녀는 사회적영역의 요구가 그대로 정치에 입력되는것에대해 부정적 평가를 내렸다.

- 공공성론의 비판 -

아렌트의 이러한 견해는 두가지 문제점을 지적할수있다. 첫번째로, 공공적영역이 사적, 사회적 영역으로부터 질적으로 완전히 다른것으로써 절단되어있다는점이다. 이건, 여러 영역에 걸치는 문제와 그 문제의 처리를 통한 영역구분의 개혁을 아에 못하게 막아버린다. 예를들자면, 셧다운제는 국가차원으로써 청소년들의 게임중독을 막고 유해산업게임산업을 억제시킬려는 의도가 포함되어있다. 하지만,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입장에서보자면 자유의 침해에 지나지 않는다. 게다가 의도로하는 게임중독 방지도, 모두가 심야에 게임을 한다고해서 게임중독인것도아니고, 그 중에는 학원이 끝나서 자기전까지 잠시만 스트레스 해소용으로 게임을 플레이하는 학생들도 적지않아 있다. 이런 문제를, 단지 사적영역이나 공공적영역의 문제로만 치부해버리고 처리한다는건 불합리하다고 할수있다.

두번째로는, 사회적영역에 의한 공공적영역의 침식을 비판하고, 사람들이 가지는 자유와 개성은 공공적영역의 활동에서만 나타낼수있다고 주장하는점에서, 공공적영역은 탁월성을 추구하는 장소로 여겨지고, 거기에 참가하는건 특별한 논리적가치를 부여하고있는것으로도 생각된다는거다. 물론 한나가 주장하는 공공적 영역이란건, 일반적으로 우리가 일상생활할때 주변사람과 대화하는것도 포함되있다. 예를들어서 친구와 대화할때 말투나 행동에서 어떤 사람들의 특징이 나로부터 다른사람으로 나타난다고 볼수있다. 하지만, 한나의 말대로 되버린다면 사적영역에서나 공공적영역에서의 사람들의 특징은 아무런 의미가 없어져버린다. 하버마스는 이러한 아렌트의 주장에 대해서 부분적으로 비판하면서, 문제점을 찾아 계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