訓手
1 바둑・장기 용어
옛부터 즐겨오던 바둑이나 장기에서 나온 말로, 한자 뜻 대로 수[1], 그 중에서도 두는 사람이 장고에 빠졌거나 실수로 안 좋은 수를 두었을 때 더 좋은 수를 가르쳐주는 것을 뜻한다. 장기/바둑에서 출발한 단어인 만큼 사용시에도 보통 훈수를 둔다고 표현한다. 이 훈수는 보통 대결중인 상대방이 둔다기 보다는 구경중인 제 3자가 자주 두게 된다.
보통 대국 중에는 수 하나 하나에 집중을 하다가 시야가 좁아져서 미처 보지 못하는 부분이 생길 수 있는데, 제 3자는 그런 것 없이 여유롭게 판을 관망하니 의외의 수를 볼 수가 있고, 이 때문에 훈수를 통해 결정적인 실수를 막거나 역전을 하는 신의 한 수가 나오기 쉽게 된다. 당연히 그걸 당한 상대방의 입장에선 매우 화가 나게 된다(...). 또한 그 훈수가 영 좋지 못한 수라서 더욱 불리해지게 되면 이번엔 훈수대로 둔 사람이 화가 나게 된다. 그래서 훈수두는 제 3자는 그 뒷감당을 할 수 있는 사람이라던지, 대국자들과 모두 친한 경우가 보통이다. 아니면 눈치가 없거나 [2]
2 확장된 의미
1번 문단의 의미가 확장되어 타인에게 참견과 간섭을 일삼는 행위를 표현하는 말로도 사용한다. 이게 상기한 대로 훈수를 두는 사람이 100% 제대로 된 수를 알려주는 것도 아니고, 승패의 책임을 지는 것도 아니라는 것 때문에, 훈수를 둔다는 표현은 제대로 알지도 못하면서, 혹은 책임도 안 질 거면서 끼어들어 이래라 저래라 한다는 부정적 느낌이 강하다.
허나 1번 문단의 뜻으로 해석한다면 좋은 말 해주는데도 난리 치는 이상한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다(...). 1번 문단이든 2번 문단이든 좋은 말이든 아니든 훈수를 두지 말랬는데 훈수를 둬도 똑같습니다. (훈수로 난리 치는 이상한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