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gante

1 BMS

< BOF 역대 개인전 스코어 우승·준우승곡 >
200920102011
우승
DRAGONLADYHalcyonconflict
준우승
Jack-the-Ripper◆eleganteVALLISTA



BGA

발광 BMS 난이도 체계
차분명발광 난이도Overjoy 난이도참고
ANOTHER PLUS+★3
gorillante★★1
DP EX★7더블 플레이 차분
DP えぬTHER-★9더블 플레이 차분
발광 BMS/단위인정 초단
스테이지곡명차분명발광 난이도참고
1PapyrusManiac★2
2eleganteAnother Plus+★3
3風仁雷仁EX★3
4Pure RubyJUNK7★4

ラブプラス+(러브 플러스+[1])팀의 비에이스곡.[2] 팀원 전원이 러브 플러스 관련 가명으로 출전했고[3], 그 중 高嶺 愛花 명의를 사용한 Junk의 곡이다. 이탈리아어로 elegante는 우아하다라는 뜻의 동사.

BOF2008에는 The Panorama로 29등, BOF2009에는 Dream Rocket*으로 31등의 호성적을 올린 Junk가 산뜻한 곡으로 돌아와서, 당해 압도적으로 우승한 xiHalcyon에게 중앙값 1위를 뺏어오는 성적을 거둔다.[4] 총점 순위는 2위.[5]

이 대회에서 1, 2등을 차지한 xi와 Junk 모두 BOF2010를 기점으로 최상위권에 곡을 올리는 네임드 제작자 반열에 올라섰다. 우승 2번까지 어떻게...

Groundbreaking 2010년판에 Extended Version이 수록되었다.

이 곡을 마지막으로 발광인간탈출BMS 단위인정 입문이라 할 수 있는 초단의 4곡이 모두 나무위키에 작성되었다.

2 CHUNITHM

  1. 그 연애 시뮬레이션 게임이 맞고, 작곡자 명의, elegante의 BGA에서 확인사살.
  2. 에이스곡은 姉ヶ崎 寧々dreaming으로, 이 대회 15등 곡.
  3. 2009년에도 동일 팀원, 동일 가명으로 첫 가명 참가했고, 대회 종료 후 가명을 공개했다. 따라서 2010년도의 러브플러스+ 팀은 사실상 본 명의로 참가하는 팀인 셈이다.
  4. 간발의 차이로 중앙값 2등이 된 xi는 아깝게 사상 최초로 개인총점중앙값 팀총점중앙값 1위의 역사를 뒤로 미루게 되었다. 그리고 2년 후...
  5. 에이스 버프 적용시 4위.