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주원

1 개요

영안위 홍주원(永安尉 洪柱元, 1606년 ~ 1672년)
선조인목왕후의 딸인 정명공주(貞明公主)의 남편이다.
정명공주선조의 막내딸이자 유일한 적녀로, 광해군에 의해 인목왕후와 함께 서궁에 유폐되었다가 인조반정으로 다시 공주로 복귀되었다.

2 인생

2.1 부마가 되다

당시 21세라는 노처녀였던 정명공주는 나이 비슷한 남편감은 도저히 찾을 수 없어 연하를 구했다고 한다.[1]
그것도 이미 홍주원에게는 약혼녀가 있었으나 파혼시키고 결혼한 것이라 한다.[2] 사실 공주와 그나마 비슷한 나이의 남자들이 아직 혼인하지 않은 이유는, 혼인하기 어려운 하자가 있었거나 이미 혼인은 정해져 있었으나 사정으로 혼인을 미루고 있는 경우밖에 없다. 그렇다고 공주를 문제 있는 남자와 혼인시킬 수는 없었으니 정해진 혼담이 있는 남자들이라도 전부 부마 단자를 내게 해서 부마를 구한 것이라 한다.

2.2 혜택

홍주원으로서는 억지로 파혼하고 하게 된 결혼이었으나, 그 덕에 그 자신은 물론 홍씨 가문으로서도 많은 혜택을 받았다.

소성대비는 노처녀 딸이 겨우 얻은 사위를 예뻐했던 모양으로, 사위에게 왕만이 탈 수 있는 어구마까지 내려 비판 받기도 하였다. 인조는 자신의 즉위의 대의명분인 소성대비를 우대하여 정명공주의 혼례를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호화롭게 치러주었으며, 그 뒤에도 계속 땅이나 재산을 하사하였다.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우의정 신흠(申欽), 서평부원군 한준겸(韓浚謙) 등과 함께 인목대비와 인렬왕후(仁烈王后)를 호종하였고, 그 공로로 품계가 승진하였다.
인조가 병을 앓던 인목대비를 위로하기 위해 홍주원의 부친인 홍영의 벼슬을 예조참판에 제수하였고, 계속해서 인목대비의 건강이 좋지 않자 인조는 대비의 마음을 기쁘게 하기 위해 홍주원의 품계를 높였다.

일제강점기까지 소작 분쟁이 이어진 암태도도 정명공주가 받은 땅이다.

그러나 소성대비 사후 정명공주의 처소에서 흉측한 백서가 나와 이에 연루된 정명공주의 궁녀들이 줄줄이 체포되어 수차례의 형문은 물론이고 압슬, 낙형까지 당해 고문치사하는 등 수난을 겪었다.

2.3 말년

숙종 즉위후에 정명공주와 같이 종친으로서 대우받으며 안정적인 말년을 보냈다.

3 사극에서

  1. 물론 요즘 기준으로 따지자면 21세는 조혼이지만, 19세에 결혼한 인목왕후만 해도 당시 기준으로는 노처녀였다.
  2. 홍주원은 집안의 초상 문제로 결혼을 미루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